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보담당관실
-
- (T)044-200-7071~3, 7078
- (F)044-200-7911
자료배포 | 2022. 6. 17. (금) |
---|---|
담당부서 | 민원조사기획과 |
과장 | 정재창 ☏ 044-200-7311 |
담당자 | 강병희 ☏ 044-200-7318 |
페이지 수 | 총 2쪽 |
국민권익위, 전남권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소통의 장 마련
- 17일 무안에서 시민고충처리위 운영성과 및 우수
민원해결 사례 공유, 고충 해결 방안 등 논의 -
□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운영성과 및 우수 민원 사례 등을 공유하고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열린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17일 전남 무안에서 전라남도 및 관내 18개 시·군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전남권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날 세미나는▴시민고충처리위원회 옴부즈만이 직접 지역 주민의 고충을 해소한 민원 해결 사례 공유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자체 노력한 성과 소개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의견 교환 및 애로사항 청취로 이뤄진다.
첫 번째로 당진시 옴부즈만인 고충민원조정관은 2020년 지역별 태양광 발전 및 누적 발전설비 용량* 1순위 지역인 전남지역의 특성에 맞춰 태양광 발전사업 허가 관련 주민수용성에 대한 조사지침을 마련할 것을 제도개선 권고한 민원 해결 사례를 발표한다.
* 한국에너지공단 202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이어 아산시 시민옴부즈만이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민원상담 및 조사활동과정 등에서 자체적으로 노력한 활동 사례와 상시적인 홍보활동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국민권익위는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에게 시민고충처리위원회 운영성과 및 민원 해결 사례 등을 공유하면서, 특히 시민고충처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하지 않은 시·군에 대해서는 조속히 시민고충처리위원회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 국민권익위 이정희 부위원장은 “주민생활과 밀접한 민원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지역 주민의 삶을 가장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며 지역 주민의 권익보호를 위해 애쓰는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위원회가 설치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빠른 시일내에 시민고충처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 17일 무안에서 시민고충처리위 운영성과 및 우수
민원해결 사례 공유, 고충 해결 방안 등 논의 -
□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운영성과 및 우수 민원 사례 등을 공유하고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열린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17일 전남 무안에서 전라남도 및 관내 18개 시·군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전남권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날 세미나는▴시민고충처리위원회 옴부즈만이 직접 지역 주민의 고충을 해소한 민원 해결 사례 공유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자체 노력한 성과 소개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의견 교환 및 애로사항 청취로 이뤄진다.
첫 번째로 당진시 옴부즈만인 고충민원조정관은 2020년 지역별 태양광 발전 및 누적 발전설비 용량* 1순위 지역인 전남지역의 특성에 맞춰 태양광 발전사업 허가 관련 주민수용성에 대한 조사지침을 마련할 것을 제도개선 권고한 민원 해결 사례를 발표한다.
* 한국에너지공단 202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이어 아산시 시민옴부즈만이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민원상담 및 조사활동과정 등에서 자체적으로 노력한 활동 사례와 상시적인 홍보활동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국민권익위는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에게 시민고충처리위원회 운영성과 및 민원 해결 사례 등을 공유하면서, 특히 시민고충처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하지 않은 시·군에 대해서는 조속히 시민고충처리위원회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 국민권익위 이정희 부위원장은 “주민생활과 밀접한 민원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지역 주민의 삶을 가장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며 지역 주민의 권익보호를 위해 애쓰는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위원회가 설치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빠른 시일내에 시민고충처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운영성과 및 우수 민원 사례 등을 공유하고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열린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이하 국민권익위)는 17일 전남 무안에서 전라남도 및 관내 18개 시·군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전남권 세미나’를 개최한다.
□ 이날 세미나는▴시민고충처리위원회 옴부즈만이 직접 지역 주민의 고충을 해소한 민원 해결 사례 공유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자체 노력한 성과 소개 ▴시민고충처리위원회 활성화를 위한 의견 교환 및 애로사항 청취로 이뤄진다.
첫 번째로 당진시 옴부즈만인 고충민원조정관은 2020년 지역별 태양광 발전 및 누적 발전설비 용량* 1순위 지역인 전남지역의 특성에 맞춰 태양광 발전사업 허가 관련 주민수용성에 대한 조사지침을 마련할 것을 제도개선 권고한 민원 해결 사례를 발표한다.
* 한국에너지공단 202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이어 아산시 시민옴부즈만이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활성화를 위해 민원상담 및 조사활동과정 등에서 자체적으로 노력한 활동 사례와 상시적인 홍보활동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국민권익위는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에게 시민고충처리위원회 운영성과 및 민원 해결 사례 등을 공유하면서, 특히 시민고충처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하지 않은 시·군에 대해서는 조속히 시민고충처리위원회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 국민권익위 이정희 부위원장은 “주민생활과 밀접한 민원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지역 주민의 삶을 가장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며 지역 주민의 권익보호를 위해 애쓰는 시민고충처리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위원회가 설치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빠른 시일내에 시민고충처리위원회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국민권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 1.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기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