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청, 새만금 푸드테크 허브 구상을 위한 "맛카데미" 개최 - 국립목포대학교 교수 특강으로 새로운 푸드허브 정책 아이디어 공유
□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새만금 푸드테크* 허브를 구상하기 위해 올해 첫 "새만금 푸드테크 맛카데미(맛+아카데미)"를 2월 5일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 푸드테크란? 식품과 관련된 제조·유통, 외식 서비스 등에 이용되는 첨단·혁신기술 / 출처 :『푸드테크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제2조)
ㅇ 맛카데미는 새만금을 글로벌 식품허브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최신 푸드테크 트렌드를 직원들에게 소개하고자 마련했다.
ㅇ 이날 특강은 청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목포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부 남진보 교수와 원예과학과 박경섭 교수가 강사로 나서 블루카본과 스마트팜을 주제로 진행됐다. 특강 이후 주제토론에는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원예환경과 이평호 연구사가 참여하였다.
□ 남 교수는 '탄소중립과 지역발전 기반 '그린에서 블루'로의 확장'을 내용으로 새만금 간척지에 기후변화 대응과 지역발전을 위한 블루카본을 관련 개발사업 모델로 소개했다.
ㅇ 블루카본은 해양생물 등 해양생태계의 탄소흡수원을 의미하며, IPCC* 국제인증을 받은 맹그로브 등 블루카본 기반의 해양공원을 국내 최초로 새만금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 관련 과학적 평가, 환경·사회에 대한 영향, 대응방향·성과 등 종합적 대응
□ 한편, 박 교수는 새만금 간척지에 하이브리드 순환 스마트 농업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새만금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바이오차(숯의 일종)를 생산하면, 탄소포집 효과가 뛰어나 탄소중립에 기여할 뿐 아니라, 간척지에 활용할 때 유기물이 부족한 토질 개선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ㅇ 박 교수는 인도네시아 농업대학과의 협력으로 스마트 온실 기술과 간척지를 활용한 스마트팜 시범사업도 진행 중에 있다.
□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이번 새만금 푸드테크 맛카데미를 통해 새만금이 더욱 발전된 식품산업 허브로 거듭나기 위한 계획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면서, "신기술을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 과정에 검토하고 유관기관들과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