콘텐츠 영역



- 홍보담당관실
-
- (T)044-200-7071~3, 7078
- (F)044-200-7911
자료배포 | 2021. 11. 4. (목) |
---|---|
담당부서 | 국제교류담당관실 |
과장 | 원영재 ☏ 044-200-7151 |
담당자 | 이송미 ☏ 044-200-7155 |
페이지 수 | 총 2쪽 |
국민권익위-유엔개발계획(UNDP),
우리나라 주요 반부패정책 개도국에 전파
- 4일 온라인 성과보고회 베트남·우즈벡의 부패방지시책평가 도입 성과 및 교훈 공유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와 유엔개발계획(UNDP)은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한 반부패정책공유 사업(지속가능개발목표 파트너십)의 성과와 교훈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을 4일 오후 8시(미동부시 오전 7시)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국민권익위는 부패방지 시책평가 등 우리나라의 우수한 반부패 정책을 개발도상국에 공유·현지화 및 확산하는 업무협약을 UNDP와 2015년 체결하고 해당년도 사업대상국을 선정해 반부패정책 공유사업을 시행해 왔다.
베트남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우즈베키스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부패방지 시책평가* 제도가 해당 국가에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권익위와 UNDP가 지속 지원해 왔다.
* 부패방지시책평가 : 공공기관이 청렴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반부패·청렴활동과 그 성과를 측정하는 제도
참고로 2021년 현재까지 국민권익위는 ▴베트남 ▴몰도바 ▴미얀마 ▴코소보 ▴이라크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콜롬비아 ▴알제리 ▴아프가니스탄을 대상으로 UNDP와 협력해 사업을 실시해 왔다.
□ 이번 워크숍은 권익위-UNDP-베트남·우즈베키스탄 각 사업당사자가 모두 참여해 부패방지시책평가 제도의 운영경험과 성과 및 교훈을 서로 나누기 위한 자리이다.
UNDP 사라 리스터(Sarah Lister) 거버넌스 국장, 앤 유프너(Anne Juepner) UNDP 서울정책센터소장을 비롯해 베트남 감찰원, 우즈베키스탄 반부패청의 고위급 공직자 등 총 20여명이 참석한다.
국민권익위는 이 자리에서 UNDP와의 반부패정책공유사업의 성과와 국민권익위가 추진 중인 최신 반부패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청렴한국의 이미지가 전 세계에 각인될 수 있도록, 개발도상국에 대한 청렴정책 지원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4일 온라인 성과보고회 베트남·우즈벡의 부패방지시책평가 도입 성과 및 교훈 공유 -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와 유엔개발계획(UNDP)은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한 반부패정책공유 사업(지속가능개발목표 파트너십)의 성과와 교훈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을 4일 오후 8시(미동부시 오전 7시)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국민권익위는 부패방지 시책평가 등 우리나라의 우수한 반부패 정책을 개발도상국에 공유·현지화 및 확산하는 업무협약을 UNDP와 2015년 체결하고 해당년도 사업대상국을 선정해 반부패정책 공유사업을 시행해 왔다.
베트남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우즈베키스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부패방지 시책평가* 제도가 해당 국가에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권익위와 UNDP가 지속 지원해 왔다.
* 부패방지시책평가 : 공공기관이 청렴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반부패·청렴활동과 그 성과를 측정하는 제도
참고로 2021년 현재까지 국민권익위는 ▴베트남 ▴몰도바 ▴미얀마 ▴코소보 ▴이라크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콜롬비아 ▴알제리 ▴아프가니스탄을 대상으로 UNDP와 협력해 사업을 실시해 왔다.
□ 이번 워크숍은 권익위-UNDP-베트남·우즈베키스탄 각 사업당사자가 모두 참여해 부패방지시책평가 제도의 운영경험과 성과 및 교훈을 서로 나누기 위한 자리이다.
UNDP 사라 리스터(Sarah Lister) 거버넌스 국장, 앤 유프너(Anne Juepner) UNDP 서울정책센터소장을 비롯해 베트남 감찰원, 우즈베키스탄 반부패청의 고위급 공직자 등 총 20여명이 참석한다.
국민권익위는 이 자리에서 UNDP와의 반부패정책공유사업의 성과와 국민권익위가 추진 중인 최신 반부패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청렴한국의 이미지가 전 세계에 각인될 수 있도록, 개발도상국에 대한 청렴정책 지원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와 유엔개발계획(UNDP)은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을 대상으로 한 반부패정책공유 사업(지속가능개발목표 파트너십)의 성과와 교훈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을 4일 오후 8시(미동부시 오전 7시)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국민권익위는 부패방지 시책평가 등 우리나라의 우수한 반부패 정책을 개발도상국에 공유·현지화 및 확산하는 업무협약을 UNDP와 2015년 체결하고 해당년도 사업대상국을 선정해 반부패정책 공유사업을 시행해 왔다.
베트남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우즈베키스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부패방지 시책평가* 제도가 해당 국가에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권익위와 UNDP가 지속 지원해 왔다.
* 부패방지시책평가 : 공공기관이 청렴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반부패·청렴활동과 그 성과를 측정하는 제도
참고로 2021년 현재까지 국민권익위는 ▴베트남 ▴몰도바 ▴미얀마 ▴코소보 ▴이라크 ▴말레이시아 ▴우즈베키스탄 ▴콜롬비아 ▴알제리 ▴아프가니스탄을 대상으로 UNDP와 협력해 사업을 실시해 왔다.
□ 이번 워크숍은 권익위-UNDP-베트남·우즈베키스탄 각 사업당사자가 모두 참여해 부패방지시책평가 제도의 운영경험과 성과 및 교훈을 서로 나누기 위한 자리이다.
UNDP 사라 리스터(Sarah Lister) 거버넌스 국장, 앤 유프너(Anne Juepner) UNDP 서울정책센터소장을 비롯해 베트남 감찰원, 우즈베키스탄 반부패청의 고위급 공직자 등 총 20여명이 참석한다.
국민권익위는 이 자리에서 UNDP와의 반부패정책공유사업의 성과와 국민권익위가 추진 중인 최신 반부패 정책동향을 공유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 국민권익위 전현희 위원장은 “청렴한국의 이미지가 전 세계에 각인될 수 있도록, 개발도상국에 대한 청렴정책 지원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자료는 국민권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민권익위, 부패·공익신고자 보상금 등 3억여 원 지급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확정…"세계 선도 대한민국 만들 것"
-
공무원 육아휴직 '12세 자녀'로 확대…육아친화적 공직문화 조성
-
이 대통령, 세종 첫 국무회의…"집무실·의사당 건립 차질 없이 추진"
-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공급…"물가안정 위해 가용수단 총동원"
-
새출발기금 22일부터 지원 확대…원금 감면율 최대 90%까지
-
중앙부처·지자체 재난안전 역량 강화한다…인력 확충·보상 확대
-
내년 산재 예방에 2조 원 투입…취약사업장 안전설비 지원 등 확대
-
이 대통령 "강원도에 사는 것 억울하지 않게 각별히 배려하겠다"
-
숨은 금융자산이 18조?…'깜빡한 내 돈, 클릭 한 번으로 확인!'
-
농업연구사들 - EP.1 막내연구사의 첫 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