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2021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 (잠정)
- 자동차 수출액 6개월만 40억불 돌파하며 3개월만 플러스로 반등 -
- 월간 전기·수소차 수출액 (6.2억불) 및 친환경차 수출액 (12.3억불) 역대 최고치 -
- 전기차 월간 내수판매대수 4개월 연속 1만대 상회 -
- 친환경차 연간 누적 수출액 사상 첫 100억불 돌파 - |
【 자동차 】
□ (총괄) ‘21년 11월 자동차산업은 전년 동월 대비 생산은 △6.6%, 내수는 △16.0%, 수출은 △4.7% 감소한 반면, 수출액은 3.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ㅇ 수출액은 고부가차종 수출 대폭 확대로 3개월만 플러스로 반등, 친환경차 수출액은 월 최고치를 경신하며 누적 수출액 첫 100억불 돌파
- 차량용반도체 수급애로가 여전히 지속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시현하며 40억불을 상회한 바, 기저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
* 수출액 추이(증감률, %) : (‘19.11) 39.1억불(△1.4) → (’20.11) 39.9억불(+2.0) → (‘21.11) 41.2억불(+3.3)
< ‘21년 11월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대, 억불, %) >
|
구 분 |
’21.11월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1.1-11월 |
전년동기비(%) | |
|
생 산(대) |
302,983 |
14.9 |
△6.6 |
3,143,228 |
△2.1 | |
|
내 수(대) |
143,815 |
14.8 |
△16.0 |
1,572,041 |
△8.7 | |
|
|
국산차(대) |
123,230 |
16.0 |
△13.3 |
1,299,166 |
△11.2 |
|
수입차(대) |
20,585 |
8.2 |
△29.2 |
272,875 |
5.3 | |
|
수 출(대) |
178,994 |
11.8 |
△4.7 |
1,860,460 |
8.7 | |
|
|
수출금액(억불) |
41.2 |
7.6 |
3.3 |
422.4 |
25.0 |
|
부품수출(억불) |
18.4 |
3.3 |
△2.2 |
206.5 |
25.2 |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 (생산)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이 점차 완화됨에 따라 전월대비 14.9% 증가하였으나, 한국지엠의 생산차질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6.6% 감소한 302,983대
* 한국지엠 조업현황 : 11월1주 부평1·2공장 50% 감산, 11월2주 부평 1공장 50% 감산, 11월3주 부평1·2공장 50% 감산, 11월4주 부평1공장 70% 감산
** 업체별 생산 증감률(%): 현대 △8.7, 기아 △4.1, 한국지엠 △35.0, 쌍용 △31.5, 르노삼성 +110.6
ㅇ 금년 9월, 10월은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라 생산이 두 자릿수 감소하였으나,
- 이번 달은 생산차질 영향이 감소하고, 그 간 생산차질에 대한 생산만회 노력 등으로 감소폭이 크게 줄었음
* 월별 생산 감소율(%) : (8월) 0.7 → (9월) △33.0 → (10월) △21.6 → (11월) △6.6
ㅇ 완성차사는 특근, 가동률 상향 등 탄력적으로 생산운영을 진행하며 생산만회를 위해 노력중, 그 결과 모든 업체가 전월대비 생산이 증가하였음
* 업체별 전월대비 생산 증감률(%): 현대 5.1, 기아 21.6, 한국지엠 132.2, 쌍용 78.6, 르노삼성 0.1
- 현대·기아는 출고 적체가 심한 차종 중심으로 주말 특근을 실시하면서 전월대비 감소폭 완화세가 지속
* 월별 생산증감률 추이(%) : 현대 (9월) △30.4 → (10월) △11.1 → (11월) △8.7
기아 (9월) △28.6→ (10월) △25.9 → (11월) △4.1
- 르노삼성은 내수·수출 모두 연중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유일하게 증가세(+110.6%) 시현
- 한국지엠은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평1공장의 생산차질 영향 등으로 △35% 감소하였으나, 전월대비(△82.8%) 감소폭은 축소
- 쌍용은 △31.5% 감소하였으나, 전월대비 78.6% 증가하며 금년 역대 세 번째 생산 실적을 기록
* 출고 적체 물량 해소를 위해 1,3라인 모두 특근 및 잔업을 시행하며 생산만회 노력 중
□ (내수) 완성차 5社 모두 전월대비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역기저효과*, 수입차 판매 급감 등으로 △16.0% 감소한 143,815대
* ‘20.11월 내수판매(17.1만대)는 해당월 중 역대 최다 판매 대수를 기록
* 전월대비 증감률(%) : (현대) 7.4, (기아) 21.7, (한국지엠) 5.0, (쌍용) 91.4 (르노삼성) 22.5
ㅇ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이번 달은 신형 스포티지가 11월 베스트 셀링카 1위를 기록
|
‘21.11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
|
‘21.1~11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
|
|
|
- (국산차) 출고적체 현상이 여전히 지속되면서 △13.3% 감소하였으나, 수입차보다 더 적게 감소
- (수입차) 대부분 외국계 수입차들의 판매 감소로 전년동월비 △29.2% 감소한 20,585대
* 독일계 : BMW(△24.9%), 벤츠(△50.7%), Audi(△7.7%) 등 △37.6% 감소
* 일본계 : 도요타(△3.7%), 혼다(+17.2%) 등 △1.9% 감소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미국 △30.8%, 영국 △27.1%, 프랑스 △23.8%, 이탈리아 △19.6% 등
ㅇ ‘21.1~10월 연료별 내수판매 현황 비교시 내연기관차는 △17.0% 감소한 반면, 친환경차는 65.3% 증가
- 특히 디젤차 비중이 전년동기대비 △7%p 감소하고, 하이브리드 비중은 4.7%p, 전기차 비중은 3.1%p 각각 증가
[ 연료별 내수판매 현황 ]
|
구 분 (대, %) |
21.10월 |
|
’21.1-10월 |
|
’20.1-10월 |
|
전년
동기비 | |
|
비중 |
비중 |
비중 | ||||||
|
친환경차 |
34,220 |
27.3 |
283,436 |
19.8 |
171,463 |
11.1 |
65.3 | |
|
|
하이브리드 |
20,413 |
16.3 |
178,629 |
12.5 |
121,683 |
7.8 |
46.8 |
|
전기차 |
10,998 |
8.8 |
79,586 |
5.6 |
39,045 |
2.5 |
103.8 | |
|
플러그인하이브리드 |
1,850 |
1.5 |
7,380 |
0.5 |
5,102 |
0.3 |
44.6 | |
|
수소차 |
959 |
0.8 |
17,841 |
1.2 |
5,633 |
0.4 |
216.7 | |
|
내연기관차 |
91,076 |
72.7 |
1,144,790 |
80.2 |
1,378,758 |
88.9 |
△17.0 | |
|
|
가솔린 |
61,733 |
49.3 |
701,574 |
49.1 |
780,585 |
50.4 |
△10.1 |
|
디젤 |
20,307 |
16.2 |
356,061 |
24.9 |
493,920 |
31.9 |
△27.9 | |
|
LPG |
9,036 |
7.2 |
87,155 |
6.1 |
104,253 |
6.7 |
△16.4 | |
|
전체 합계 |
125,296 |
100 |
1,428,226 |
100 |
1,550,221 |
100 |
△7.9 |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전기·수소차 신차 판매 비중도 전년동기대비 2.9%에서 6.8%로 대폭 확대되었으며, 일부 유럽국가 및 중국 제외 가장 높은 판매비중 기록
* 세계 전기·수소차 신차판매 비중 평균 : 5.0%
- 특히, 승용차는 올해 처음으로 금년 ‘21.1-10월 친환경차 신규등록대수(26만대)가 디젤차 신규등록대수(19.4만대)를 뛰어 넘음
* ‘20년까지는 디젤차(35.7만대)가 친환경차(21만대)의 1.7배를 상회하였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1회 「전시산업인의 날」 기념식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상생소비복권 1차 2025명 당첨…"1등 2000만 원"
-
이재명 대통령 긴급 지시…정부자산 매각 전면 중단
-
젠슨 황이 한국으로 뛰어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
-
개인정보분쟁조정위, SKT에 '손해배상금 30만 원씩 지급' 결정
-
5일부터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시작
-
"한국, 실용적 중견국 리더십 발휘"…외신이 본 '경주 APEC'
-
정부, 김장철 물가 안정 총력…배추·무 등 4만 7500톤 공급
-
이 대통령 "AI 고속도로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 열어야"
-
내년부터 '지역인재 7급' 공무원, 대학별 추천 인원 대폭 확대
-
내년 5급 국가공무원·외교관 공채 1차, 3월에 치른다
최신 뉴스
- 축산업과 농촌 상생, 온실가스 감축 방안, 재생에너지를 통해 찾다
- 과기정통부, '생활 속 전자파 바로 알기' 국민 참여 공모전 수상작 선정
- 파인건설㈜의 불공정하도급거래행위 제재
- [11.10.월.조간] 늘어나는 파킨슨병, 조기 인지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브라질 벨렝에서 개막
- 녹조, 수질 변화를 한눈에… 공간정보 시각화 프로그램 공개
- 자연자본공시 이행기반 마련과 역량 제고를 위한 논의 본격화
- 볼리비아 대통령 취임식 경축 특사 파견 결과
- 국민과 함께 만드는 새로운 LH, LH 개혁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해수부, 제30차 유엔기후총회에서 기후변화 대응 위한 국제협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