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최영태)은 오는 5.22.(일) “생물다양성의 날”을 맞이하여 우리나라 야생 자생식물의 멸절 위협 평가 결과를 담은‘한국의 희귀식물(부제: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을 발표한다.
이번 간행물에는 현재 우리나라 야생에서 관찰 가능한 자생식물 2,522종을 대상으로 자생지 현장 조사 자료와 학계에 발표된 종별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제시한 ‘지역 및 국가 적색목록 평가 지침’에 따라 멸절 위협 정도에 대한 평가 결과를 함께 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평가된 모든 자생식물은 6개의 범주(멸절 위협 상태에 대한)로 구분되었으며, ‘위급’ 64종, ‘위기’ 95종, ‘취약’ 116종, ‘준위협’ 116종, ‘약관심’ 1,817종, ‘정보부족’ 314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 6개 범주: 위급(Critically Endangered), 위기(Endangered), 취약(Vulnerable), 준위협(Near Threatened), 약관심(Least Concern), 정보부족(Data Deficient)
특히 ‘위급’, ‘위기’, ‘취약’ 범주는 멸절 위협범주(Threatened categories)에 속하는 것을 의미하여, 자생식물의 약 10%(275종류)가 해당함이 확인되었다.
생물다양성협약(CBD)의 지구식물보전전략(GSPC)은 각 국가 자생식물의 객관적인 멸절 위협상태에 대한 파악을 위해 알려진 모든 자생식물에 대한 평가를 권고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적색목록 연구는 대부분 일부 특정 종만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져 자생식물 전반에 대한 위협 정도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국립수목원 손성원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에서 관찰 가능한 자생식물 전체를 대상으로 위협 정도를 평가한 국내 첫 시도로, 우리나라 식물다양성 감소와 위협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한 단계 높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밝혔다.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이번 연구성과는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정책 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히며, “국립수목원은 앞으로 멸절 위협에 처한 희귀식물의 보전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간행물은 5월 26일부터 국립수목원 누리집(http://kna.forest.go.kr) 에서 PDF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이 자료는 산림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거리 노숙인 지원 거점 노숙인시설 육성한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한미, 관세협상 타결…자동차관세 15%·현금투자 연 200억 달러 상한
								
							 - 
								
									
									
									
									
										
									
								
									
										
											
											
											
												
											
											
											
											
										
									
									이재명 대통령 긴급 지시…정부자산 매각 전면 중단
								
							 - 
								
									
									
									
									
										
									
								
									
										
											
											
											
												
											
											
											
											
										
									
									'K-패스' 출시 17개월 만에 400만 명 돌파…내년 혜택 더 늘려
								
							 - 
								
									
									
									
									
										
									
								
									
										
											
											
											
												
											
											
											
											
										
									
									내년 2월 '생계비계좌' 도입…'월 250만 원'까지 압류 금지
								
							 - 
								
									
									
									
									
										
									
								
									
										
											
											
											
												
											
											
											
											
										
									
									한·중, '70조 원'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외환시장 안정 기대 
								
							 - 
								
									
									
									
									
										
									
								
									
										
											
											
											
												
											
											
											
											
										
									
									'APEC 경주선언' 채택…역내 문화창조산업 협력 필요성 첫 명문화
								
							 - 
								
									
									
									
									
										
									
								
									
										
											
											
											
												
											
											
											
											
										
									
									이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에 무궁화대훈장·금관모형 전달
								
							 - 
								
									
									
									
									
										
									
								
									
										
											
											
											
												
											
											
											
											
										
									
									양정웅 예술감독  "K-APEC 무대, 작은 날갯짓이 인류 공동 번영 잇길"
								
							 - 
								
									
									
									
									
										
									
								
									
										
											
											
											
												
											
											
											
											
										
									
									이 대통령, 젠슨 황 접견…"아·태지역 'AI 수도' 함께 만들어가자"
								
							 - 
								
									
									
									
									
										
									
								
									
										
											
											
											
												
											
											
											
											
										
									
									3분기 성장률 1.2%, 6분기 만에 최고…새 정부 '첫 경제성적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