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코로나19 이후 신남방 핵심국 인도와의 통상협력 재개

글자크기 설정
목록
 
코로나19 이후 신남방 핵심국 인도와의 통상협력 재개
- 통상교섭본부장 訪印, 양국 통상장관 회담 등 개최 -
- -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 재개 및 공급망·디지털 협력 등 논의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1.10()~1.12()(이하 현지시간)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국인 인도를 방문하여 코로나19 이후 -인도 경제·통상 협력 재개를 위한 행보에 나설 계획임
 
인도와 ’17년 신남방정책 천명 이후, 휴대폰·디스플레이, 자동차, 섬유화학 등 제조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는 등 활발한 경제협력 관계를 구축해 왔으며,
 
* 한국의 인도 투자 (’13~’16) 17.5억불 (’17) 9.5억불 (’18) 8.3억불 (’19) 6.9억불 (20) 5.9억불 (21.3Q) 2.3억불
 
** 현대차, 삼성전자, 포스코, 효성 등 한국의 주요기업 다수 진출
 
ㅇ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1년 교역액이 전년대비 40.5%가 증가한 236억불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고,
 
- 특히 중간재 교역이 크게 증가**하는 등 공급망 연결성도 긴밀해지고 있는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 대상국
 
* -인도 교역 (’17) 200억불 (’18) 215억불 (’19) 207억불 (’20) 169억불 (’21) 236억불
 
** -인도 중간재 교역(억불, 비중) (17) 149억불(74.5%) (18) 178억불(82.8%)
(19) 171억불(82.6%) (20) 137억불(81.5%) (21.11) 186억불(86.1%)
 
여 본부장은 우선 1.11() 피유시 고얄(Shri Piyush Goyal) 인도 상공부 장관과의 -인도 통상장관 회담을 통해 -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 재개 및 공급망·디지털 등 양국 간 통상협력 방안 논의를 가질 예정임
 
* CEPA :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인도 CEPA20101월 발효 이후 양국 간 교역과 투자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양국은 ’15년 이후 개선협상을 진행해왔으나 ’19.6월 이후 코로나19 등으로 중단된 상황인 바, 이번 양국 통상장관 회담이 협상 재개에 새로운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됨
 
* 발효 /(’00~’09/‘10~’19)10년 평균 비교
교역 2.6(71.8186.3억불), 투자 3.6(1.44.9억불), 방문객 2.2(11.124.3만명)
 
- 이번 양국 통상장관 회담에서는 코로나19 이후 통상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교역 원활화 투자 확대 안정적 공급망 구축 경제협력 플랫폼으로서 한-인도 CEPA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 협상 재개 및 가속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임
 
ㅇ 특히 한-인도 CEPA 개선협상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불참한 인구 14억의 인도 시장을 추가 확보함으로서 세계 최대 FTARCEP 경제권의 협력을 완성하고 신남방 FTA를 고도화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음
 
* RCEP: 아세안 10개국 및 한국·중국·일본·호주·뉴질랜드가 참여하여 올해 1월 발효, 인도는 협상 참여했으나 ’19.11월 불참 선언
** 아세안 10개국: 브루나이,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한편 여 본부장은 인도 주요 경제단체 싱크탱크 전문가들과 토론회 등을 개최하여 최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새로운 통상질서 형성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한-인도 공동대응 및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으로,
 
인도 경제 및 산업육성 등을 위해 인도 기업 약 30만개 회사로 구성된 인도 최대의 경제단체인도 산업협회(CII)*그간 양국 경제협력에 대한 -인도 CEPA의 기여와 개선방향, 양국 간 공급망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 CII : Confederation of Indian Industry
 
세계적 싱크탱크 중 하나인 옵저버연구재단(ORF)과는 인도 태평양 지역 역내의 통상질서 재편 세계 다자주의 체계 복원 등 변화하는 통상환경을 진단하고 -인도 통상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임
 
펜실베니아 대학교 로더연구소 발표, Global Go Think Tank Index Report 2020년 판, 세계 최고의 싱크탱크 목록에서 20위를 차지
 
* ORF : Observer Research Foundation
 
또한, 인도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들과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우리 기업의 애로청취 및 경영지원 활동 등을 병행할 예정임
 
*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효성, SD바이오센서, CJ다슬 등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1.10., 0시 기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