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한국소비자원의 2024년 결함 보상(이하 '리콜') 실적*을 분석하여 발표하였다.
* 2024년에 리콜을 실시한 중앙행정기관은 국토교통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기술표준원 등 4개임
2024년 리콜 건수는 2,537건으로 2023년 2,813건 대비 276건(9.8%) 감소하였다. 세부 유형별로 살펴보면, ❶리콜명령이 2023년 1,623건에서 2024년 1,009건으로 614건(37.8%) 감소하였으나, ❷자진리콜이 2023년 689건에서 2024년 898건으로 209건(30.3%) 증가하고 ❸리콜권고도 2023년 501건에서 2024년 630건으로 129건(25.8%) 증가하였다.
관련 법률별로 살펴보면, 화학제품안전법, 소비자기본법, 자동차관리법, 제품안전기본법, 약사법, 의료기기법, 식품위생법 등 7개 법률에 따른 리콜 건수가 2,448건으로 전체 리콜 건수(2,537건)의 대부분인 96.5%를 차지하였다.
이 중 화학제품안전법에 의한 리콜의 경우 2023년 928건에서 2024년 456건으로 472건(50.9%) 감소하여 전체 리콜 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제품안전법에 의한 리콜 건수 감소는 결함제품의 시장유통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불법제품 시장감시, 행정지도, 사업장 단속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보인다.
주요 품목별 리콜 건수를 살펴보면,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소폭 증가하였다. 공산품이 2024년 1,180건으로 2023년 1,554건 대비 374건(24.1%) 감소한 반면, 의약품(한약재·의약외품 포함)이 2024년 341건으로 2023년 260건 대비 81건(31.2%), 의료기기는 2024년 284건으로 2023년 235건 대비 49건(20.9%), 자동차의 경우도 2023년 326건에서 2024년 399건으로 73건(22.4%) 증가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리콜 현황을 살펴보면, 2023년 64건에서 2024년 119건으로 55건(85.9%) 증가했고, 대부분이 식품위생법, 축산물위생관리법, 위생용품 관리법 등을 근거로 먹거리 상품과 관련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결함있는 제품에 대해 신속한 리콜 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며, 리콜 정보가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전달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위해 위생용품 등급에 따른 회수 절차를 정한 「위생용품의 회수·폐기 등에 관한 규정」 제정('24.8)과 의약품 및 의약외품 회수 정보 제공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의약품 등 회수에 관한 규정」개정('24.8) 등 관련 제도 개선이 추진되었다.
아울러, 공정위가 운영하는 '소비자24'(www.consumer.go.kr)에서는 각 부처 및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실시된 각종 리콜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있다. 올해에는 소비자들이 리콜정보, 안전정보 등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메인화면, 페이지 구성 등을 직관적으로 개편하는 내용의 '소비자24' 기능개선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편, 최근 해외직구 규모 확대로 해외 위해제품의 국내 유통이 증가하는 상황을 감안하여, 국내 안전기준의 적용을 받지 않는 해외 직구제품이라 하더라도 해외에서 리콜 대상이거나 국내 안전성 조사결과 위해성이 확인된 경우에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에 요청하여 해당 제품의 유통을 적극 차단해 나가고 있다.
2024년에 국내 유통이 차단된 해외 위해제품은 총 11,436건이며, 금년에도 관계 기관 간 협력을 바탕으로 위해제품의 국내 유통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이 자료는 공정거래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신속 누출 탐지·차단 기술'로 화학사고 위험 확 낮춘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65세 이상 어르신에 '스포츠 상품권' 지원…최대 15만 원
-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
새 정부 첫 세제개편안 발표…'진짜 성장 위한 공평·효율 세제'
-
이 대통령 "미국과 관세 협상 타결…경쟁국보다 낮거나 같은 수준"
-
이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
이 대통령 "배임죄 남용 기업 활동 위축…'경제형벌 합리화 TF' 가동"
-
'공직사회 활력 특별팀' 출범…당직제도 전면 개편 착수
-
'소비쿠폰' 가맹점, 네이버지도 등 민간 지도앱에서 확인 가능
-
내년 '기준 중위소득' 4인가구 649만 원…역대 최대 6.51% ↑
-
5세 유아 28만 8000여명에 교육비·보육료 추가 지원
최신 뉴스
- 국민임명식 초청장 전달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3년…세계 4번째 '달 전체 지도' 완성
-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1만 320원'…17년 만에 노사 합의
- 보훈부-빙그레 , 처음 듣는 광복 캠페인 추진
-
영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스미싱 주의하세요!
- 광복80년 전야제 14일 국회서 개최
- 권오을 장관, 취임 후 첫 보훈단체장 합동간담회 6일 개최
- 보훈부우리금융그룹, 광복 80년 맞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 등 추진
- 안중근 의사 조카 '안원생 지사' 묘소 미국서 확인
- 권오을 장관 장진호 전투 영웅 미국 노먼 보드 회장 별세에 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