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국립종자원, 종자 수출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2022.04.28 농림축산식품부
목록

  국립종자원(원장 김기훈)은 침체되어있는 국내 종자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427일 종자산업진흥센터(전북 김제시 소재)에서 종자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종자 수출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세계 종자시장*’20440억 불로 연평균 4%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농업의 뜨는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한국의 종자시장**은 세계종자시장의 1.4%(6.2억 불)에 불과하여 국내 종자산업의 새로운 활로 모색이 필요하다.

 

   * 세계종자시장은 독일, 미국, 중국, 프랑스, 덴마크, 네덜란드, 일본의 12개 기업이 65%(290억 불) 차지

   ** 한국 종자시장 규모: ('15) 5,784억 원 ('16) 6,135 ('17) 6,607 ('20) 7,367

 

  또한 지난해까지 연평균 5% 내외로 증가하던 종자 수출액이 올해 1/4분기 들어서는 무, 양배추, 양파, 토마토 등의 종자 수출 감소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3% 감소하는 등 종자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종자 수출 활성화 방안 모색이 절실한 상황이다.

 

   * 연차별 1/4분기 종자 수출액: (‘19) 923만 불 (‘20) 1,013 (‘21) 1,106 (‘22) 958

 

  이러한 측면에서 국립종자원은 종자 수출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첫 단계로 국내 종자업계 대표 40여 명과 종자 수출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하여 업계 어려움을 청취하고 수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번 간담회에서 종자업계는 종자산업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서 수출 가능성이 큰 채소 종자를 중심으로 민관이 협업하여 종자 수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 채소종자 수출액: (‘18) 5,077만 불 (‘19) 5,702 (‘20) 5,801 (‘21) 5,877

 

  이에 민관학이 함께 참여하는 종자 수출 활성화 전담 조직을 구성하여 지금까지의 종자 수출 상황과 여건 및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수출 관련 제도와 정부 지원사업, 해외시장 다변화와 홍보, 민간 종자 업계의 역량 강화 등 다각적인 면에서 종자 수출 활성화 방안을 올해 하반기까지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전담조직 구성) 국립종자원, 종자기업, 한국농촌경계연구원, ()한국종자협회 및 종자수출협의회 등

 

  국립종자원 조경규 종자산업지원과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곡물 위기 상황이 가중되는 시점에서 이번 종자 수출 활성화 방안 마련을 통하여 종자산업이 농업의 새로운 미래전략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2년 공동주택 가격 결정공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