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규모는 종자와 종근(씨뿌리) 27톤, 모종 202만 주(그루)로, 약 108헥타르(ha)에서 재배할 수 있는 양이다.
종자 공급 시기*와 가격이 기관마다 다르므로, 필요한 품목을 확인한 뒤 해당 기관으로 직접 신청해야 한다. *작목에 따라 3월~10월 사이 예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윤영호 과장은 "고품질 종자 보급은 약용작물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조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라며 "약용작물 신품종과 우량종자가 차질 없이 보급될 수 있도록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겠다."라고 전했다.
지난해 종자를 공급받은 경북 안동의 지황 재배 농업인은 "우수한 품종 보급 덕분에 발아율이 높아지고 병 피해도 적어 큰 도움이 됐다."라고 말했다. 경남 함안에서 단삼 '다산'을 재배한 농가는 "전에는 종자를 구하기 쉽지 않았는데, 신품종 종자 보급으로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해졌다."라고 밝혔다.
한편, 약용작물종자협의체는 농촌진흥청과 도 농업기술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등 11개 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2017년 발족한 이후 해마다 지역과 농업 현장 수요를 반영해 우량종자를 생산, 보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