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질병청, 치쿤구니야열 유입대비 상황 점검(7.29.화)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질병청, 치쿤구니야열 유입대비 상황 점검


- 최근 중국 광둥성 지역, 인도양 국가 등 대규모 유행에 따라 세계보건기구는 확산 위험을 경고하고 조기감시 및 예방 등의 긴급 조치를 촉구

- 유행지역 여행 시 모기물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입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관절통, 발진 등)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해외여행력 알리기'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7월 28일(월) 질병관리청장 주재로 최근 프랑스령 레위니옹 및 마요트 등 인도양 국가 및 중국 광둥성 지역에서 유행 확산세인 치쿤구니야열의 국내 유입을 대비하기 위해 유행 상황 및 대응 체계를 점검하였다.


  치쿤구니야열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제3급 법정감염병이며, 1~12일의 잠복기 후 발열, 관절통, 발진,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모기물림 외에는 드물게 감염된 혈액제재의 수혈, 모자간 수직 감염, 실험실 노출 등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매개모기는 숲모기(이집트숲모기․흰줄숲모기)이며,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치쿤구니야열을 모두 매개한다. 이 중 주요 매개모기는 이집트숲모기 이지만 국내에는 서식하지 않고, 흰줄숲모기만 우리나라 전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 


  2010년에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환자를 전수 감시하고 있으며, 2013년 

첫 환자가 유입된 후부터 2025년 7월 25일까지 총 71명이 신고되었고, 모두 해외방문 후 감염되어 국내에 유입된 사례이다.


   환자의 특성으로는 남자가 57.8%(41명)로 여자 42.2%(30명)보다 많았고, 연령은 20대~50대가 87.3%를 차지하였다. 또한 추정감염국으로는 국민이 선호하는 여행지인 아시아가 93%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 남아메리카(수리남, 에콰도르, 파라과이), 아프리카(기니)도 확인되었다.


  환자의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발열(84.5%), 근육통(63.4%), 관절통(50.7%), 피부질환(45.1%), 두통(32.4%) 순이며, 중증 합병증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5년 국외 치쿤구니야열 발생은 6월 초 기준 14개국에서 약 22만 명이 보도되었고 그 중 80명이 사망하였다(ECDC). 미주 지역*(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며, 최근에는 인도양에 위치한 프랑스령 레위니옹 및 마요트, 모리셔스** 등에서도 많은 환자가 보고되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인도, 스리랑카, 파키스탄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최근 중국 광둥성 지역에서 올해 4,824명(7.27. 기준)이 보고됐다.

* '20년 103,046명, '21년 138,400명, '22년 273,841명, '23년 411,560명, '24년 431,409명, '25년 201,271명(7.28.기준)

** 레위니옹 54,233명(6.29.기준), 마요트 1,098명(6.29.기준), 모리셔스 17명(4.2.기준)



  질병관리청은 국외 치쿤구니야열 발생 현황을 반영해 국내 유입가능성에 대하여 위험평가를 실시하고, 대응체계를 점검하였다. 국내 발생가능성을 고려한 위험평가 결과 종합위험도는 낮지만, 매개모기인 흰줄숲모기가 국내에 서식하고 있어 감염환자 해외유입 시 잠재적인 노출 가능성은 있다.


  치쿤구니야열은 뎅기열 및 지카바이러스 감염증과 다른 질환이지만 증상과 주요 발생지역이 유사하고 동일한 매개모기에 의해 전파됨에 따라 현재 뎅기열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준하여 대응하고 있다. 2023년 12월 검역감염병으로 지정된 이래 환자감시, 매개모기 방제, 대국민․해외여행객 대상 예방홍보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해외여행 증가 등 치쿤구니야 유입 가능성에 대비하여 중국(광둥성),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을 검역관리지역으로 추가 지정하여 입국자 대상 집중 감시를 실시하고,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해 입·출국자 대상으로 예방수칙 홍보를 강화하며,  ▲공·항만 검역구역 내 해외유입 매개모기 감시 지점을 추가(기존 36개 → 확대 40개)할 예정이다.


  한편 치쿤구니야열 예방을 위해 출국 전․중․후 행동수칙도 강조하였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할 경우에는 ▲출국 전 여행국가의 감염병 발생 현황 및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치쿤구니야열․뎅기열․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모기기피제, 모기장, 밝은색 긴 옷을 준비하여야 한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 > 정책정보 > 감염병 > 인수공통감염병관리 > 모기매개감염병관리 > 해외유입모기매개감염병관리


  해외 감염병 NOW(http://해외감염병now.kr) > 해외 감염병 정보 > 주의해야 할 해외감염병


  아울러 여행 중에는 외출 시 ▲모기 기피제를 3~4시간 간격으로 사용하고, 밝은색 긴 옷을 착용하여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입국 시 발열, 관절통, 근육통 등 증상이 있으면 Q-CODE(또는 건강상태질문서)를 통해 13개소 공항만 국립검역소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단검사 및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귀국 후 2주 이내 증상 발생 시에도 반드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의사에게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전 세계 기후변화로 치쿤구니야열 매개모기 서식지가 확대되고 있어, 해외여행객의 경우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의료인은 발열자 문진 시 해외여행력을 확인하고, 치쿤구니야열,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적극적으로 진단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더불어 "방역당국도 치쿤구니야열 국내 전파 예방을 위해 환자 감시 및 매개체 방제, 예방수칙 안내 등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하였다.


<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예방수칙 >


 ①  여행 전 

  - 방문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②  여행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밝은 색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는 3~4시간 간격으로 사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③  입국 시 

  - 검역관리지역에서 입국할 경우 입국 전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을 통해 

    건강상태 정확히 입력하기


 ④  여행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관절통, 근육통, 발진 등)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방문력을 알리기

  - 귀국 후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 금지 


<붙임> 1. 치쿤구니야열 감염병 개요

        2. 치쿤구니야열 국내 유입 환자 감염 국가 현황

        3. 치쿤구니야열 바로 알기(Q&A)

        4. 치쿤구니야열 예방수칙 홍보자료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보훈부, 혹서기 국가유공자 건강 챙긴다 30일 현장 점검의 날 진행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