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설명자료)올 겨울 가스요금 급등은 요금인상 시기를 놓친 상황에서 LNG 가격이 폭등한 결과임

글자크기 설정
목록


보 도 설 명 자 료

(’23. 1. 25.)


 

수신 : 산업통상자원부 등록기자

 

제목 : 올 겨울 가스요금 급등은 국제 LNG 가격이 상승했던 2021~2022년 요금인상 시기를 놓친 상황에서 우크라이사태로 LNG 가격이 폭등한 결과임. 요금 인상 시기 조절과 취약층 지원 확대 등을 통해 국민적 부담을 줄이는데 총력을 다할 계획임
(1.25일 중앙일보 등 가스요금 2배 나와 깜짝놀라설 밥상 화두된 난방비보도에 대한 설명)

 

1. 보도 내용

 

올겨울 난방비 폭증이 현실화되면서 요금 고지서를 받아 든 시민들의 불만이 속출하였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입장

 

지난 정부에서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 ’21.3월부터 요금 인상이 이뤄진 ’22.4월전까지 7차례의 요금 조정시기*가 있었으나, 인상된 국제가격을 반영하지 아니하고 모두 동결하였음

 

* 원료비 연동제에 따라 민수용 가스요금은 매 홀수월마다 조정 및 인상여부 결정

 

또한 ’21년 하반기부터 상승한 국제 천연가스 가격*’22년에 러-우 사태 등으211분기 대비 최대 10 이상 급등하였음

 

* TTF($/MMBtu):(‘21.3)6.1(‘21.9)15.2(‘21.12)27.2(‘22.9)69.3(‘22.12)35.6

 

이로 해 가스공사의 미수금*이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부채**가 급격히 상승하였음

 

* 미수금(조원):(’21)1.8(’22.1Q)4.5(’22.2Q)5.1(’22.3Q)5.7(’22.4Qe)9.0

** 부채비율(별도기준, %):(’21)453(’22.1Q)503(’22.2Q)453(’22.3Q)664

 

ㅇ 가스공사의 미수금 급등에 따른 안정적인 가도입 차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가스요금 인상불가피하여, ’22요금에 일부 인상요인을 반영(4차례, +5.47/MJ, 38.5%)하였음

 

ㅇ 또한, 겨울철 난방 수요가 집중되는 점을 고려하여 국민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올해 1분기 요금동결을 결정하였음

 

< ‘21.1~’23.1월 서울시 주택용 가스요금 현황 (단위:/MJ) >


연 도

‘21

‘22

‘23

구 분

1~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요 금

14.22

14.65

(+0.43)

15.88

(+1.23)

16.99

(+1.11)

19.69

(+2.7)


 

이러한 가스요금 인상은 러-우 전쟁 등으로 촉발된 세계적현상으로 ·· 등 세계 주요국 또한 전년 대비 ’22주택용 가스요금이 최대 24배 상승하는 등 세계적으로 가스요금이 최근 급등한 상황임

 

< ‘21.1~’22.10월 주요국 주택용 가스요금 (단위:/MJ) >


구 분

한 국

미 국

영 국

독 일

21.1

14.22

10.4

16.3

23.4

22.8

16.99

33.1

68.2

82.2

22.9

16.99

-

38.6

91.8

22.10

19.69

-

43.0

83.7


 

* 출처 : 한국가스공사 경제경영연구소

 

정부는 난방비 상승으로 동절기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을 위해 가스요금 할인, 에너지바우처, 연탄 쿠폰, 등유 바우처 등을 지원하고 있음

ㅇ 특히, ’23.1월부터 사회적 배려대상자에 대한 가스요금 할인폭*50% 인상하였고, 사회복지시설적용되는 용도변경**하여
요금46% 인하하였음

 

* 도시가스요금 할인(만원) : 0.6~2.4 0.9~3.6

** 사회복지시설에 산업용 요금(32.15)을 적용하던 것을 일반용(18.54)으로 변경

 

ㅇ 또한, 작년과 올해 3번에 걸쳐 에너지바우처 지원액*51% 인상하였고, 연탄등유를 사용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금액**도 작년 말 각각 16%(연탄), 107%(등유) 인상하였음

 

* 에너지바우처(만원) : 12.7(0.9, 11.8) 19.2(4.0, 15.2)

** 연탄 쿠폰(만원) : 47.2 54.6 / 등유바우처(만원) : 31.0 64.1

 

지역난방의 경우 임대주택에 대한 기본요금(52.4/m2) 감면수급자 등에 대한 정액 현금지원(4,00010,000/)을 시행하고 있음

 

ㅇ 향후 에너지 요금 인상시 에너지 바우처 지원 단가 상향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를 추진하겠음

 

아울러, 국민의 난방비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절약 현장 지원과 도 개선도 함께 추진할 계획임

 

에너지공급자들이 참여하는 난방효율개선지원단*을 구성하여
지역별로 난방 취약 현장을 방문하고 전기, 가스, 지역난방 등 난방특성에 따라 최적의 효율개선 방안을 제공할 예정임

 

* 한국가스공사 및 도시가스사, 한국전력,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에너지공단 등

 

- 아파트 집단 수요처에는 관리사무소를 통해 에너지절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개별 가정에도 문자 발송 등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난방 방법을 안내할 계획임

 

ㅇ 또한 에너지공급자들이 소비자의 사용효율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EERS*)을 확대·시행할 수 있도록 에너지이용합리화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법적 기반 마련해 나가겠음

 

*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에너지공급자 효율향상 의무화제도)

문의 : 가스산업과 박덕열 과 장(044-203-5230)
정한솔 사무관(044-203-5216)

에너지효율과 김현철 과 장(044-203-5140)
최승효 사무관(044-203-5141)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보도자료] 2023년 상반기 영세·중소신용카드가맹점 선정 결과 및 2022년 하반기 신규 신용카드가맹점에 대한 수수료 환급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