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동정) 해수부 장관, BBNJ 협정 발효를 위한 국제적 협력에 동참

글자크기 설정
목록

Our Ocean, Our Action! 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OC) 개최

해수부 장관,
BBNJ 협정 발효를 위한 국제적 협력에 동참

 

- BBNJ 협정의 동아시아 최초 비준국으로서 조기 발효를 위한 의지 표명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429() 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OC, Our Ocean Conference)의 부대행사로서 HSA(High Seas Alliance, 공해 연합)*에서 주관하는 BBNJ 협정 발효**를 촉구하는 행사에 참석했다.

 

  * 공해 거버넌스와 보전 지원 및 공해 보호구역 설정을 위해 설립(2011)된 비정부 단체로 다수(70)NGO와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으로 구성, BBNJ 협정 채택·발효 지원 활동을 주로 함

 

** '국가관할권 이원해역(공해·심해저)의 해양생물다양성(BBNJ: Biodiversity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유엔해양법협약 하의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정'으로 60개국 비준 후 120일 경과 시 협정 발효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벨기에, 칠레 등의 정부 대표 및 NGO 등이 참여하여 BBNJ 협정의 비준 확보 노력을 약속하는 등 협정 발효를 위한 각국의 의지와 협력을 공유하는 자리이다. 우리나라는 BBNJ 협정의 21번째이자 동아시아 최초의 비준국으로 HSA에서 비준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비준국에 수여하는 배지와 문진(paperweight)을 증정받았다.

 

  강 장관은 "대한민국 정부는 BBNJ 협정의 조속한 발효를 위해 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이해관계자들에게 공해 관리 규범의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국내법률을 제정하는 등 효과적인 이행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동정) 아워오션 콘퍼런스 관계기관 협력으로 성공개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