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제5회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 개최
□ 한-아세안 11개국의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분야 고위급이 참여해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동반관계(파트너십) 기반 협력 논의
?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정책협력의 비전을 제시하는 정책 이행안(로드맵)을 최종 검토하고, 협력사업의 추진현황을 점검
2022.06.16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는 6월 16일(목), 아세안 중소기업 조정위원회*(ACCMSME)와 ‘제5회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를 화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 아세안중소기업조정위원회(ASEAN Coordinating Committee on Micro/SMEs) : 아세안 중소기업과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정책 논의를 위해 아세안 10개국 부처 고위급으로 구성된 협의체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는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동반관계(파트너십) 협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이다.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은 ’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동반관계(파트너십)을 맺고 매년 협력사업을 진행해왔으며,
연 2회 개최*하는 정책 대화를 통해 동반관계(파트너십) 기반 협력사업 이행현황, 신규 사업 발굴 등을 논의해 오고 있다.
* 제1회(‘19.11월)는 캄보디아 프놈펜, 제2회(’20.12월), 3회(‘21.4월), 4회(’21.11월)는 영상 개최
제5회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의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협력비전을 담은 이행안(로드맵)을 최종 검토하고, 상반기 내 승인 및 이행을 개시하기로 합의했다.
한-아세안 스타트업로드맵(참고2)은 3대 전략(교육과 교류, 정책과 규제개선, 투자와 동반성장), 17개 실행계획(단기 6개, 중기 9개, 장기2개)으로 구성되며,
6개 단기 실행계획은 9개 중점추진계획(세부사업)을 통해 동반관계(파트너십) 기간(~‘24) 동안 집중적으로 이행할 계획이다.
9개 중점추진과제 중 7개*는 구체적인 이행계획 수립이 완료됐으며,
* 투자유망 스타트업 정보교류, 에코톤, 에스디지에스(SDGs) 스타트업 챌린지, 아세안 혁신컨설팅, 스타트업 정책연수, 여성기업가 성장 포럼
나머지 2개(한-아세안 유니콘 육성, 한·아세안 스타트업 플랫폼 구축)는 이행방안에 대한 논의를 거친 후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신청·활용해 ’24년 내 추진 예정이다.
중기부 변태섭 중소기업정책실장은 “한-아세안 11개국 공동의 노력을 통해 완성된 이행안(로드맵)으로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협력 비전이 마련됐다”며,
“이행안(로드맵)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갖춘 혁신적인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의 육성을 위해 앞으로도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이 지속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아세안중소기업조정위원회(ASEAN Coordinating Committee on Micro/SMEs) : 아세안 중소기업과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정책 논의를 위해 아세안 10개국 부처 고위급으로 구성된 협의체
< 제5회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 개요> | ||
ㅇ (일시/방법) ‘22. 6. 16(목), 11:00~12:40 / 화상회의 ㅇ (참석) (한국)변태섭 중소기업정책실장, 유관기관(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아셈 중소기업 친환경혁신센터, 한국벤처투자, 창업진흥원) (ACCMSME)아세안 10개국 아세안중소기업조정위원회(ACCMSME) 대표, 아세안 사무국 ㅇ (주요내용) 한-아세안 스타트업 협력사업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논의 |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는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동반관계(파트너십) 협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이다.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은 ’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동반관계(파트너십)을 맺고 매년 협력사업을 진행해왔으며,
연 2회 개최*하는 정책 대화를 통해 동반관계(파트너십) 기반 협력사업 이행현황, 신규 사업 발굴 등을 논의해 오고 있다.
* 제1회(‘19.11월)는 캄보디아 프놈펜, 제2회(’20.12월), 3회(‘21.4월), 4회(’21.11월)는 영상 개최
제5회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대화의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협력비전을 담은 이행안(로드맵)을 최종 검토하고, 상반기 내 승인 및 이행을 개시하기로 합의했다.
한-아세안 스타트업로드맵(참고2)은 3대 전략(교육과 교류, 정책과 규제개선, 투자와 동반성장), 17개 실행계획(단기 6개, 중기 9개, 장기2개)으로 구성되며,
6개 단기 실행계획은 9개 중점추진계획(세부사업)을 통해 동반관계(파트너십) 기간(~‘24) 동안 집중적으로 이행할 계획이다.
9개 중점추진과제 중 7개*는 구체적인 이행계획 수립이 완료됐으며,
* 투자유망 스타트업 정보교류, 에코톤, 에스디지에스(SDGs) 스타트업 챌린지, 아세안 혁신컨설팅, 스타트업 정책연수, 여성기업가 성장 포럼
나머지 2개(한-아세안 유니콘 육성, 한·아세안 스타트업 플랫폼 구축)는 이행방안에 대한 논의를 거친 후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신청·활용해 ’24년 내 추진 예정이다.
중기부 변태섭 중소기업정책실장은 “한-아세안 11개국 공동의 노력을 통해 완성된 이행안(로드맵)으로 한-아세안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협력 비전이 마련됐다”며,
“이행안(로드맵)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갖춘 혁신적인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의 육성을 위해 앞으로도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이 지속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국제협력과 장희수 사무관(☎ 044-204-755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1 | 아세안 중소기업 조정위원회(ACCMSME) 대표 |
순번 | 국가 | 이름 | 직함 및 소속 |
1 | 미얀마 | Thein Swe (의장) |
Director-General Ministry of Industry |
2 | 캄보디아 | Mr. Hort Pheng (아세안 의장국) |
Director-General Ministry of Industry,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MISTI) |
3 | 말레이시아 | Dato’ suriani binti Dato’ Ahmad | Secretary General Ministry of Entrepreneur Development and Cooperatives (MEDAC) |
4 | 브루나이 | Ms. Norlela Suhailee |
Head of Business Development and Support Darussalam Enterprise (DARe) |
5 | 인도네시아 | Mr. Luhur Pradjarto | Senior Advisor to Mnister for Inter-Institutional Relations Misnitry of Cooperatives and SMEs |
6 | 싱가포르 | Ms. Joanne Tan | Assistant CEO Enterprise Singapore |
7 | 베트남 | Ms. Bui Thu Thuy | Deputy Director-General Ministry of Planning and Investment |
8 | 태국 | Assoc. Prof. Dr. Veerapong Malai | Director-General Office of SMEs Promotion (OSMEP) |
9 | 필리핀 | Ms. Emma C.Asusano | Director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
10 | 라오스 | Mr. Bounpheng Sibounheung | Director-General Ministy of Industry and Commerce |
참고2 | 한-아세안 스타트업 로드맵 |
비전 | 글로벌 경제의 주역, 한-아세안 스타트업 경제공동체 구축 | |||||
목표 | 한-아세안 파트너십 기반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 |||||
핵심전략 | 교육과 교류 | 정책과 규제개선 | 투자와 동반성장 | |||
교육과 교류를 통한 한-아세안 창업기반 마련 |
정책과 규제개선을 통한 유연한 스타트업 서비스 마련 |
투자와 동반성장을 통한 스타트업 생태계 확대 | ||||
실행계획 | [교육과 교류] 교육과 교류를 통한 한-아세안 창업기반 마련 | |||||
1. 한-아세안 스타트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단기) 2. 스타트업 챌린지 개최(단기) 3. 스타트업 육성 우수사례 공유(중기) 4. 스타트업 기술교류 활성화(중기) 5. 스타트업 기술인력 육성(단기) 6. 예비 스타트업 전문인력 육성(장기) |
||||||
[정책과 규제개선] 정책과 규제개선을 통한 유연한 스타트업 서비스 마련 | ||||||
1. 스타트업 정책 및 규제 공동연구(중기) 2. 한-아세안 스타트업 정책협력센터 설립(중기) 3. 스타트업 인재 채용 지원(중기) 4. 스타트업 비자 제도 개선(중기) |
||||||
[투자와 동반성장] 투자와 동반성장을 통한 스타트업 생태계 확대 | ||||||
1. 한-아세안 스타트업 투자펀드 구축(중기) 2. 한-아세안 액셀러레이터 협의회 설립운영(중기) 3. 한-아세안 스타트업 M&A 확대(중기) 4. 한-아세안 창업기반 인프라 구축(단기) 5. 스타트업 신산업 육성환경 조성(장기) 6. 여성기업가 성장 지원(단기) 7. 스타트업의 유니콘화 지원(단기) |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159회 원자력안전위원회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조인다…28일부터 6억 원 넘게 못 받아
-
이 대통령, 국회 첫 시정연설…"추경, 경제위기 가뭄 해소 마중물"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이 대통령,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최고 예우로 보답"
-
공무원 처우, 이대로 좋은가?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직장인 점심비 지원 방안은 구체화된 바 없음
-
이 대통령, 싱가포르 총리와 통화…"전략적 동반자 관계수립"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최신 뉴스
- [보도설명] AI기본법 3년 규제시행 유예에 대해 결정된 바 없음(서울경제)
- [설명] SAF 생산투자 세액공제 확대, 혼합의무 비율 등에 대한 의견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한 바 없음
- 새정부 첫 대형 방산수출 계약 확정, 폴란드 K2전차 추가계약 공식 발표
- 여가부 "양육비 선지급제 시스템, 오류 없이 안정적 운영"
- 기재부 "NXC 지분 매각 관련 구체적인 매각대상자 등 결정된 바 없어"
-
특허청, 지식재산권 허위표시 근절 위해 민관 협력 확대
-
보드게임 접목 '청년층 전세사기' 예방 교육, 전국적으로 실시
-
이 대통령, 3일 첫 기자회견…"국민 질문에 겸허히 답하겠다"
-
[정책 바로보기] 여가부 "양육비 선지급제 차질없는 운영···시스템 구축"
-
서산 중왕·왕산과 고창 두어리, '갯벌생태마을' 첫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