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2009년 유치 시작한 이래 역대 최대실적 경신, 누적 505만 명 기록 -
- 2023년 대비 일본(135.0%), 중국(132.4%), 대만(550.6%) 두드러져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4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117만 명으로 2023년 61만 명 대비 약 2배(93.2%) 증가했다고 밝혔다.
외국인 환자 유치는 2019년까지 꾸준히 증가(연평균 23.5%)하였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2만 명으로 급감하였으며, 이후 3년간의 회복 단계를 거쳐 2023년에는 61만 명, 2024년에는 117만 명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9년 이래 역대 최대 실적으로 16년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누적 505만 명에 이르게 되었다.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을 분석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치실적 집계 개요
◎ (법적 근거) 의료해외진출법 제11조(보고의무)
◎ (외국인 환자) 국내에 거주(외국인 등록 또는 국내 거소신고)하지 않는 외국인으로, 국민건강보험 가입자나 피부양자가 아닌 상태에서 진료받은 환자(의료해외진출법 제2조)
◎ (보고주체 및 집계내용) 외국인 환자 유치의료기관과 유치사업자의 전년도 사업실적(외국인 환자의 국적·성별·진료과목 등)
◎ (실적집계 절차) 매년 2월말까지 의료기관별 통계를 시·도지사에 보고 → 시·도지사는 3월10일까지 복지부에 통보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검증
□ (국적별) 2024년 한 해 동안 202개국의 외국인 환자가 우리나라를 방문하였고, 국가별로는 일본·중국·미국·대만·태국 순으로 집계되었다.
○ 일본·중국이 전체 외국인 환자의 60.0%(70.2만 명)를 차지했으며, 미국 8.7%(10.2만 명), 대만 7.1%(8.3만 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 특히, 대만(550.6%)과 일본(135.0%), 중국(132.4%) 순으로 가장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피부과를 방문한 환자의 수가 늘어난 이유로 보인다.
* 피부과: (대만) 6.7만 명(1017.0% 증가), (중국) 17.2만 명(278.8% 증가), (일본) 30.8만 명(155.2% 증가)
- 권역별로는 동아시아의 방문 비중이 69.3%로(81만 명) 가장 높았으며, 미주 10.0%(11.7만 명), 동남아시아 9.6%(11.2만 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 동아시아(대만·몽골·일본·중국), 미주(미국·캐나다), 동남아시아(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 (동아시아) 일본은 작년에 이어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하였으며, 중국은 2023년 대비 132.4% 증가한 26.1만 명이 방문하였다. 대만은 전년 대비 550.6%로 가장 높게 증가하여 작년 9위에서 올해 4위로 상승하였다.
- 특히, 일본은 피부과(69.7%)·성형외과(14.0%)의 비중이 여전히 높으나, 피부과(155.2%) 다음으로 한방통합*(150.9%)과 내과통합**(102.6%)의 증가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 한방통합: 한의과, 한방내과, 사상체질의학과, 한방부인과, 한방재활의학과, 한방피부과, 침구과, 한방신경정신과, 한방소아과, 한방이비인후과, 한방안과(11개 진료과)
** 내과통합: 일반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가정의학과(11개 진료과)
○ (미주) 미국은 2023년 대비 32.2%가 증가한 10.2만 명, 캐나다 또한 2023년 대비 58.3% 증가한 1.5만 명으로 양국 모두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환자가 한국을 방문하였다.
- 미국은 피부과·내과통합·검진센터 순으로 각각 33.0%, 14.3%, 9.7%의 비중을 보여, 다른 지역 대비 다양한 진료과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동남아시아) 태국(5위)은 3.8만 명으로 전년 대비 23.7%, 싱가포르(6위)는 2.7만 명으로 97.5% 증가하여 각각 2009년 이후 가장 많은 외국인 환자가 방문하였으며, 특히 싱가포르는 동남아 국가 중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 이는 피부과*·내과통합**을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피부과 및 내과통합의 증가율이 전년 대비 태국은 70.4%, 싱가포르는 210.1% 증가하였다.
* 피부과: 태국 ('23년) 14,262명 → ('24년) 24,492명 / 싱가포르 ('23년) 6,826명 → ('24년) 21,295명
** 내과통합: 태국 ('23년) 2,143명 → ('24년) 3,469명 / 싱가포르 ('23년) 367명 → ('24년) 1,011명
○ (러시아·중앙아시아) 러시아(7위→9위)는 1.7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9%, 카자흐스탄(10위→11위)은 1.4만 명으로 22.6% 증가하였다.
- 이는 검진센터*·피부과**를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검진센터 및 피부과의 증가율이 전년 대비 러시아는 44.4%, 카자흐스탄은 39.6% 증가하였다.
* 검진센터: 러시아 ('23년) 2,996명 → ('24년) 3,324명 / 카자흐스탄 ('23년) 4,110명 → ('24년) 5,739명
** 피부과: 러시아 ('23년) 1,502명 → ('24년) 3,169명 / 카자흐스탄 ('23년) 903명 → ('24년) 1,257명
□ (진료과별) 피부과 진료가 70.5만 명으로 전체 진료과목 중 56.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성형외과(11.4%),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 순으로 나타났다.
○ 2023년과 비교하여 피부과(194.9%), 한방통합(84.6%), 내과통합(36.4%) 순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 진료과별 실환자 기준 : 1명의 환자가 복수의 진료과를 방문한 경우, 방문한 진료과별로 1명으로 산정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5).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15개 국가, 22개 도시, 일반 소비자 6,800명 표본조사)
, 한국 화장품산업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국가 19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외국인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수준의 호감도가 우리나라의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많이 방문하게 된 이유로 추정된다.
* 화장품 선도국가 순위: ('23) 3위 → ('24) 1위
** 국가별 한국 화장품 인식도 순위: (중국) 1위, (싱가포르) 1위, (대만) 2위, (태국) 2위
□ (의료기관 종별) 의원급을 가장 많이 방문(82.0%)하였으며, 종합병원(6.0%), 상급종합병원(5.1%) 순으로 이용하였다.
○ 의원을 이용한 환자는 전년 대비 138.4%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한의원(113.2%), 치과병원(24.7%)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 반면,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전년 대비 각각 14.4%,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종합병원: ('23년) 8.2만 명 → ('24) 7.0만 명으로 전년 대비 14.4% 감소
** 상급종합병원: ('23년) 6.4만 명 → ('24) 5.9만 명으로 전년 대비 7.6% 감소
□ (지역별) 서울은 전체 외국인 환자의 85.4%인 100만 명을 유치하였으며, 경기(4.4%), 부산(2.6%), 제주(1.9%), 인천(1.8%) 순으로 뒤를 이었다.
○ 이는 서울시 소재 유치등록 의료기관이 2024년 1,994개소(63.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급증하는 외국인 환자의 피부과 진료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비수도권 지역도 제주(221.0%), 부산(133.6%), 충북(116.1%)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 제주는 전년 대비 피부과가 781.4% 증가하였으며, 부산은 피부과 674.0%, 한방통합 170.9%, 치과 156.5%, 성형외과 127.8% 순으로 증가하였다.
위와 같이 2024년은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돌파한 해로 한국이 의료관광 분야에서 아시아 중심국가로 도약한 의미가 있는 해라 할 것이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23년 5월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을 통해 2027년 달성 목표였던 70만 명의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려는 정부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 라며,"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의료'와 '관광'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확대와 현장 체감형 법·제도 정비를 지속해 나아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외국인 환자 유치로 인한 우리 국민의 의료 공급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도 병행해 나아갈 계획"임을 강조하였다.
<붙임> 1. 연도별 외국인 환자 유치 현황
2.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 주요 추진 경과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산불 피해동물 구호를 위한 현장 상황실 운영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클릭K+] 4인 가구 최대 100만 원! 취약계층 '농식품바우처' 지원 확대
-
한덕수 권한대행 "18년 만에 연금개혁…국민연금, 보다 안정적 운영"
-
한 권한대행, 이재민지원 대책 긴급지시…구호물품 각 시·군에 공급
-
4월 1일부터 전국 고속버스 '무료 와이파이' 이용 가능
-
일반인도 농림지역에 단독주택 건축 가능…농촌 인구유입 기대
-
중대본 "경북·경남 산불 주불 모두 진화…범정부 이재민 구호 등 만전"
-
아이돌봄 서비스 우선 제공 대상, '12세 이하 2자녀 이상'으로 확대
-
안동·청송·영양·영덕 '산불 특별재난지역' 선포…"조속한 피해수습"
-
한 권한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것"
-
산불 국민행동요령 Q&A…"한순간 부주의가 참사로 번지지 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