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기술창업 18만개 돌파, 대면업종 창업 회복세
- 2021년 1∼9월 창업기업 동향 -
□ ’21.1∼9월(누계) 창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부동산업 제외 시 6.1%(47,476개) 증가
2021.11.24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가 발표한 ‘창업기업 동향’에 따르면, ’21년 1∼9월 전체창업은 106만 8,998개로 나타났다.
전체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7.3%(83,729개)가 감소*했으나, 작년 정책 변화(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 사업자 등록 의무화, ‘20.1월)로 사업자 등록이 급증한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6.1%(47,476개) 증가**한 수치이다.
* 1∼9월 창업기업(개) : (’19) 945,322 → (’20) 1,152,727 → (’21) 1,068,998
** 1∼9월 부동산업 제외 신규창업(개) : (’19) 755,412 → (’20) 783,453→ (’21) 830,929
주요 업종별로는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도·소매업이 12.3% 증가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작년 창업이 감소한 개인서비스업도 올해는 5.2%가 증가하면서 일부 대면업종에서 회복의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비대면화로 인해 정보통신업(26.1%), 전문과학기술업(20.8%) 등에서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3/4분기(누적) 기준 기술기반업종창업*(이하 ‘기술창업’)은 역대 최초로 18만개를 돌파했다.
* 1∼9월 기술창업 수(개) : (’19) 166,326 → (’20) 173,928 → (’21) 180,607
▣ 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을 포괄한 기술기반업종 (OECD, 유럽연합 기준)
전체창업 추이
부동산업 제외 창업 추이
기술창업 추이
점선은 추세선임
업종별 동향
도·소매업은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12.3% 증가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은 작년 창업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이 35.5% 감소했다.
<부동산 창업 현황 및 증감율(누계)>
기간
부동산업 창업(수)
전년동기대비 증감율(%)
’19.1∼9월
189,910
-31.6
’20.1∼9월
369,274
94.4
’21.1∼9월
238,069
-35.5
숙박·음식점업은 올해 4.0% 감소하여 작년(‘19년 대비 ‘20년 8.9%↓) 대비 감소폭이 줄었고, 개인서비스업은 작년(‘19년 대비 ‘20년 5.6%↓)과 달리 올해는 5.2% 증가했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전체 창업
도·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기술창업
’20.1∼9월
1,152,727
287,631
125,785
40,585
369,274
155,524
173,928
’21.1∼9월
1,068,998
323,016
120,813
42,709
238,069
163,784
180,607
(△7.3)
(12.3)
(△4.0)
(5.2)
(△35.5)
(5.3)
(3.8)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술창업은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한 정보통신업(26.1%)과 온라인광고업(포털배너, SNS 활용 광고 등)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과학·기술업(20.8%)이 창업 증가를 주도하며 전년동기대비 3.8%(6,679개) 증가했다.
다만, 기술창업 중 사업지원서비스업과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6.0%, 4.6% 감소하였다.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기술창업
제조업
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
교육
보건·
사회복지
창작·
예술·여가
’20.1∼9월
173,928
38,395
27,152
40,461
29,071
29,909
3,773
5,167
’21.1∼9월
180,607
36,664
34,240
48,874
21,507
30,195
3,875
5,252
(3.8)
(△4.6)
(26.1)
(20.8)
(△26.0)
(1.0)
(2.7)
(1.6)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연령별 동향
청년층 창업은 4.6% 증가한 반면, 부동산업 창업이 급감함에 따라 40대 이상 연령대의 창업이 감소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증가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40세 이상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감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6 (30대) △14.1 (40대) △30.7 (50대) △38.4 (60세이상) △49.6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대
50대
60세 이상
30세 미만
30대
소계
전체 창업
’20.1∼9월
127,866
238,048
365,914
303,511
286,290
195,985
’21.1∼9월
137,782
245,023
382,805
287,682
246,855
150,078
(7.8)
(2.9)
(4.6)
(△5.2)
(△13.8)
(△23.4)
부동산업 제외
’20.1∼9월
117,339
198,477
315,816
207,714
168,580
90,650
’21.1∼9월
126,033
211,032
337,065
221,284
174,337
96,977
(7.4)
(6.3)
(6.7)
(6.5)
(3.4)
(7.0)
기술창업
’20.1∼9월
21,509
45,855
67,364
53,341
36,676
16,393
’21.1∼9월
20,928
46,059
66,987
56,939
39,061
17,404
(△2.7)
(0.4)
(△0.6)
(6.7)
(6.5)
(6.2)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조직형태별 동향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7%(1,638개) 감소했고, 개인창업**은 7.8%(8만 2,091개) 감소했다.
* 1∼9월 법인 창업기업(개) : (’18) 76,920 → (’19) 81,196 → (’20) 95,858 → (’21) 94,220
** 1∼9월 개인 창업기업(개) : (’18) 936,819 → (’19) 864,126 → (’20) 1,056,869 → (’21) 974,778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0.7%(585개) 감소하였고, 개인창업은 6.8%(48,061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월 부동산업 제외 법인창업(개) : (’18) 69,649 → (’19) 70,581 → (’20) 80,321 → (’21) 79,736
** 1∼9월 부동산업 제외 개인창업(개) : (’18) 666,302 → (’19) 684,831 → (’20) 703,132 → (’21) 751,193
법인창업은 금융보험업(34.2%↑), 전문·과학·기술업(8.6%↑), 정보통신업(7.3%↑) 등의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제조업(15.2%↓), 전기·가스·공기(29.3%↓), 도·소매업(4.1%↓) 등의 업종에서 감소했다.
개인창업은 금융보험업(37.4%↑), 정보통신업(32.5%), 전문·과학·기술업(25.4%↑) 등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부동산업(36.8%↓), 사업시설관리(21.3%↓), 예술·스포츠·여가(9.4%↓) 등 업종에서 감소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법인은 1.2%(410개) 감소하였고, 개인은 5.1%(7,089개) 증가하였다.
* 1∼9월 법인 기술창업(개) : (’18) 29,952 → (’19) 30,477 → (’20) 34,776 → (’21) 34,366
** 1∼9월 개인 기술창업(개) : (’18) 127,666 → (’19) 135,849 → (’20) 139,152 → (’21) 146,241
지역별 동향
지역별로는 울산(15.4%↓), 세종(13.6%↓), 전북(13.1%↓), 서울(12.6%↓), 광주(12.5%↓) 등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세종(10.8%↑), 인천(8.1%↑), 대전(7.0%↑) 등 대부분 지역(13개 지역)에서 증가했으나, 전북(4.6%↓), 전남(2.6%↓), 강원(2.2%↓), 광주(1.6%↓), 울산(0.8%↓) 지역(5개 지역)에서는 감소했다.
< ’21년 1∼9월(누계)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전체
△12.6
△5.7
△5.5
△7.9
△12.5
△12.1
△15.4
△0.6
△11.3
부동산업 제외
5.3
4.7
6.5
8.1
△1.6
7.0
△0.8
11.8
△2.2
지역
충북
충남
세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전체
△8.1
△6.7
△13.6
△13.1
△12.1
△5.3
△8.5
△9.0
△7.3
부동산업 제외
4.2
4.5
10.8
△4.6
△2.6
4.5
4.5
6.5
6.1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전체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7.3%(83,729개)가 감소*했으나, 작년 정책 변화(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 사업자 등록 의무화, ‘20.1월)로 사업자 등록이 급증한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6.1%(47,476개) 증가**한 수치이다.
* 1∼9월 창업기업(개) : (’19) 945,322 → (’20) 1,152,727 → (’21) 1,068,998
** 1∼9월 부동산업 제외 신규창업(개) : (’19) 755,412 → (’20) 783,453→ (’21) 830,929
주요 업종별로는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도·소매업이 12.3% 증가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해 작년 창업이 감소한 개인서비스업도 올해는 5.2%가 증가하면서 일부 대면업종에서 회복의 흐름이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비대면화로 인해 정보통신업(26.1%), 전문과학기술업(20.8%) 등에서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3/4분기(누적) 기준 기술기반업종창업*(이하 ‘기술창업’)은 역대 최초로 18만개를 돌파했다.
* 1∼9월 기술창업 수(개) : (’19) 166,326 → (’20) 173,928 → (’21) 180,607
▣ 제조업과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을 포괄한 기술기반업종 (OECD, 유럽연합 기준)
전체창업 추이
부동산업 제외 창업 추이
기술창업 추이
점선은 추세선임
업종별 동향
도·소매업은 전자상거래 등 통신판매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12.3% 증가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은 작년 창업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이 35.5% 감소했다.
<부동산 창업 현황 및 증감율(누계)>
기간
부동산업 창업(수)
전년동기대비 증감율(%)
’19.1∼9월
189,910
-31.6
’20.1∼9월
369,274
94.4
’21.1∼9월
238,069
-35.5
숙박·음식점업은 올해 4.0% 감소하여 작년(‘19년 대비 ‘20년 8.9%↓) 대비 감소폭이 줄었고, 개인서비스업은 작년(‘19년 대비 ‘20년 5.6%↓)과 달리 올해는 5.2% 증가했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전체 창업
도·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기술창업
’20.1∼9월
1,152,727
287,631
125,785
40,585
369,274
155,524
173,928
’21.1∼9월
1,068,998
323,016
120,813
42,709
238,069
163,784
180,607
(△7.3)
(12.3)
(△4.0)
(5.2)
(△35.5)
(5.3)
(3.8)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술창업은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한 정보통신업(26.1%)과 온라인광고업(포털배너, SNS 활용 광고 등)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과학·기술업(20.8%)이 창업 증가를 주도하며 전년동기대비 3.8%(6,679개) 증가했다.
다만, 기술창업 중 사업지원서비스업과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6.0%, 4.6% 감소하였다.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분
기술창업
제조업
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
교육
보건·
사회복지
창작·
예술·여가
’20.1∼9월
173,928
38,395
27,152
40,461
29,071
29,909
3,773
5,167
’21.1∼9월
180,607
36,664
34,240
48,874
21,507
30,195
3,875
5,252
(3.8)
(△4.6)
(26.1)
(20.8)
(△26.0)
(1.0)
(2.7)
(1.6)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연령별 동향
청년층 창업은 4.6% 증가한 반면, 부동산업 창업이 급감함에 따라 40대 이상 연령대의 창업이 감소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창업이 증가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40세 이상에서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1∼9월(누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감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6 (30대) △14.1 (40대) △30.7 (50대) △38.4 (60세이상) △49.6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개,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대
50대
60세 이상
30세 미만
30대
소계
전체 창업
’20.1∼9월
127,866
238,048
365,914
303,511
286,290
195,985
’21.1∼9월
137,782
245,023
382,805
287,682
246,855
150,078
(7.8)
(2.9)
(4.6)
(△5.2)
(△13.8)
(△23.4)
부동산업 제외
’20.1∼9월
117,339
198,477
315,816
207,714
168,580
90,650
’21.1∼9월
126,033
211,032
337,065
221,284
174,337
96,977
(7.4)
(6.3)
(6.7)
(6.5)
(3.4)
(7.0)
기술창업
’20.1∼9월
21,509
45,855
67,364
53,341
36,676
16,393
’21.1∼9월
20,928
46,059
66,987
56,939
39,061
17,404
(△2.7)
(0.4)
(△0.6)
(6.7)
(6.5)
(6.2)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조직형태별 동향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7%(1,638개) 감소했고, 개인창업**은 7.8%(8만 2,091개) 감소했다.
* 1∼9월 법인 창업기업(개) : (’18) 76,920 → (’19) 81,196 → (’20) 95,858 → (’21) 94,220
** 1∼9월 개인 창업기업(개) : (’18) 936,819 → (’19) 864,126 → (’20) 1,056,869 → (’21) 974,778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0.7%(585개) 감소하였고, 개인창업은 6.8%(48,061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월 부동산업 제외 법인창업(개) : (’18) 69,649 → (’19) 70,581 → (’20) 80,321 → (’21) 79,736
** 1∼9월 부동산업 제외 개인창업(개) : (’18) 666,302 → (’19) 684,831 → (’20) 703,132 → (’21) 751,193
법인창업은 금융보험업(34.2%↑), 전문·과학·기술업(8.6%↑), 정보통신업(7.3%↑) 등의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제조업(15.2%↓), 전기·가스·공기(29.3%↓), 도·소매업(4.1%↓) 등의 업종에서 감소했다.
개인창업은 금융보험업(37.4%↑), 정보통신업(32.5%), 전문·과학·기술업(25.4%↑) 등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부동산업(36.8%↓), 사업시설관리(21.3%↓), 예술·스포츠·여가(9.4%↓) 등 업종에서 감소했다.
기술창업의 경우 법인은 1.2%(410개) 감소하였고, 개인은 5.1%(7,089개) 증가하였다.
* 1∼9월 법인 기술창업(개) : (’18) 29,952 → (’19) 30,477 → (’20) 34,776 → (’21) 34,366
** 1∼9월 개인 기술창업(개) : (’18) 127,666 → (’19) 135,849 → (’20) 139,152 → (’21) 146,241
지역별 동향
지역별로는 울산(15.4%↓), 세종(13.6%↓), 전북(13.1%↓), 서울(12.6%↓), 광주(12.5%↓) 등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세종(10.8%↑), 인천(8.1%↑), 대전(7.0%↑) 등 대부분 지역(13개 지역)에서 증가했으나, 전북(4.6%↓), 전남(2.6%↓), 강원(2.2%↓), 광주(1.6%↓), 울산(0.8%↓) 지역(5개 지역)에서는 감소했다.
< ’21년 1∼9월(누계)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전체
△12.6
△5.7
△5.5
△7.9
△12.5
△12.1
△15.4
△0.6
△11.3
부동산업 제외
5.3
4.7
6.5
8.1
△1.6
7.0
△0.8
11.8
△2.2
지역
충북
충남
세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전체
△8.1
△6.7
△13.6
△13.1
△12.1
△5.3
△8.5
△9.0
△7.3
부동산업 제외
4.2
4.5
10.8
△4.6
△2.6
4.5
4.5
6.5
6.1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1 개발협력의 날 기념식」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최신 뉴스
- (국영문 동시배포)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폭염 대비 산불 피해지역 이재민 보호 및 물놀이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제4차 우크라이나 복구회의(URC) 참석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환영합니다
- 국민과 함께 경제 회복의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 제32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참석 결과
-
한미일 외교장관회담…"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확고" 재확인
- 영주국유림관리소, 산림사업 현장 근로자 안전관리 실태 점검 - 영주국유림관리소, 온열질환 예방 등 산림사업 참여 근로자 안전점검 -
- 이 대통령, 언론인 오찬 회동 관련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