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한미 외교차관 통화(5.18.) 결과

2022.05.18 외교부
목록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은 5.18.() 저녁 웬디 셔먼(Wendy Sherman)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취임 후 첫 통화를 갖고, 한미 정상회담 준비, 한미동맹 강화, 문제,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하였다.

셔먼 부장관은 조 차관의 취임을 축하하고, 양국이 각 급에서 수시로 소통하는 가운데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발전시켜 나가자고 하였다.

양 차관은 이틀 후 이루어지는 바이든 미 대통령의 방한 및 한미 정상회담이 한미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내실 있는 다양한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양 차관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비롯한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였으며,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한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동시에, 한미 양국 모두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대화의 문을 열어둘 것임을 재확인하고, 원칙과 일관성 있는 북한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자고 하였다.

또한, 최근 북한 내 심각한 코로나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으며, 미측은 우리의 대북 코로나 방역 지원 방침에 대해 지지를 표하였다.

셔먼 부장관은 우리 신정부의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비전에 공감하면서, 글로벌 중추국가 구상을 통한 우리의 기여 확대 의지를 환영하였다. 또한 우리가 우크라이나 문제, 팬데믹 대응 등 주요 글로벌 이슈에 있어 리더십을 발휘하고 기여해 온 데 대해 사의를 표명하였다.

조 차관은 신정부는 향후 인태 지역은 물론 글로벌 현안 대응에 있어 우리의 국제사회 위상에 걸맞은 역할과 기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양 차관은 주요 지역 및 글로벌 현안 대응에 있어 한미일 3국 간의 공조도 강화해 나가자고 하였다.

셔먼 부장관이 앞으로도 조 차관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양국 공동관심사에 대해 수시로 논의하기를 희망한다고 한 데 대해, 조 차관은 셔먼 부장관이 이른 시일 내 한국을 방문하여 심도 있는 협의를 이어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붙임 : 통화 사진. .

문보도자료 바로가기(Eng. Version)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5.19.)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