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6.28.금.조간] 2023년 감염병 발생신고수 17.5% 증가 야외활동 및 해외 여행 증가 등이 주요 원인

2024.06.27 질병관리청
목록


2023년 감염병 발생신고수 17.5% 증가 야외활동 및 해외 여행 증가 등이 주요 원인


- 「2023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발간 -



- 수두, CRE 감염증, 유행성이하선염, 말라리아, 백일해 등 증가


- C형간염, 결핵, A형간염, 쯔쯔가무시증 등 감소


- 기침예절 실천,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로 일상에서의 감염병 예방노력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3년 질병보건통합시스템으로 신고된 법정감염병 현황을 분석하여 「2023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를 발간하였다.


  연보에는 총 89종의 법정감염병(제1급~제4급) 통계가 수록되어 있으며, 2023년에는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제1급~제3급) 총 66종 중 42종의 감염병이 신고되었고, 24종은 신고 건이 없었다.


  2023년 전수감시 법정감염병(제1급~제3급) 신고환자 수는 5,626,627명(인구 10만 명당 10,951명)으로, 2022년 28,517,180명(인구 10만 명당 55,331명)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나,


  코로나19*(5,517,540명)를 제외하면, 신고환자 수는 109,087명(인구 10만 명당 212명)으로 전년(92,831명) 대비 17.5% 증가(+16,256명)하였다.

  * 제2급(전수감시)→제4급(표본감시) 전환(’23.8.31.)


  다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신고환자 수는 40% 이상 감소한 것이고, 신고된 42종 중 25종 이상이 코로나19 이전보다도 감소하였다.

  * 전수감시 법정감염병 신고환자수 2018년 195,641명, 2019년 182,570명



  감염병위기 단계가 하향(심각→경계, ’23.6.1.)되고 야외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수두, 유행선이하선염, 백일해, 성홍열 등 호흡기감염병이 주로 증가하였으며,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모기를 매개로 감염되는 뎅기열, 말라리아 등 해외유입 감염병도 일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결핵, 바이러스간염(A형·C형),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법정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코로나19 제외)는 2023년 총 1,604명으로 전년(1,456명) 대비 10.2% 증가(+148명)하였다.  


  2023년에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주요 감염병은 CRE 감염증(663명), 결핵(557명*), 후천성면역결핍증(158명), 폐렴구균 감염증(80명),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38명) 등이 있다.

  * 결핵환자 등으로 신고·보고된 사례 중 ‘23년에 치료 결과가 ’결핵 사망‘으로 보고된 경우로, ’24.9월에 통계청이 공표할 2023년 사망원인통계의 결핵 사망자 수와 차이가 있음.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발생 시 전국 의료기관 및 시군구의 신속하고 원활한 신고처리 지원을 위해 방역통합정보시스템(구 질병보건통합시스템)을 2024년 1월 새롭게 구축하였으며, 수집된 정보는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한 후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24.6월 개통)을 통해 민간에 개방되어 감염병관련 다양한 연구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감염병환자 발생 시 적극적으로 신고해 주고 계신 의료기관과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해 애쓰고 계신 지자체에 감사드리며, 협조해 주신 덕분에 정부가 감염병 예방관리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다”고 밝히면서,


  “국민께서는 해외 출국 시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방문 국가 감염병 발생 정보를 확인하여 주의사항을 잘 준수해 주시고, 무엇보다 감염병 예방에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인 기침예절과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로 일상에서의 감염병예방에 동참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하였다.


  「2023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는 책자 및 전자파일로 관련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며, 질병관리청 누리집 및 감염병포털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법정감염병 분류 체계 

          2. 2023년도 주요 법정감염병 신고 현황

          3. 2022-2023년도 법정감염병 신고 증감 현황

          4. 2014-2023년도 법정감염병 발생 신고 현황 

          5. 2014-2023년도 법정감염병 사망 신고 현황

          6. 2014-2023년 감염병 해외유입 현황 및 주요 유입 국가

          7. 기침예절 예방수칙

          8. 손씻기 예방수칙 

          9. 뎅기열 예방수칙 

         10. 말라리아 예방수칙 

         11. 질병관리청 감염병별 소관부서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24년 맥류, 봄감자, 사과, 배 재배면적조사 결과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