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질병관리청, 2025년도 예산안 1조 2,698억원 편성(8.30.금)

2024.08.30 질병관리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질병관리청, 2025년도 예산안 1조 2,698억원 편성


-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감염병 및 만성질환 대응체계 고도화 등에 중점투자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5년도 예산안으로 2024년(1조 6,303억원) 대비 △3,605억원(△22.1%) 감액된 1조 2,698억원을 편성하였다고 밝혔다.


  상시․신종 감염병 및 만성질환 예방관리 등 고유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 2025년 정부예산안을 다음과 같이 편성하였다.



  첫째, 새로운 감염병 유행에 대한 선제적 대비․대응을 위해 투자한다.


  ① 테러 가능성이 높고 실제 발생사례가 있는 대표적인 생물학무기 중 하나인 탄저의 백신 비축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종전의 두창백신 외에 탄저백신 비축(초동대응용 5만명분) 예산을 신규 반영하였다.

   * 탄저백신 구입 : (’25안) 48억원(신규)


  ② 코로나19 대응 후 개인보호구 재고물량을 장기 비축으로 전환하여  신종감염병 유행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보호구(약 2,186만개) 보관․배송 비용을 신규로 편성하였다. 

   * 개인보호구 보관․배송 : (’25안) 30억원(신규)


  ③ 공․항만 확장(인천공항 T2 4단계 확장 등)에 따른 업무시설 등을 신규로 임차하고, 전자검역시스템 추가 구축(6대) 및 운영 등 검역관리* 예산을 확대하였다.

   * 검역관리 : (’24) 123억원 → (’25안) 129억원


  ④ 하수 샘플 감시를 통해 신․변종감염병 발생을 조기에  인지 및 대응하는 하수기반 감염병 감시체계*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하수처리장 감시지점을 확대(84개→90개)할 계획이다.

   * 하수기반 감염병 감시체계 운영 : (’25안) 10억원 



  둘째, 상시 감염병 위험요인을 관리하고 퇴치하기 위해 재정투자를 확대한다.


  ① 국가예방접종을 효율적․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예방접종 효과평가* 및 차세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예산**을 신규로 반영하였다.  

   * 예방접종 효과평가 운영 : (’25안) 5억원(신규) 

  ** 차세대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25안) 63억원(신규)


  ② 코로나19 예방접종은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게 무료접종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며, 코로나19 백신 구매비는 국가예방접종(NIP)과 동일하게 지자체에서 재원을 일부 부담하는 지자체 보조사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 : (’24) 4,293억원 → (’25안) 2,242억원


  ③ 2030년 국내 말라리아 퇴치를 목표로 말라리아 위험지역 내 환자 관리, 공동노출자·군집사례 심층역학조사 등 관리강화를 위한 전담인력(15명)을 신규로 배치할 계획이다. 

   * 말라리아 퇴치사업 : (’24) 17억원 → (’25안) 20억원


  ④ 항생제 오․남용 및 내성균 증가에 따라, 의료기관 항생제 사용량 분석 및 평가체계 운영(신규, 3억원) 등 항생제 적정 사용관리체계 강화 등을 위해 예산을 확대하였다. 

   * 국가항생제내성관리대책 추진 : (’24) 18억원 → (’25안) 21억원 


  ⑤ 결핵환자 조기발견, 복약지도 등 환자관리를 위한 의료기관 전담간호사 및 보건소 전담요원을 지원*하고, 노인․노숙인 등 고위험군․취약계층에 대한 결핵 검진 지원 대상을 확대(174천명→179천명)할 계획이다.

   * 의료기관 및 보건소 환자관리 : (’24) 235억원 → (’25안) 242억원

  ** 결핵 고위험군·취약계층 결핵 검진 : (’24) 49억원 → (’25안) 55억원



  셋째,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건강위해 예방을 위한 예산투입을 지속한다.


  ① 희귀질환 의심 환자가 조기에 진단 및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을 확대(400건→800건) 추진할 계획이다. 

   *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 (’24) 5억원 → (’25안) 9억원


  ② 지역단위 건강통계 생산을 위한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보다 쉽고 편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혼합조사(면접+인터넷) 등 조사방식 다변화 검토를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 지역사회 건강조사 : (’24) 94억원 → (’25안) 99억원


  ③ 심뇌혈관질환의 기저질환인 고혈압․당뇨병 관리를 위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 센터(19개소), 알레르기질환 예방을 위한 시·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11개소)를 지속 운영한다.

   * 심뇌혈관질환 및 아토피 천식 예방관리 : (’24) 113억원 → (’25안) 114억원


  ④ 손상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시행(’25.1월)에 따라 중앙손상관리센터 (1개소) 설치 및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운영 등 국가손상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예산을 신규 반영하였다.

   * 중앙손상관리센터 및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운영 : (’25안) 4억원(신규)



  넷째, 국가보건의료 역량 제고를 위한 재정투자를 확대한다.


  ① 신종 감염병 유행 대비·대응 차원에서 mRNA 백신 플랫폼 확보를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우선순위 감염병 백신 등 개발하여 신속개발 체계를 사전에 구축하기 위한 신규 예산을 편성하였다.

   *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R&D) : (‘25안) 290억원 (신규)  

  ** 우선순위 감염병 대유행대비 신속개발기술구축 지원사업(R&D) : (‘25안) 34억원 (신규) 


  ② 국가바이오 플랫폼 구축 및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를 위한 고품질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헬스케어 인공지능 개발 연구** 등 미래의료기술 발전을 위한 투자 예산을 증액하였다.

   *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R&D) : (’24) 229억원 → (’25안) 252억원

  **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지원(R&D) : (’25안) 12억원(신규)


  ③ 초고령화사회 진입 등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건강취약계층의 보호를 위한 연구기반을 마련하고 정책시행을 위한 근거 생산을 지속하고자 한다.

   *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 (’24) 184억원 → (’25안) 202억원


  ④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국제협력, 의료관련 감염 다제내성균 실험실 조사 관련 WHO 협력센터를 신규․확대 운영하고자 한다.

   * WHO협력센터 운영 : (’25안) 1억원(신규)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미래팬데믹에 대한 철저한 대비체계 마련, 사회․환경 변화 등에 따른 감염병 및 만성질환 관리, 백신․치료제 신속개발 지원 등 감염병 위기 또는 일상 속 건강위협으로부터 안전한 건강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예산을 충실히 반영하도록 노력했다”고 밝혔다.



<붙임>  1. 질병관리청 2025년도 예산안 전체 모습

           2. 질병관리청 2025년도 예산안 투자 중점

           3. 2025년도 질병관리청 예산안(카드뉴스)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물고기 생명의 길 ‘어도(魚道)’를 담아주세요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