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관세청, 「2023 지식재산권 침해단속 연간통계보고서」 발간

2024.06.14 관세청
목록

 

관세청, 2023 지식재산권 침해단속 연간통계보고서발간

관세청, 2023년 한 해 동안 지식재산권 침해물품 총 85,247, 257.7톤 적발

- 전체 적발 건수 중 해외직구 유입이 81%, 중국 발송이 97% 차지해

 

 

관세청은 2023 지식재산권 침해단속 연간통계보고서를 발간하여 배포한다고 밝혔다.

 

 관세청은 2015년부터 매년 통관 단계에서 적발한 지식재산권 침해물품의 현황을 지식재산권 종류별, 통관 형태별, 품목별, 발송 국가별 등으로 분석하여 보고서 형태로 발간하고 있다.

 

 2023년 관세청에서 적발한 지식재산권 침해물품은 총 85,247, 134 개이며, 중량으로는 257.7톤에 이르는 양이다.

 

 지식재산권 종류별로는 상표권 83,892, 디자인권특허권 1,310건으로 특히 디자인권·특허권 등은 전년 대비 94.4% 증가해 침해되는 지식재산권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보였다.

 

 ㅇ 통관 형태별로는 해외직구 물품이 주로 반입되는 특송목록통관에서의 적발이 69,525건으로 전체 적발 건수의 81.6%를 차지했으며, 특히 특송목록통관에서의 적발 수량은 343천 개로 전년 대비 197.8% 증가하여 해외직구를 통한 짝퉁 반입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발된 품목은 가방류 37,574(44.1%), 신발류 17,847(20.9%), 의류 9,332(10.9%), 가전제품 4,986(5.8%) 등의 순이었으며, 가전제품이 2021393, 20221,777건에 비해 크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띄었다.

 

 ㅇ 발송 국가별로는 홍콩을 포함한 중국이 82,822건으로 전체 건수의 97.2%를 차지해 전년도와 같이 1위를 차지했으며, 베트남(1,552, 1.8%), 태국(186, 0.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 보고서는 국문 700, 영문 300부 제작되어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무역위원회 등 유관부처를 포함하여 해외공관, 해외지식재산센터(IP-DESK),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지식재산권자, 지식재산권 관련 단체 등 국내외에 배포될 예정이며, 관세청 누리집*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관세청 누리집(www.customs.go.kr) > 알림소식 > 통합자료실 > 자료실

 

 

붙임 1. 2023 지식재산권 침해단속 연간통계보고서 표지 국문
2. 2023 지식재산권 침해단속 연간통계보고서 표지 영문
3. 2023 지식재산권 침해단속 연간통계보고서(본문 예시)


“이 자료는 관세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우리 국민의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한 치안·재난 네트워크 강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