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극지연구소 김지희 박사 남극환경보호위원회 부의장 선출

글자크기 설정
목록

극지연구소 김지희 박사 남극환경보호위원회 부의장 선출

- 대한민국, 남극 환경 보호 논의 주도적 역할 기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현지 시각 7월 1일(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25년 제27차 남극환경보호위원회 연례 회의에서 극지연구소 소속 김지희 책임연구원이 부의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남극환경보호위원회(the Committe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이하 CEP)는 1998년 발효된 남극조약 환경보호 의정서(마드리드 의정서) 당사국 간 회의체인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에 환경보호와 관련된 자문을 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CEP는 환경영향평가, 보호구역 관리, 오염 방지, 외래종 대응, 동·식물 보호 등 남극 환경 보호와 보존 전반에 관한 업무를 다룬다.

 

* 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 ATCM

 

CEP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42개 마드리드 의정서 비준국의 대표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극지연구소 김지희 책임연구원은 2013년부터 CEP의 정부대표단으로 활동해 왔다.

 

이번 선출은 김지희 책임연구원이 남극 환경 분야에서 쌓아온 풍부한 현장 연구와 국제협력 경험이 높이 평가된 결과로 분석된다. 김 책임연구원은 남극세종과학기지 인근 펭귄마을(남극특별보호구역 171번 나레브스키 포인트) 현장 조사와 관리계획을 수립했으며, 세종기지가 위치한 남극 킹조지섬 내 외래 곤충 퇴치를 위해 노력했다.

 

또한, 남극장보고과학기지 건설 당시 환경 관련 연구책임자로 참여했고, 최근에는 장보고기지 인근 아델리펭귄 집단서식지인 인익스프레서블섬의 신규 남극특별보호구역 지정을 위해 중국, 이탈리아와 공동으로 관리계획을 작성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남극특별보호구역 관리계획을 검토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보호구역 관리 방안 강화를 위해 의정서의 협의당사국과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관리계획 부속그룹(SGMP: Subsidiary Group on Management Plans)'을 이끌 예정이다.

 

신임 부의장의 임기는 2026년 제28차 CEP 회의부터 2년이며, 한 차례(2년) 연임이 가능하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남극환경보호위원회 부의장 선출로 국제 남극 과학 공동체 내에서 환경 관련 주요 의제를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라며, "우리나라의 남극 과학 연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전환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프랑스 내 럼피스킨 발생으로 프랑스산 쇠고기 수입금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