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탄녹위 김상협 공동위원장, 「2024 하계 다보스 포럼」에서 베트남 총리, 중국 기후특사와 기후대응 및 녹색성장 협력방안 논의

2024.06.26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목록

탄녹위 김상협 공동위원장,
「2024 하계 다보스 포럼」에서 베트남 총리, 중국 기후특사와 기후대응 및 녹색성장 협력방안 논의


□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 이하 탄녹위)는 6.25(화) ~ 6.27(목)간 중국 다롄에서 개최된 2024 하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연례회의(“하계 다보스 포럼”)에서 김상협 위원장이 베트남 총리, 중국 기후특사 등과 면담하여 기후대응과 녹색성장 관련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 세계경제포럼은 1971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출범한 글로벌 민간포럼(일명 다보스포럼)으로, 중국은 2007년부터 매년 다롄 또는 텐진에서 하계 세계경제포럼을 개최
※ 이번 포럼은 “성장을 위한 다음 개척지(Next Frontiers for Growth)”라는 주제로 160여개의 회의 등으로 구성, 1,600여 명의 인사들이 참석해 기후와 자연, 에너지 정책, 인공지능 기술, 인적 투자 등에 대해 논의

□ 팜밍찡(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베트남 정부가 탄소 감축 노력과 녹색성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그린 ODA 등을 통해 베트남과의 협력 잠재력이 크다고 하고, 파리협정 6조에 따라 상호 호혜적인 국제감축사업을 함께 적극 추진할 것을 설명했다.

ㅇ 또한, 김 위원장은 베트남 정부의 2025년 P4G* 정상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방침을 전했다. 팜밍찡 총리와 김 위원장은 양국이 녹색성장에 대해 전략적 협력을 더욱 강화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 P4G(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 전세계 민관협력 확대를 통해 파리협정과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 가속화를 목표로 하는 다자협의체로 한국 포함 12개국 참여중

□ 한편, 김 위원장과 류전민(Liu Zhenmin) 중국 기후특사는 금년 5월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기후환경 분야 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한 합의를 충실히 이행해나가자고 하였다.

ㅇ 김 위원장은 우리 정부의 무탄소 에너지 이니셔티브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류 특사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원전의 중요성에 공감을 표하였다.

ㅇ 김 위원장과 류 특사는 녹색산업과 녹색금융 관련 한중일을 넘어 아시아,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을 확대해나가자고 했다. 또한, 11월 COP29의 협상 동향에 대해 협의하고 성공적인 COP29가 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 또한, 김 위원장은 지반 톤다만(Jeevan Thondaman) 스리랑카 수자원인프라개발부 장관과 면담하여, 우리나라와 개발협력 중점협력국인 스리랑카 간 물, 기후 적응, GGGI 등을 통한 협력사업 등 협력 잠재력이 크다고 것을 강조하고, 조속한 양국간 기후변화 협력 협정 체결을 통해 국제협력 사업 등 협력을 강화해나가길 희망하였다.

□ 김 위원장은 6.25(화)‘경쟁적 세계에서 기후 리더십’세션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개도국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크게 확대되고 있는 녹색 ODA와 함께 한국에 소재한 녹색기후기금(GCF)과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를 통해 글로벌 사우스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하였다.

o 김 위원장은 6.26(수) ‘산업 생태계 전환’ 세션에서 우리나라가 발전 분야에서는 원전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탄소 감축 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 분야 탄소 감축을 위해 무탄소 에너지 이니셔티브, 핵심 기후 기술 연구개발 지원, 녹색 금융 모집 등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 이번 하계 세계경제포럼 참석을 통해 우리 정부의 탄소중립녹색성장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고, 무탄소 에너지, 국제감축사업, GCFGGGI 등을 통한 협력 제고 등 우리측 관심 의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 유용한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평가되며, 탄녹위는 향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 자료는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인재개발과) 현장 의견 듣고 소통하며 공직사회 경쟁력 높인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