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한국산업인력공단 ‘2024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 발간

2024.06.27 고용노동부
목록
- 2023년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232만여 명 응시, 75만여 명 자격 취득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 이하 ‘공단’)은 27일, 2023년 국가기술자격 시험 현황을 담은 ‘2024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이하 ‘연보’)’를 발간했다.

‘2024년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에는 2023년 공단과 대한상공회의소 등 10개 기관에서 시행한 국가기술자격 548개 종목의 통계가 수록되어 있다. 공단은 1984년부터 매년 국가기술자격 접수·응시·합격자 및 취득자 등 통계 정보를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보급하고 있다.

2023년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필기시험 및 과정평가형 자격의 응시자는 총 2,317,887명으로, 전년 대비 10.7%(223,169명) 증가했다. 자격 취득자는 750,499명으로 전년 대비 1.5%(11,401명) 증가했다.

자격등급별 응시인원(필기시험 기준)은 기능사가 40.7%로 가장 많았고, 기사(23.5%), 서비스(22.5%), 산업기사(11.1%), 기술사(1.1%), 기능장(1.1%) 순으로 나타났다.

기사 등급 응시인원은 2019년 393,029명(17.8%)에서 2023년 543,849명(23.5%)로 증가하며 역대 최고 응시 인원을 기록했다.

연령별 응시인원은 20대가 41.4%(953,968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17.5%), 50대 이상(14.1%), 10대(13.6%), 40대(13.4%) 순이었다. 특히 50대 이상 수험자는 전년 대비 22.2% 증가하며 역대 최다 응시인원을 갱신했다.

50대 이상이 많이 응시하는 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25,694명), 한식조리기능사(20,459명), 전기기능사(17,013명) 순이었으며, 특히 60대 이상은 조경기능사를 많이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도에 신설되어 시행 2년 차를 맞이한 제과·제빵산업기사에는 2,134명이 응시했고, 올해 처음 시행한 이러닝운영관리사에는 1,063명이 응시했다. 공간정보융합산업기사와 기능사에도 각각 931명, 435명이 응시하여, 신설된 국가기술자격 종목에 대한 높은 관심이 나타났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관리사 선임자격이 부여되는 안전관리 분야의 자격들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인간공학기사의 경우 2022년 2,129명에서 2023년 5,494명이 응시하며 전년 대비 158.1%가 증가했으며, 산업안전기사의 경우 2022년 54,500명에서 2023년 80,253명으로 증가하여 역대 최고 응시인원을 기록했다.

또한 등급별 역대 최고 응시인원을 기록한 종목은 기술사등급소방기술사(2,964명), 건설안전기술사(2,934명), 기능장등급위험물기능장(7,531명), 가스기능장(2,414명), 에너지관리기능장(1,839명), 기사등급산업안전기사(80,253명), 건설안전기사(34,908명), 산업기사등급산업안전산업기사(38,901명), 위험물산업기사(31,065명), 기능사등급지게차운전기능사(110,279명), 전기기능사(60,239명) 등이 있다.

이우영 이사장은 “급변하는 노동시장에 적시(Just in time) 대응하기 위해 국가기술자격 데이터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며, “빅데이터에 기반한 시험 운영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문  의:  자격품질기획부  정정현(052-714-8662)

“이 자료는 고용노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국가자격” 발전을 위한 능력평가사업 HRDK 미래지식포럼 개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