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1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 발간
- 주요 내용-
□ 2021년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의 등재된 병원체자원은 6,077주(932종)
○ 신규 수집된 자원은 2,133주(368종)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에 신규 등재된 자원 631주(122종)
□ 2021년 국내 보건의료연구 및 산업기관에 분양 활용된 자원 3,988주(161종)
□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행장 김성순)은 ’22년 6월 13일, 「2021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Annual Report of National Culture Collection for Pathogens)」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병원체자원의 수집·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8조에 의해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국내·외 병원체자원 관련 연결망을 구축하여 병원체자원*의 확보, 자원화, 관리 및 분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병원체자원이란 보건의료의 연구 또는 산업을 위하여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가치가 있는 자원으로서 인간에게 감염병을 일으키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원충 등의 병원체 및 관련 정보 등을 의미함(법 제2조)
□ 연보에는 2021년 병원체자원 수집·등재 현황, 신규 자원 및 분양 현황 등이 상세 소개되어 있으며, 국가 책임기관으로서 기탁·등록·보존기관의 확대·강화를 위해 분야별병원체자원전문은행의 신규 지정 및 은행 현황에 대한 소식을 담고 있다.
○ 또한 병원체자원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보유자원 특성 고도화 사업, 국내·외 협력 현황, 홍보 및 학술 활동, 분양된 병원체자원 활용 현황 등이 수록되어 있다.
□ ’21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의 병원체자원 수집, 등재, 분양 현황은 아래와 같다.
○ 분야별 병원체자원전문은행 등의 수집 연결망을 통해 연간 총 2,133주*(368종)가 수집 및 수탁되었다.
* 세균 1,839주(263종), 진균 229주(100종), 바이러스 48주(5종), 파생물질 17건
○ 기탁·분양 심의위원회를 통해 총 631주*가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에 신규 등재되었으며,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도 18주가 등재되었다.
* 세균 559주(88종), 진균 31주(31종), 바이러스 30주(3종), 파생물질 11건
** 「병원체자원법」 제13조에 따라 보존 가치가 있는 병원체를 심의·등재하여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분양 가능 자원 목록
- ’21년 기준,「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 등재자원은 총 6,077주(932종)*이다.
* 세균 4,915주(745종), 진균 482주(156종), 바이러스 401주(30종), 조류 1주(1종), 파생물질 278건
○ ’21년 국내 보건의료 연구 및 산업 기관 등에 분양·활용된 자원은 3,988주(161종)*로 전년도 대비 24% 증가하였고,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는 125개 기관에 바이러스 640주가 분양되었다.
* 세균 1,597주(125종), 진균 53주(17종), 바이러스 917주(19종), 파생물질 1,421건
- 병원체자원의 분양 목적은 국공립연구소와 대학·비영리기관에서의 백신 및 치료제 연구로, 민간영리기관은 진단기술연구용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 자원별 분양 현황으로는 대표적으로 세균은 살모넬라(Salmonella) 속과 대장균(Escherichia) 속이, 진균의 경우 칸디다(Candida) 속이 가장 많이 분양되었고, 바이러스는 베타코로나바이러스(Betacoronavirus) 속이 주로 분양되었다.
□ 국립보건연구원 권준욱 원장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 발간을 통해 국내 보건의료 학계, 연구 및 바이오 산업계 관계자들에게 국내 병원체자원 현황 및 소식을 알림으로써 병원체자원 활용 및 바이오산업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2021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는 책자 및 전자파일로 국내 관련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에 6월 중순경 배포할 예정이며,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http://nccp.kdca.go.kr) ☞ 연구성과 ☞ 연보
<붙임> 2021년 병원체자원 현황표.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6.14.)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2명 공정 채용…학력·경력·가족관계 무관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