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속 이번 겨울 한강 첫 결빙
-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늦고, 평년보다 30일 늦은 결빙 -
□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추위가 지속된 가운데, 이번 겨울(`24.12.~`25.2.)들어 2월 9일(일) 처음으로 한강이 결빙되었다고 발표했다.
○ 이번 한강 결빙은평년(1월 10일)보다 30일, 지난 겨울(2024년 1월 26일)보다 14일 늦게나타났으며, 1964년 2월 13일에 이어 관측 이래 두 번째로늦은 결빙이다.
|
|
[그림 1] 한강 결빙 관측 사진(2025. 2. 9. 07시경)
|
[결빙일~5일 전 기온 현황] 서울 기상관측소 기준
서울
|
2.4.(화)
|
2.5.(수)
|
2.6.(목)
|
2.7.(금)
|
2.8.(토)
|
2.9.(일)
|
일최저기온
|
-11.5℃
|
-11.8℃
|
-11.5℃
|
-10.7℃
|
-11.5℃
|
-9.6℃
|
일최고기온
|
-5.3℃
|
-3.7℃
|
-0.2℃
|
-4.7℃
|
-3.4℃
|
-
|
□ 한강 결빙 관측은 1906년에 시작되었으며, 가장 빨랐던 해는 1934년 12월 4일이었고, 관측되지 않은 해는 9차례가 있었다.
※ 결빙이 관측되지 않은 연도: 1960, 1971, 1972, 1978, 1988, 1991, 2006, 2019, 2021
□ 한강 결빙은 한강대교 두 번째 및 네 번째 교각 상류 100m 부근의 띠 모양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을 때 결빙으로 판단한다.
○ 1906년 당시 노량진은 한강의 주요 나루 가운데 한 곳으로, 관측을 위해 접근하는 데 가장 적합했기 때문에 관측 기준 지점으로 선정되었다.
|
[그림 2] 한강 결빙 관측 장소
|
-
OPEN 공공누리 제 1유형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및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