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 공고

- 10억원 이상의 민간투자와 연계하여 기술개발(R&D)자금 최대 12억원 지원, 후속투자 유치 등 성과 창출 기업에는 최대 20억원 지분 투자

- 특화 운영사 등 전략분야 유망기업 특화 지원체계 도입, 기술개발(R&D)와 지분투자의 연계성 강화,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트랙 신설 등

글자크기 설정
목록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7일(월),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도전과 혁신, 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을 공고한다고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사로부터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기술개발(R&D)을 3년간 최대 12억원까지 지원하고, 후속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는 모태펀드에서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최대 2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기업지원 계획에 포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트랙 세분화(일반형/글로벌)
 
2025년부터는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의 기술개발(R&D)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3년간 최대 15억원의 기술개발(R&D) 자금을 제공하는 글로벌 트랙(24개, 신규)이 신설됐다. 지원이 강화된 만큼 일정액 이상의 해외투자 유치 등 일반형보다 강화된 요건이 부여될 전망이며, 상세내용은 별도로 공고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일반형 과제는 총 102개로, 초격차 10대분야,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탄소중립분야 등 전략기술 기반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
전략분야 특화 지원체계 도입
 
인공지능(AI), 생명과학(바이오) 등 전략분야의 기술개발(R&D) 수행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특화된 지원체계를 도입한다. 2025년은 기존 24개 운영사 연합체(컨소시엄) 중 해당 분야의 발굴 실적과 기술개발(R&D) 지원역량이 뛰어난 운영사를 '특화 운영사'로 지정하고, 향후 운영사 선정 시 전략분야 특화 역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기존의 운영사 연합체(컨소시엄)에도 변화를 유도하여 기업의 다양한 지원수요에 대응한다. 역량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연합체(컨소시엄) 구성의 추가·변경을 허용하고, 운영사에 대한 평가 및 성과보상(인센티브) 체계도 실질적인 스케일업 지원 실적을 중심으로 개선된다.
 
또한, 운영사별로 기업의 기술개발(R&D) 수행을 지원할 전담 관리자(코디네이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관리자(코디네이터)는 스케일업 팁스 기술개발(R&D)을 수행하는 기업이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프로젝트 매니저(PM)의 역할에 더하여 연합체(컨소시엄)간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술개발(R&D)과 지분투자의 연계성 강화
 
기존에는 운영사로부터 선행투자를 받고 나면 기쉴개발(R&D) 또는 지분투자 중에서 지원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다. 2025년부터는 두 가지 수단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고, 기술개발(R&D) 수행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는 자금조달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기술개발(R&D)을 먼저 수행한 이후, 기업의 성장에 맞추어 지분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개편된다.
 
<스케일업 팁스 일반형 지원조건 및 규모>
 
 
구분 R&D 지분투자
지원조건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10억원 이상 先투자
스케일업 팁스 R&D 마일스톤 달성 및 운영사 5억원 이상 후속투자
지원규모 신규과제 102개 미정
(지원조건 달성여부에 따라 변동)
지원내용 최대 12억원(3년) 1배수 이내 매칭투자, 최대 20억원
신청·접수 수시
선정평가 4,5,7,9,11월
 
 
기타 상세한 내용은 4월 14일(월) 14시부터 온·오프라인 사업 설명회*를 통해 안내되며, 사업 참여에 관심이 있는 기업은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24개 컨소시엄, 참고)나 전담부서(역삼 팁스타운 S5 3층 소재, ☎02-2280-0422/0426)에 직접 문의할 수 있다.
 
* (오프라인) 역삼 팁스타운(S1) B1F 팁스홀
(온 라 인) 유튜브 중계(https://www.youtube.com/@-tipalive)
 
한편, 지난 3년(2022년~2024년)간, 스케일업 팁스를 통해 총 379개 기업에 민관을 통틀어 1.5조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그 중 민간 운영사의 선행투자 규모는 약 5,833억원에 달하며, 선정기업 중 111개사(약 30%)가 벤처투자사(캐피탈) 등으로부터 약 5,567억원의 후속투자 유치를 이뤄냈다.
 
* 1.5조원 = 운영사 선행투자 5,833억원 + 정부지원 4,545억원(지출예정 포함)
+ 선정 이후 후속투자(VC 등) 5,567억원
 
스케일업 팁스 지원을 받은 기업 중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기업도 누적 9개사로, 혁신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 활성화 효과와 성장 촉진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코스닥 : ('23) 코어라인소프트, ('24) 사피엔반도체, 아이언디바이스, 루미르, 닷밀, ('25) 티엑스알로보틱스
** 코넥스 : ('22) 엔젯, ('23) 아이엠지티, ('24)에이엠시지
.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연계투자 방식을 성과와 연동하여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제도를 개선했다"고 말하며, "스케일업 팁스와 같은 혁신적 기술개발(R&D) 지원모델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전략분야 기술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고,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백범김구기념관, 디지털 전시물 제작 설치로 새단장 7일 재개관식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