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수박과 참외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화분 매개용 벌 준비와 관리를 당부하고, 화분 매개용 꿀벌 표준 이용 기술을 소개했다.
수박과 참외는 암수 꽃이 따로 피는 단성화 작물로 벌이 없으면 사람이 손으로 일일이 꽃가루를 옮겨줘야 한다. 따라서 노동력을 줄이려면 꿀벌과 같은 화분 매개용 벌을 사용해야 한다.
수박은 2월 중순, 참외는 2월 말부터 비닐온실에 벌을 투입하는 것이 안정적인 꽃가루받이(수분)와 고품질 과실 수확에 좋다.
수박= 꿀벌 수는 비닐온실 660제곱미터(660㎡)당 벌집 2~3장(5,000~7,500마리)이 적당하며, 산란 중인 여왕벌이 포함돼 있어야 한다. 특히 수박은 재배 작형이 다양해 촉성, 반촉성, 억제재배*에 따라 각각 2월 중순~3월, 4~5월, 9월 이후에 꿀벌을 투입한다.
* 촉성, 반촉성, 억제재배: 수박 수확 시기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촉성'은 5월경, '반촉성'은 6~7월, '억제재배'는 가을에 수확하는 수박을 뜻함.
또한, 단기간에 수분이 끝나는 특성상 외역벌*을 양성해야 한다. 밤에 온도가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지역에서는 벌 수를 7,500마리로 늘리고 보온해 주는 것이 좋다.
* 외역벌: 벌집 내 일벌 중 성충이 된 지 17일 이상 지난 벌로 주로 벌통 밖에서 꿀이나 꽃가루를 수집하는 벌
꿀벌을 구하기 어려우면 3월에 수정이 필요한 수박에 한정해 뒤영벌을 대신 이용*할 수 있다.
* 비닐온실 660제곱미터당 2봉군(120마리×2)
참외= 비닐온실 660제곱미터당 벌집 3장(7,500마리)이 적당하며, 산란 중인 여왕벌이 포함돼 있어야 한다. 참외꽃은 1월부터 피기 시작하지만, 이 시기에는 인공수분을 하고 2월 중하순부터 꿀벌을 투입한다. 꿀벌을 구하기 힘들면 뒤영벌을 사용*할 수 있다.
* 비닐온실 660제곱미터당 1봉군(120마리), 45일마다 재투입, 총 4회
참외는 3~4개월 동안 꿀벌의 화분 매개가 필요하므로, 한 달에 한 번 대용화분과 당액을 공급하는 등 먹이 관리를 한다. 벌통은 비닐온실 밖에 설치하되, 벌통 입구가 온실 내부를 향하게 한다. 3월에는 밤에 벌통 내부에 보온재를 넣거나 바깥에 얇은 담요를 덮어 저온 피해를 예방한다.
농약을 사용할 때는 전날 저녁 반드시 벌통 입구를 비닐온실 반대 방향으로 돌려놓고, 농약 사용 후 2~3일이 지나면 원래 위치로 돌려놓는다.
농촌진흥청은 수박과 참외 화분 매개에 효과적으로 꿀벌을 이용하는 방법을 농가에 교육하고 기술 지원으로 확대하는 한편, 꿀벌 부족에 대비해 대체 화분 매개 기술 시범사업도 진행 중이다.
* 꿀벌 소실 대응 꿀벌 대체 화분매개 기술 시범(2025년, 11개소)
농촌진흥청 양봉생태과 한상미 과장은 "수박과 참외에서 화분 매개용 벌 사용은 필수 영농기술로 자리 잡았다."라며, "표준 이용 기술을 참고해 2월부터 꿀벌을 준비하고 안정적으로 수박과 참외를 생산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