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

글자크기 설정
목록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7. 1.() 11:00

배포

2025. 7. 1.()



2025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

- 6월 수출 플러스 전환상반기 수출 전년 대비 보합세

- 6월 반도체 수출 사상 최대치 경신상반기도 역대 1위 달성

* 6월 수출 598.0억 달러(+4.3%), 수입 507.2억 달러(+3.3%), 수지 90.8억 달러 흑자

* 상반기 수출 3,347억 달러(0.03%), 수입 3,069억 달러(1.6%), 수지 278억 달러 흑자


 

20256월 수출입 동향

 

총괄'25.6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한 598.0억 달러, 수입은 3.3% 증가한 507.2억 달러, 무역수지는 90.8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6월 수출은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인 598.0억 달러(+4.3%)를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조업일수('24.621.5'25.621.0)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6.8% 증가한 28.5억 달러로 역대 6월 중 1위 실적을 경신하였다.

 

* '25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
1492(10.1)2523(+0.4)3581(+2.8)4581(+3.5)5573(1.3)6598(+4.3)

 

* '25년 월별 일평균 수출 추이(억 달러, %) :
124.6(+7.8)223.8(6.4)326.4(+5.1)424.2(0.8)526.6(+1.0)628.5(+6.8)

 

품목6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6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다.

 

* '256월 증가품목 수출·증감률(억 달러, %) :
반도체150(+11.6), 컴퓨터13(+15.2), 자동차63(+2.3), 차부품18(+2.4), 선박25(+63.4), 바이오헬스17(+36.5)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사상 최대실적인 149.7억 달러(+11.6%)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SSD 수출은 15.2% 증가한 13.3억 달러로 2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 '25년 반도체 월별 수출·증감률 추이(억 달러, %) :
1101(+8.1)296(3.0)3131(+11.9)4117(+17.2)5138(+21.2)6150(+11.6)

 

자동차 수출은 63억 달러로 2.3% 증가하면서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였다. 특히, 대미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EU 수출이 전기차를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중고차 수출(6.7억 달러, +67.9%)도 크게 증가하면서 역대 최초로 5개월 연속 6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였다.

 

* '25년 자동차 월별 수출·증감률 추이(억 달러, %) :
150(19.6)261(+17.7)362(+1.0)465(3.8)562(4.4)663(+2.3)

 

바이오헬스 수출은 바이오 의약품(11.1억 달러, +54.0%)을 중심으로 36.5% 증가한 16.6억 달러로 6월 중 역대 최대실적을 달성하였다. 선박 수출도 63.4% 증가한 25.0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한편, 석유제품(36.2억 달러, 2.0%)과 석유화학(33.6억 달러, 15.5%) 수출은 제품가격이 연동되는 유가가 약세를 보이면서 감소 흐름을 지속하였다.

 

15대 주력 수출품목 외에도 농수산식품(10.3억 달러, +7.7%)·화장품(9.5달러, +22.0%) 및 전기기기(15.8억 달러, +14.8%) 수출은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 2월부터 5개월 연속 해당 월 기준 1위 실적을 경신하였다.

 

지역6월에는 9대 주요 지역 중 미·중 외 7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하였다.

 

* '256월 증가지역 수출·증감률(억 달러, %) :
아세안98(+2.1),EU58(+14.7),일본25(+3.0),중남미24(+3.3),중동19(+14.8),인도16(+2.3),CIS11(+18.5)

 

양대 수출시장인 대미국 수출(112.4억 달러, 0.5%)은 보합세, 대중국 수출(104.2억 달러, 2.7%)은 소폭 감소세 보였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선박·철강제품을 중심으로 2.1% 증가한 97.6억 달러로 1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EU 수출은 자동차·차부품, 선박, 석유제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14.7% 증가한 58.0억 달러를 기록, 4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한편, 대인도 수출은 2.3% 증가한 15.9억 달러를 기록,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였으며, CIS 수출은 18.5% 증가한 11.0억 달러로 4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아울러 중남미(24억 달러, +3.3%), 일본(25억 달러, +3.0%), 중동(19억 달러, +14.8%)으로의 수출도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9대 주요 지역 외에도 주요 반도체 수출국인 대만으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31.0% 증가한 43.4억 달러로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였다.

 

수입6월 수입은 3.3% 증가한 507.2억 달러로, 에너지 수입(85.5억 달러) 14.6% 감소하였으나, 에너지 외 수입(421.7억 달러)7.9% 증가하였다.

 

수지6월 무역수지는 수출(+24.6억 달러)이 수입(+16.3억 달러) 대비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8.2억 달러 증가한 90.8억 달러 흑자를 기록, 189(96.2억 달러) 이후 최대 흑자 규모를 기록하였다.

 

2025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총괄'25년 상반기 수출은 3,347억 달러(0.03%)로 전년 동기 수준에서 보합세를 보였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2.3% 증가한 25.6달러를 기록하였다. 수입은 3,069억 달러로 1.6% 감소하였으며, 무역수지는 278억 달러 흑자로 전년 대비 48억 달러 개선되었다.

 

* 상반기 수출 추이(억 달러) : '223,505(역대 1) '233,070 '243,348(2) '253,347(3)
일평균 수출 추이 : '22 26.3(역대 1) '23 22.8 '24 25.1(3) '25 25.6(2)

 

'22년 상반기에는 러-우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원유석유제품·석유화학('22609'25431억 달러), 철광석철강('22208'25156억 달러) 수출 역대 최대치 기록

 

품목상반기에는 15대 주요 수출품목 중 5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다.

 

* '25년 상반기 증가품목 수출·증감률(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
반도체733(+11.4), 무선통신75(+8.5), 컴퓨터59(+12.6), 선박139(+18.8), 바이오헬스82(+11.0)

 

반도체 수출은 DDR5·HBM 등 고부가제품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올해 들어 주요 메모리제품 고정 가격도 반등하면서 전년 대비 11.4% 증가한 733억 달러를 기록, 역대 상반기 기준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 메모리 반도체 가격 추이('25.16, $) : (DDR48Gb)1.351.351.351.652.102.60,
(DDR516Gb)3.753.794.254.604.805.10, (NAND128Gb)2.182.292.512.792.923.12

 

* 반도체 상반기 수출추이(억 달러) : '22690(역대 2)'23432'24657(3)'25733(1)

 

양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수출(364억 달러, 1.7%)은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조치 및 현지 전기차 생산 본격화 등에도 불구 하이브리드차 수출 호실적(81억 달러, +29.5%)으로 감소 폭은 제한적이었다.

 

* 상반기 자동차 수출 추이(억 달러) : '22243'23356(역대 3)'24370(1)'25364(2)

 

* '25년 상반기 자동차 유형별 수출·증감률(억 달러, %) :
하이브리드차 80.5(+29.5), 내연기관차 238.4(3.3), 순수전기차 42.8(28.2)

 

한편 석유제품(215억 달러, 18.8%)·석유화학(216억 달러, 11.4%) 수출은 유가와 연동되는 수출단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다. 철강 수출은 미 관세 조치에도 불구, 물량은 증가하였으나 단가가 하락하면서 금액 기준으로는 5.9% 감소(156억 달러)하였다.

 

지역상반기에는 9대 주요 지역 중 5개 지역 수출이 증가하였다.

 

* '25년 상반기 증가지역 수출·증감률(억 달러, %) :
아세안576(+3.8), EU349(+3.9), 중동98(+3.3), 인도95(+1.6), CIS62(+13.3)

 

()미국 수출은 양대 수출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부진으로 3.7% 감소한 62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반면, 수입은 0.7% 증가하면서 흑자 규모(263억 달러) 전년(290억 달러) 대비 26억 달러 축소되었다. 대중국 수출도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 감소로 4.6% 감소한 60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편, 대아세안(576억 달러, +3.8%), EU(349억 달러, +3.9%) 수출은 시장별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자동차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하면서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대인도 수출(95억 달러, +1.6%)상반기 중 역대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수입'25년 상반기 수입은 1.6% 감소한 3,069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에너지 수입은 저유가 등 영향으로 15.3%(595억 달러) 감소하였으나, 에너지 수입은 반도체 장비(+27.6%) 등을 중심으로 2.4%(2,474억 달러) 증가하였다.

 

평가 및 정책방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올해 상반기 우리 수출은 미국의 관세 조치, 경기 회복세 둔화, 중동 사태 등 전례 없는 글로벌 통상·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년 수준을 유지하였고, 특히 새 정부가 출범한 6에는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되었다"고 밝히고, "이는 우리 기업들이 녹록지 않은 수출여건에 적응하기 위해 치열하게 시장·품목 다변화에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하였다.

 

이어서 안 장관은 "하반기에도 미국 관세정책의 변동성과 경기 회복 속도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면서 "정부는 당면 과제인 한미 협상에 총력 대응하는 한편, 협상 결과에 따라 우리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역 금융 공급, 대체 시장 발굴 등을 포함한 수출 지원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 보도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기초로 2025년 상반기 및 6월 수출입 실적 분석한 것으로 630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

 

수출입 실적과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 연간통계 확정 시('26.2)까지 정정 가능



담당 부서

무역정책관실

책임자

과 장

김종우

(044-203-4040)

 

수출입과

담당자

사무관

여수항

(044-203-4043)

 

 

 

 

사무관

김정훈

(044-203-4042)

 

 

 

주무관

정희성

(044-203-4047)

 

주무관

오소림

(044-203-4048)


묶음 개체입니다.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제4회 시멘트의 날' 기념행사 개최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