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감염병 대응, 신약?의료기기, 질환 극복 등에 2022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 1조 4,687억 원 지원

2021.12.23 보건복지부
목록
감염병 대응, 신약․의료기기, 질환 극복 등에 2022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 1조 4,687억 원 지원
- 2021년 제5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12.23(목))를 통하여
복지부, 과기부, 산업부, 식약처, 질병청의 2022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 심의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12월 23일(목) 제5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공동위원장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공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에서 ‘통합 시행계획’ 등을 통하여 총 1조 4,687억 원의 2022년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을 심의하였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 참여하는 5개 부처․청의 2022년 주요 R&D 예산 기준

이는 2021년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예산인 1조 3,285억 원 대비 1,402억 원이 증액된 규모로, 정부 R&D 총예산 29조 7,770억 원의 4.9%를 차지한다.

특히 전년 대비 보건의료 R&D 예산 증가율은 10.6%로, 같은 기간 정부 R&D 총예산 증가율인 8.7%를 상회하여 보건의료 R&D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 공익적 R&D 투자 확대, ▴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112개 사업의 신규과제 1,854억 원, 계속과제 1조 2,83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2022년 보건의료 R&D 예산의 부처별․분야별 현황 >

(단위 : 억원)

2022년 보건의료 R&D 예산의 부처별․분야별 현황
구분 합계 복지부 과기부 산업부 식약처 질병청
합계 14,687 6,991 2,884 2,668 791 1,353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3,582 1,945 737 79 95 726
첨단 유망기술 육성 7,899 2,473 1,916 2,589 646 275
(재생의료) 936 603 333 - - -
(신약, 의료기기 등) 6,963 1,870 1,583 2,589 646 275
공익적 R&D 투자 강화 2,139 1,577 231 - - 331
(사회문제 해결) 701 701 - - - -
(질환극복) 1,438 876 231 - - 331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1,067 996 - - 50 21

<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22년 3,582억원) >

① (코로나19)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임상․임상 단계 연구를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22. 976억 원).

② (백신 허브) 코로나19 뿐 아니라 신․변종 감염병(Disease-X)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백신의 개발역량 강화, 평가기술 개발, 공급 안정 및 글로벌 백신 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해 1,169억 원(13개 사업)을 지원한다.

- (신속․범용백신) 감염병 대유행(pandemic)에 대응하여 신속히 백신을 제작할 수 있는 mRNA, 나노 파티클(NP), 합성항원 등 백신 플랫폼과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등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에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백신 개발을 지원한다.


< 백신 개발 분야 주요 신규 사업 >
·(복지부) 신속 범용 백신 기술개발 사업 (56억)
·(복지부)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개발 사업 (48억)
·(복지부․질병청)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 백신 임상지원 (105억 + 67억)
·(과기부) 신변종 감염병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개발 (113억)
·(식약처)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95억)
·(질병청) 신기술 기반 백신플랫폼 개발 지원 (123억)
·(질병청) 공공백신 개발 지원 사업 (50억)


- (기반기술) 면역증강제, 접종․안정화 및 부작용 예측 등 백신 효과 확대와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에도 힘쓸 계획이다.


< 백신 개발 분야 주요 신규 사업 >
·(복지부) 백신 기반기술개발 사업 (65억)
·(과기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백신허브기반구축) (193억)
·(과기부) 감염병 차세대 백신 기초원천 핵심기술개발 (100억)
·(산업부) 백신 원부자재 생산 고도화 기술개발 (69억)


<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22년 7,899억원) >

① (신약․의료기기 등) 신약, 의료기기,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첨단 유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기 위하여 기초, 중개․임상, 제품화 및 인․허가까지 전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한다.


< 첨단 유망기술 분야 주요 범부처 사업 >
·(복지․과기․산업) 국가신약개발사업 (’21. 452억 원 → ’22. 1,343억 원)
·(복지․과기․산업․식약)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 (’21. 1,839억 원 → ’22. 1,751억 원)
·(복지․과기) 전자약 기술개발 사업 (’22. 28억 + 24억, 신규)
·(복지․과기) 자폐혼합형 디지털치료제 개발 (’22. 31억, 신규)


② (재생의료) 희귀․난치질환자의 치료기회 확대와 바이오헬스 시대 국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과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21. 764억 원 → ’22. 936억 원).


< 재생의료 분야 주요 사업 >

·(복지․과기)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 (’21. 128억 원 → ’22.. 382억 원)
·(복지) 첨단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 등) (’21. 389억 원 → ’22.. 344억 원)
·(복지) 재생의료 임상연구 기반조성 사업 (’22. 68억, 신규)
·(과기) 바이오의료기술개발(줄기세포/조직재생) (’21. 247억 → ’22. 142억)


< 공익적 R&D 투자 강화 (’22년 2,139억원) >

① (사회문제 해결)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혈액 부족, 건강 격차, 취약계층 돌봄, 비대면 진료 등 공익적 수요가 높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화 중심 기술개발을 지원한다(‘21. 560억 원→ ’22. 701억 원).


< 사회문제 해결 분야 주요 사업 >
·(복지) 포스트코로나 시대 적정수혈을 위한 의료기술개발사업(’22. 20억, 신규)
·(복지) 공익적 의료기술 연구사업 (’21. 42억 → ’22. 119억)
·(복지)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사업 (’21. 76억 → ’22. 101억)
·(복지) 국민건강스마트관리연구개발사업 (’21. 48억 → ’22. 84억)


② (질환극복) 정신건강, 치매, 암, 미세먼지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에 중점 투자하여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21. 1,107억 원→ ’22. 1,264억 원).


< 질환극복 분야 주요 사업 >
·(복지)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운영 사업 (’21. 360억 → ’22. 430억)
·(복지․과기) 치매극복연구개발 (’21. 79억 + 79억 → ’22. 112억 + 112억)
·(복지) 정신건강 연구개발 (’22. 62억, 신규)
·(과기) 뇌질환 극복연구 (’21. 78억 → ’22. 95억)
·(질병) 만성병관리기술개발 (’21. 158억 → ’22. 210억)
·(질병) 미세먼지 기인 질병대응연구 (’21. 46억 → ’22. 48억)


<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 (’22년 1,067억원) >

의사과학자, 규제과학 전문가 등 바이오헬스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병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연구․산업생태계를 육성한다(‘21. 966억 원→ ’22. 1,067억 원)


< 인재양성 및 인프라 분야 주요 사업 >
·(복지) K-Medi 융합인재 양성지원 사업 (’22. 59억, 신규)
·(복지)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 (’21. 135억 → ’22. 132억 / ’21. 41억 → ’22. 51억)
·(식약)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 (’21. 31억 → ’22. 50억)
·(복지) 연구중심병원 육성 (’21. 440억 → ’22. 529억)
·(복지)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 (’21. 170억 → ’22. 135억)


특히 의사과학자는 임상교수․전임교원 대상 K-medi 융합인재 양성 사업 신설 등으로 학부생부터 박사 후 신진 의사과학자까지 전주기 지원체계가 구축되었으며,

현재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여 운영되는 “범부처 협의체”를 중심으로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공동위원장인 공구 교수(한양대학교 의과대학)는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가 차관급 범부처 회의체로 격상된 이후에 처음 개최된 회의로 그 의미가 크다.”고 하면서

“향후에 보건의료 R&D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부처 간 정보공유․협력, 민간과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류근혁 제2차관은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변종 감염병과 정신건강, 치매, 암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의료 R&D를 계속 강화할 것”이며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 밝혔다.

2022년 보건의료 R&D 사업은 올해 말에 부처별로 통합 시행계획 공고를 거쳐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자세한 사업의 내용은 아래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붙임 1. 2022년 5개 부처․청의 분야별 보건의료 R&D 사업 현황
2. 2022년 보건복지부 R&D 통합 시행계획 주요내용
3. 2022년 질병관리청 R&D 통합 시행계획 주요내용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법무부, 「기업과 인권 길라잡이」 발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