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3·4차) 실시 및상병수당 시범사업(7월) 시행 이후 240명 지급
◈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3·4차) 계획
- 18세 이상 1·2차접종 완료자 중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 금기·연기대상자나,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접종을 원치 않는 경우, 스카이코비원백신으로 3·4차 접종 가능
- 9월 19일부터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ca.go.kr) 등을 통한 사전예약 및 당일접종 시작
◈ 상병수당 시범사업(6개지역) 추진 현황 점검
- 9.14일 기준, 상병수당 신청 996명, 급여지급 240명
- 특수고용직* 및 자영업자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서류제출 요건을 완화하는 등 지역주민의 참여 확대를 추진할 예정
*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등 고용보험법에서 정하는 노무제공자(’21.7.1. 고용보험 적용)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한덕수)는 오늘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 이기일)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22∼’23절기 인플루엔자 대응 계획*,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 시행계획, ▲‘아프면 쉴 권리’를 위한 상병수당 시범사업 추진현황,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 ‘인플루엔자 대응 계획’은 질병관리청에서 전일(9.15일) 보도자료 배포
1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 시행계획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질병관리청장 백경란)으로부터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 시행계획’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스카이코비원백신은 국내 1호 코로나19 백신으로 지난 9월 5일부터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의 1·2차 접종에 활용하고 있다.
□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3·4차)에 대한 연구 결과, 효과성과 안전성이 확인 되었다.
○ (효과성) 코로나19바이러스 초기주와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추가접종 전보다 접종 후에 항체가가 증가*하였고,
* (기존백신 기초접종군) BA.1 51.9배, BA.5 28.2배, (스카이코비원백신 기초접종군) BA.1 71.6배
○ (안전성) 추가접종 후 심각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고, 접종부위 통증, 피로, 근육통 등 일반적인 경증 이상반응이 주로 확인되었다.
□ 이를 근거로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3·4차) 활용 여부에 대한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22.9.8.)를 거쳐 추가접종(3·4차)에 제한적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하였다.
○ 다만,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화이자 또는 모더나)을 추가접종(3·4차)에 우선 권고하되, 스카이코비원백신은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의 금기·연기대상자이거나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 접종을 원치 않는 18세 이상의 1·2차접종 완료자에 한하여 접종할 수 있다.
□ 스카이코비원백신 추가접종(3·4차)은 9월 19일부터 사전예약누리집(http://ncvr.kdca.go.kr)과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를 통해 예약을 시작하여 9월 26일부터 접종 할 수 있으며, 잔여백신예약 또는 당일접종은 9월 19일부터 가능하다.
□ 정부는 스카이코비원백신은 유전자재조합백신으로 자궁경부암 백신 등 기존 백신에 많이 사용되어 안전성이 확인된 백신이므로,
○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화이자 또는 모더나)을 맞기 힘든 경우에도 추가접종(3·4차)이 가능하므로, 3·4차접종에 적극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2 ‘아프면 쉴 권리’를 위한 상병수당 시범사업 추진현황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아프면 쉴 권리’를 위한 상병수당 시범사업 추진현황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보건복지부에서는 지난 7월 4일부터 서울 종로 등 6개 지역을 대상으로 상병수당 1단계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3년간 시범사업을 거쳐 ’25년에 본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개요) 근로자가 업무 외 부상·질병으로 경제활동이 어려운 경우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소득을 보전하는 제도
▸(사업기간) ‘22.7.4~`23.6.30(1년간)
▸(사업지역) 서울 종로구 등 6개 시·군·구*
* 서울 종로구, 경기 부천시, 충남 천안시, 전남 순천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지원대상) 시범사업 지역거주 취업자*, 만15세~64세, 대한민국 국적자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고용보험 가입자(플랫폼 노동자 등), 자영업자 포함
▸(지원내용) 부상·질병으로 인한 근로불가 동안 일 43,960원(최저임금 60%)지급
< 상병수당 1단계 시범사업 개요 >
□ 지난 2달간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자체 등과 함께 진행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제도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홍보물 제작·배포,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홍보를 진행하였다.
○ 9.14일 기준, 총 996명이 상병수당을 신청하였고, 240명에게 평균 54만 6천원(평균 12.3일)의 상병수당이 지급되었으며, 심사 중인 대상자들도 관련 절차가 끝나는대로 신속하게 지급 처리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는 그 동안의 현장 민원과 지역 의견을 고려하여, 대리운전 기사 등 특수고용직 및 자영업자의 서류제출 요건을 완화하는 등 지역주민 참여를 확대하고, 신청절차 합리화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며,
○ 지속적인 현장 소통을 통한 의견 청취, 홍보 강화 및 지자체·관계부처(고용부 등) 협업 등을 통해 시범사업을 차질없이 운영할 예정이다.
□ 이와 함께, 관계부처를 대상으로 상병수당을 통한 소득지원 실효성 강화를 위해 고용안정 등 아프면 쉴 수 있는 환경 조성 협조를 요청하였다.
3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9월 15일(목)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전일과 같은 7,582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9.0%, 준-중증병상 36.6%, 중등증병상 23.6%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3.4%이다.
< 9.15.(목)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구분 (개, %) |
위중증(危重症) |
준중증(準-重症) |
중등증(中等症)병상 |
무증상·경증(輕症) |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준-중환자병상 |
감염병 전담병원 |
생활치료센터 |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
전국 |
1,846 |
536 |
1,310 |
3,251 |
1,189 |
2,062 |
2,369 |
560 |
1,809 |
116 |
4 |
112 |
|
(+0) |
(29.0) |
(+12) |
(+0) |
(36.6) |
(+43) |
(+0) |
(23.6) |
(+32) |
(+0) |
(3.4) |
(△1) |
||
수도권 |
1,245 |
376 |
869 |
2,137 |
859 |
1,278 |
1,040 |
235 |
805 |
116 |
4 |
112 |
|
(+0) |
(30.2) |
(+2) |
(+0) |
(40.2) |
(+36) |
(+0) |
(22.6) |
(+28) |
(+0) |
(3.4) |
(△1) |
||
|
중수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16 |
4 |
112 |
서울 |
264 |
123 |
141 |
469 |
239 |
230 |
268 |
69 |
199 |
0 |
0 |
0 |
|
경기 |
623 |
185 |
438 |
1,088 |
419 |
669 |
421 |
59 |
362 |
0 |
0 |
0 |
|
인천 |
358 |
68 |
290 |
580 |
201 |
379 |
351 |
107 |
244 |
0 |
0 |
0 |
|
비수도권 |
601 |
160 |
441 |
1,114 |
330 |
784 |
1,329 |
325 |
1,004 |
0 |
0 |
0 |
|
(+0) |
(26.6) |
(+10) |
(+0) |
(29.6) |
(+7) |
(+0) |
(24.5) |
(+4) |
(+0) |
(0.0) |
(+0) |
||
|
중수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강원 |
46 |
12 |
34 |
39 |
20 |
19 |
74 |
21 |
53 |
0 |
0 |
0 |
|
충청권 |
124 |
43 |
81 |
195 |
57 |
138 |
451 |
91 |
360 |
0 |
0 |
0 |
|
호남권 |
170 |
39 |
131 |
269 |
92 |
177 |
340 |
123 |
217 |
0 |
0 |
0 |
|
경북권 |
107 |
37 |
70 |
266 |
76 |
190 |
183 |
41 |
142 |
0 |
0 |
0 |
|
경남권 |
132 |
28 |
104 |
311 |
79 |
232 |
239 |
44 |
195 |
0 |
0 |
0 |
|
제주 |
22 |
1 |
21 |
34 |
6 |
28 |
42 |
5 |
37 |
0 |
0 |
0 |
【위중증·사망자】
□ 9월 16일(금)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516명(전일 대비 25명 증가)이다.
○ 신규 사망자는 60명이고, 60세 이상이 58명(96.7%)이다.
○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확진자는 12,719명이고, 확진자(51,874명) 중 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중은 24.5%이며, 최근 1주간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재택치료 현황】
□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56,615명으로 수도권 30,351명, 비수도권 26,264명이다. 현재 326,271명이 재택치료 중이다.(9.16. 0시 기준)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3,885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098개소가 있다.(9.15. 17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76개소 운영되고 있다.(9.16. 0시 기준)
<붙임> 1. 스카이코비원백신의 추가접종 효과 분석 결과
2. 감염병 보도준칙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2년 2분기 해외직접투자 동향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이재명정부 123대 국정과제 확정…"세계 선도 대한민국 만들 것"
-
공무원 육아휴직 '12세 자녀'로 확대…육아친화적 공직문화 조성
-
이 대통령, 세종 첫 국무회의…"집무실·의사당 건립 차질 없이 추진"
-
새출발기금 22일부터 지원 확대…원금 감면율 최대 90%까지
-
추석 성수품 역대 최대 공급…"물가안정 위해 가용수단 총동원"
-
중앙부처·지자체 재난안전 역량 강화한다…인력 확충·보상 확대
-
내년 산재 예방에 2조 원 투입…취약사업장 안전설비 지원 등 확대
-
숨은 금융자산이 18조?…'깜빡한 내 돈, 클릭 한 번으로 확인!'
-
올해 추석도 '소(牛)프라이즈'…19일부터 한우 최대 50% 할인
-
농업연구사들 - EP.1 막내연구사의 첫 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