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5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4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189.2억 달러, 무역수지 76.1억 달러 흑자 기록 - 對美 수출 증가폭 둔화에도 불구, 전체 수출은 증가세 강화 - 반도체 역대 4월 中 최대 수출 실적 기록, 휴대폰 완제품 수출 큰 폭으로 반등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15일, 4월 한달 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189.2억 달러로 전년 동월(170.8억 달러) 대비 10.8%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13.0억 달러로 전년 동월(115.8억 달러) 대비 2.4% 감소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76.1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美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對美 수출의 증가폭 둔화*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출은 증가세가 강화**되었고, ICT 분야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역대 4월 中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對美 수출 추이(억 달러, %) : ('25.1월)22.0(24.5↑) → (2월)20.9(11.6↑) → (3월)27.7(19.4↑) → (4월)20.1(0.5↑)
** 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5.1월)162.8(△0.4) → (2월)165.5(0.2↑) → (3월)205.5(9.3↑) → (4월)189.2(10.8↑)
*** 역대 4월 중 순위(억 달러) : 1위116.8('25년), 2위108.9('22년), 3위99.6('24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17.2%↑), 휴대폰(28.6%↑), 통신장비(3.5%↑)의 수출은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7.6%), 컴퓨터·주변기기(△11.9%)의 수출은 감소하였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디램 고정가격의 반등과 HBM,DDR5*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증가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하였다. 휴대폰은 완제품 수출 반등과 해외 생산기지로의 부분품 수출 견조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었다. 또한, 통신장비는 차량용 및 5G 장비 수요 호조에 따라 소폭의 수출 증가를 기록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수요 부진에 따른 제품 출하 일정 조정 등으로 수출이 감소하였다. 컴퓨터·주변기기는 저장장치(SSD)의 충분한 재고 확보로 인한 일시적인 수요 둔화가 발생하면서 16개월 만에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 HBM : High Bandwidth Memory, DDR5 : Double Data Rate 5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미국(0.5%↑), 베트남(13.4%↑), 유럽연합(14.7%↑), 일본(8.5%↑) 등에서는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1.5%)에서는 수출이 감소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4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116.8억 달러, 17.2%↑) 디램 고정가격의 반등*과 AI서버 투자 확대로 인한 고부가 메모리(DDR5, HBM 등) 수요 증가로 역대 4월 中 최대 수출 실적 기록
* D램 단가 추이($) : ('23.10월)1.50 → ('24.1월)1.80 → (4월)2.10 → (7월)2.10 → ('25.3월)1.35 → (4월)1.65
※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1월)124.6(30.3↑) → ('25.3월)130.6(11.8↑) → (4월)116.8(17.2↑)
○ (디스플레이 : 15.2억 달러, △7.6%) 수요 부진에 따른 현지 기업의 제품 출하 일정 조정 등으로 수출 감소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0월)18.0(△21.5) → ('25.1월)12.6(△16.1) → (4월)15.2(△7.6)
○ (휴대폰 : 11.9억 달러 , 28.6%↑) 완제품 수출 반등과 해외 생산기지가 위치한 중국向 부분품 수출 견조*로 수출 증가
* 중국向 부분품 수출 추이(억달러, %) : ('25.1월)6.0(13.9↑) → (2월)5.9(98.6↑) → (3월)5.3(40.3↑) → (4월)5.1(29.5↑)
※ 완제품 수출 추이(억달러, %) : ('24.7월)2.1(△11.6) → (12월)1.6(△1.7) → ('25.3월)2.2(△9.9) → (4월)4.3(61.4↑)
부분품 수출 추이(억달러, %) : ('24.3월)6.3(11.7↑) → (12월)9.6(23.5↑) → ('25.3월)7.9(23.7↑) → (4월)7.6(15.4↑)
○ (컴퓨터·주변기기 : 8.0억 달러, △11.9%) SSD(4.7억불, △21.6%)의 충분한 재고 확보*로 인한 일시적 수요 둔화 영향으로 16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
* SSD 수출 추이(억달러, %) : ('25.1월)6.4(27.3↑) → ('25.2월)6.2(38.9↑) → (3월)10.0(43.4↑) → (4월)4.7(△21.6)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월)8.5(33.8↑) → ('25.3월)13.1(28.1↑) → (4월)8.0(△11.9)
○ (통신장비 : 2.0억 달러, 3.5%↑) 미국向(0.5억 달러, 56.3%↑) 전장용 수요, 인도向(0.1억 달러, 48.9%↑) 5G 장비 수요 등의 호조로 수출 증가
※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1월)1.6(△21.3) → (3월)2.2(△0.3) → (4월)2.0(3.5↑)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중견기업 47.7억 달러, 0.4%↑) 반도체(25.3억불, 11.3%↑), 컴퓨터·주변기기(1.6억불, 4.4%↑) 등은 증가, 디스플레이(1.6억불, △22.0%), 휴대폰(2.3억불, △22.9%), 통신장비(0.9억불, △8.3%) 등은 감소 * 중소기업(13.0억 달러, △13.0%)은 컴퓨터·주변기기(1.2억불, 3.8%↑), 통신장비(0.6억불, 6.9%↑) 등은 증가, 반도체(2.3억불, △9.6%), 디스플레이(0.5억불, △29.8%), 휴대폰(0.4억불, △25.0%) 등은 감소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72.2억 달러, △1.5%) 휴대폰(5.2억 달러, 29.2%↑), 컴퓨터·주변기기(2.0억 달러, 7.4%↑)는 증가하였으나, 반도체(53.2억 달러, △4.4%), 디스플레이(5.4억 달러, △3.9%)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소폭 감소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1월)79.1(△2.2) → ('25.3월)73.5(△12.2) → (4월)72.2(△1.5)
○ (베트남 : 30.5억 달러, 13.4%↑) 반도체(17.4억 달러, 40.6%↑), 휴대폰(1.5억 달러, 18.4%↑)이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21개월 연속 증가
※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23.7월)25.2(△18.7) → (8월)30.5(1.7↑) → ('25.4월)30.5(13.4↑)
○ (미국 : 20.1억 달러, 0.5%↑) 휴대폰 완제품(1.6억 달러, 287.2%↑), 통신장비(0.5억 달러, 56.3%↑)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 소폭 증가에 기여
※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23.10월)17.4(△14.7) →(11월)20.6(12.5↑) → ('25.4월)20.1(0.5↑)
○ (유럽연합 : 11.2억 달러, 14.7%↑) 반도체(3.3억 달러, 85.3%↑), 디스플레이(0.4억 달러, 23.5%↑), 휴대폰(1.6억 달러, 32.6%↑) 등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세로 전환
※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24.12월)9.1(△3.9) → ('25.3월)10.6(△2.8) → (4월)11.2(14.7↑)
○ (일본 : 3.2억 달러, 8.5%↑) 반도체(1.1억 달러, 39.8%↑), 디스플레이(0.1억 달러, 2.9%↑), 컴퓨터·주변기기(0.5억 달러, 12.8%↑) 등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일본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2월)2.8(△5.7) → (3월)3.2(3.3↑) → (4월)3.2(8.5↑)
○ (대만 : 24.0억 달러, 98.2%↑) 반도체(22.2억 달러, 107.4%↑), 휴대폰(0.1억 달러, 14.2%↑), 컴퓨터·주변기기(0.2억 달러, 40.5%↑) 등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대만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1월)16.7(68.8↑) → (3월)29.2(158.4↑) → (4월)24.0(98.2↑)
○ (인도 : 5.1억 달러, 18.0%↑) 반도체(2.8억 달러, 23.5%↑), 디스플레이(0.5억 달러, 41.8%↑), 휴대폰(0.3억 달러, 27.0%↑), 컴퓨터·주변기기(0.1억 달러, 49.3%↑), 통신장비(0.1억 달러, 48.9%↑) 등 주요품목 전반이 증가하며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
※ 인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25.1월)4.8(22.4↑) → (3월)4.2(△3.7) → (4월)5.1(18.0↑)
정보통신산업(ICT) 4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컴퓨터·주변기기(13.3억 달러, 13.3%↑)는 증가, 반도체(57.5억 달러, △0.4%), 디스플레이(3.1억 달러, △33.4%), 휴대폰(5.6억 달러, △8.5%), 통신장비(2.5억 달러, △33.7%)는 감소
□ (지역별) 일본(12.1억 달러, 16.8%↑)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8.2억 달러, △22.1%), 베트남(9.9억 달러, △2.5%), 미국(6.3억 달러, △15.6%), 유럽연합(4.8억 달러, △27.0%)은 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美 상호관세 발효 등에 대비한 수출 중소기업 추가지원 방안 발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9월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매주 환급…취약상권 살린다
-
국세청 원클릭 환급, 직접 해봤습니다
-
7월까지 추경 12조원 70% 이상 집행…소상공인 300만명 이상 지원
-
개인정보위 "SKT, 전체 이용자 대상 1차 유출통지 방침 알려와"
-
복지부 2차관 "AI 신약개발에 정부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40개 의과대학, 수업불참 '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통보
-
전국 84개 전통시장, 수산물 사면 최대 30% 환급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집 전기 아끼면 이자 더 준다…최고 7.2% 에너지절약 적금 출시
-
"아침·저녁·휴일에도 돌봄 제공"…거점형 돌봄기관 시범운영
최신 뉴스
-
힘든 고추·배추 정식 이제 안녕~ 이게 바로 국산 정식기다!
-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날'…첫 국가기념일 기념행사 개최
-
중기부, 소상공인 민생 회복 위해 추경 4조 원 우선 지원
- 기술형입찰제도…보다 안전하게, 경쟁력 있게
- 조달청, 외신기자 대상 '한계를 넘다' 홍보영상 제작 배경 설명
- "시청자 권익증진 10년, 열린 미디어 환경 만들어야"
-
산사태 우려 산불피해지역, 내달 중순 전까지 응급 복구 완료
-
15일부터 풍수해·폭염 대책기간 운영…"인명피해 최소화에 중점"
- 중소기업 혁신기술, 협상 단계에서부터 지킨다
- 중기부, 소상공인 활력 회복을 위해 대규모 추가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