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최근 5년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 70.7% -
- 위암·대장암·간암·자궁경부암은 발생 감소, 유방암·전립선암은 증가 추세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서홍관)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수집된 우리나라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발표하였다.
국가암등록통계는 매년 2년 전 암 발생률, 생존율, 유병률을 산출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암관리 정책 수립 및 국제 비교의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국가암등록통계는 암관리법 제14조에 근거하여 매년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암환자 자료를 수집·분석한다.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암 발생 관련
(암환자 수) 2019년 신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5만 4,718명(남 13만 4,180명, 여 12만 538명)으로, 2018년(24만 5,874명) 대비 8,844명(3.6%) 증가하였다.
- 전년 대비 남자는 4,356명(3.4%), 여자는 4,488명(3.9%) 증가하였으며, 2015년 이후 신규 암 환자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 (’15) 21.8만 → (’16) 23.3만 → (’17) 23.6만 → (’18) 24.6만 명 → (’19) 25.5만 명
(암발생률) 전체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295.8명으로 전년 대비 3.4명(1.2%) 증가하였다.
* ’00년 주민등록연앙인구를 표준인구로 연령표준화율 산출(시점간/지역간 비교에 활용)
- 2015년 이후 암 발생률*의 연간 변화율은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 10만 명 당 발생률: (’15) 280.4명 → (’17) 287.7명 → (’18) 292.4명 → (’19) 295.8명
< 모든 암 연도별 연령표준화발생률 추이 > : 본문 참조
- 성별로는 남자 암 발생률은 전년 대비 0.6명 감소하였으나, 여자 암 발생률은 6.6명 증가하였다.
* 남자 암 발생률: (’15) 306.0명 → (’17) 306.7명 → (’18) 308.7명 → (’19) 308.1명
* 여자 암 발생률: (’15) 270.8명 → (’17) 283.6명 → (’18) 290.8명 → (’19) 297.4명
※ 암 발생률 증가 요인
· 암 발생이 높은 고령 인구 증가와 폐암(여자), 유방암(여자), 전립선암, 갑상선암 발생률 증가 등의 영향
* (여자 암 발생률 증가) 2018년 대비 2019년 갑상선암(3.3명), 유방암(2.7명), 폐암 (0.5명)에서 발생률 증가
(암발생확률)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9%였으며,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9%), 여자(87세)는 3명 중 1명(35.8%)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암종별) 2019년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이어서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었다.
* 갑상선암(3만 676명), 폐암(2만 9,960명), 위암(2만 9,493명), 대장암(2만 9,030명), 유방암(2만 4,933명), 전립선암(1만 6,803명), 간암(1만 5,605명)
- 2018년과 비교했을 때 갑상선암이 1,715명(5.9%), 폐암이 1,069명(3.7%) 증가하였고, 간암은 229명(-1.4%) 감소하였다.
* (남자 암 발생 순위) 폐암 위암 대장암 전립선암 간암 - 갑상선암 순(여자 암 발생 순위)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 간암 순
(암발생추이)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6대암(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장기 추세를 보면,
-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10여 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폐암은 유의미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유방암의 발생률은 20년간 증가하는 추세이다.
- 그 외 전립선암은 199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2012년부터 감소하였던 갑상선암은 2015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주요 암종별 발생률(남녀 전체) 추이 (단위: 명/10만 명) >
구분 | 위 | 대장 | 간 | 자궁경부 | 폐 | 유방 | 전립선 | 갑상선 |
---|---|---|---|---|---|---|---|---|
’99 | 45.6 | 21.3 | 28.9 | 9.7 | 28.9 | 12.8 | 3.2 | 7.3 |
’09 | 45.3 | 38.2 | 24.0 | 6.4 | 28.9 | 22.5 | 10.7 | 56.7 |
’15 | 35.5 | 32.1 | 19.0 | 5.6 | 27.3 | 28.3 | 11.4 | 52.4 |
’18 | 31.7 | 29.9 | 16.8 | 5.3 | 28.3 | 33.0 | 14.4 | 49.4 |
’19 | 30.8 | 30.0 | 16.1 | 4.8 | 28.2 | 34.3 | 15.5 | 52.3 |
(국제 비교)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275.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1.1명)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 미국(352.2), 프랑스(344.1), 캐나다(334.0), 이탈리아(290.6)보다는 낮은 수준이며, 일본(248.0)에 비해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 기간별 비교를 위해 세계표준인구를 기준인구로 연령표준화한 수치로 암발생률 국제 비교 시 활용
2. 암 생존 관련
(생존율) 최근 5년간(’15-’19)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70.7%로,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5년 상대생존율) 암환자의 5년 생존율과 일반인의 5년 기대생존율의 비로, 일반인과 비교하여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을 의미
< 모든 암의 5년 상대생존율: 1993-2019 > : 본문 참조
- 5년 생존율은 지난 1993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약 10년 전(’06-’10)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65.5%)과 비교할 때 5.2%p 높아졌다.
- 성별 5년 생존율은 여자(77.3%)가 남자(64.5%)보다 높았는데,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여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암종별) 갑상선암(100.0%), 전립선암(94.4%), 유방암(93.6%)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간암(37.7%), 폐암(34.7%), 담낭 및 기타담도암(28.5%), 췌장암(13.9%)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 약 10년 전(‘06-’10) 대비 생존율이 10%p 가량 상승한 암종은 폐암(14.4%p 증가), 간암(9.4%p 증가), 위암(9.1%p 증가)이었다.
(국제 비교)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에 대해 국제 비교해 보면, 5년 순 생존율*은 미국, 영국 등에 비해 대체로 높은 수준이다.
< 주요 암의 5년 순 생존율* 국제 비교(’10-’14) >
구분(%) | 위 | 대장 | 간 | 폐 | 유방 | 자궁경부 | |
---|---|---|---|---|---|---|---|
결장 | 직장 | ||||||
한국 | 68.9 | 71.8 | 71.1 | 27.2 | 25.1 | 86.6 | 77.3 |
미국 | 33.1 | 64.9 | 64.1 | 17.4 | 21.2 | 90.2 | 62.6 |
영국 | 20.7 | 60.0 | 62.5 | 13.0 | 13.3 | 85.6 | 63.8 |
일본 | 60.3 | 67.8 | 64.8 | 30.1 | 32.9 | 89.4 | 71.4 |
Allemani C, Matsuda T, Di Carlo V, Harewood R, Matz M, Nik i M, et al. Global surveillance of trends in cancer survival 2000-14 (CONCORD-3): analysis of individual records for 37,513,025 patients diagnosed with one of 18 cancers from 322 population-based registries in 71 countries. Lancet 2019;391(10125):1023-1075. doi: 10.1016/S0140-6736(17)33326-3.
* 5년 순 생존율: 암이 유일한 사망원인인 경우 암환자가 진단 후 5년간 생존할 확률. 연령구조가 다른 지역·기간별 비교 위해 연령표준화한 수치로, 암생존율 국제 비교 시 활용
3. 암 유병 관련
(암유병자) 2019년 암 유병자(1999년 이후 확진을 받아 2020년 1월 1일 기준,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사람)는 약 215만 명으로, 전년(약 201만 명) 대비 약 14만 명 증가하였다.
- 이는 국민(5,133만 7,432명) 25명당 1명(전체인구 대비 4.2%)이 암유병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 남자 27명당 1명(3.7%), 여자 21명당 1명(4.7%)
** 2018년은 국민(5,130만 888명) 25만명 당 1명(전체인구 대비 4.2%), 남자 29명 당 1명(3.4%). 여자 23명 당 1명(4.7%)
- 특히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한 암환자는 전체 암유병자의 절반 이상(59.1%)인 약 127만 명으로, 전년(약 116만 명) 대비 약 11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모든 암 유병자수 및 진단 후 경과 기간별 암유병자 분율 > : 본문 참조
- 65세 이상에서는 8명 당 1명이 암유병자였으며, 남자는 6명 당 1명, 여자는 10명 당 1명이 암유병자였다.
* 65세 이상 암유병자는 99만 6,051명으로, 65세 이상 전체 인구(771만 8,618명)의 12.9%에 해당(남자 16.4%, 여자 10.3%)
(암종별) 갑상선암(46만 2,151명)의 유병자수가 전체의 21.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위암(31만 8,948명), 대장암(27만 9,717명), 유방암(25만 9,116명), 전립선암(10만 8,870명), 폐암(10만 3,108명) 순이었다.
- 암유병자 수를 성별로 살펴봤을 때는, 남자는 위암(21만 689명), 대장암(16만 5,962명), 전립선암(10만 8,870명), 갑상선암(8만 4,565명), 폐암(6만 2,105명) 순이며,
- 여자는 갑상선암(37만 7,586명), 유방암(25만 8,172명), 대장암(11만 3,755명), 위암(10만 8,259명), 자궁경부암(5만 8,983명) 순이었다.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우리나라 암등록통계사업은 암 관리 정책의 효과와 미비점 및 추진 방향을 제시해준다.”라고 설명했다.
“올해 전 주기적 암관리 강화를 위한 제4차 암관리 종합계획을 수립·발표한 것을 비롯하여 암에 대한 국민부담 경감을 위한 조기검진, 예방접종 확대, 암 예방 등 인식개선, 암 치료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 더불어, “이에 암 생존율 지속 증가 등 개선된 상황이 암등록통계에 반영된 것으며 보이며, 앞으로도 암예방·검진 고도화, 암 치료·관리 내실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고령화 등으로 암 발생률은 지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주기적인 암 검진과 생활 속 암예방 수칙을 준수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라고 강조했다.
< 붙임 > 1.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 주요 결과2. 국민 암예방 수칙
< 별첨 >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 참고자료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건복지부, 혁신형 의료기기 기업 11개 신규 인증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새 정부 30조 5000억 추경안 확정, 전 국민에 15만~50만 원 소비쿠폰
-
이 대통령, 국회 첫 시정연설…"추경, 경제위기 가뭄 해소 마중물"
-
이 대통령 "내일 6·25전쟁 75주년…가장 확실한 안보는 평화"
-
이 대통령, 국민과의 소통 강화…오늘부터 '국민사서함' 운영
-
이 대통령, 호남 주민과 타운홀 미팅…군 공항 이전 문제 등 직접 소통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소상공인 경영부담 줄인다…내달 14일부터 '3대 지원사업' 본격 시행
-
이 대통령 "평화가 곧 경제…한반도 평화체계 굳건히 구축"
- 직장인 점심비 지원 방안은 구체화된 바 없음
최신 뉴스
- 제45대 유재성 경찰청 차장, 취임식을 통해 첫 행보 시작
- 인공지능 혁신 아이디어로 똑똑하게 일해요
- [7.1.화.석간] 2024년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신규 감염인 전년 대비 약 3% 감소
- 농관원, 농식품 안전과 품질 연구성과 심포지엄 개최
-
이 대통령 "문화 산업으로 일자리 만들고, 국력 키우는 방안 고민"
- 농식품부 "농어촌 주민수당과 관련된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취임 30일 기자회견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예술인 간담회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영상
외교부 가족들과의 만남 - 누나 회사에 출근한 남동생 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