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7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57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7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221.9억 달러, 무역수지 88.7억 달러 흑자 기록

-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역대 7월 중 최대 실적 달성

- 반도체는 수출 호재 지속으로 동월 기준 4개월 연속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기정통부') 814, 7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수출은 221.9억 달러로 전년 동월(193.8 달러) 대비 14.5%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133.2억 달러로 전년 동월(121.3억 달러) 대비 9.8% 증가했다. 그 결과 무역수지는 88.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7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관세 부과 예고 등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역대 7월 수출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특히, 반도체는 동월 기준 4개월 연속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을 하였다.

* ICT 역대 7월 순위(억 달러) : 1221.9('25), 2194.8('21), 3193.8('24)

** 반도체 역대 7월 순위(억 달러) : 1147.2('25), 2113.8('22), 3112.1('24)

ICT 수출 추이(억 달러, %) : (4)189.1(10.7) (5)208.7(9.6) (6)220.2(4.7) (7)221.9(14.5)

 

7월 정보통신산업(ICT) 주요 품목별 수출은 반도체(31.2%), 통신장비(4.6%)의 수출은 증가하였고, 디스플레이(8.9%), 휴대폰(21.7%), 컴퓨터·주변기기(17.1%)의 수출은 감소하였다.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의 고정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HBM,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며 역대 7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통신장비는 미국의 전장용 수요와 일본의 5G 장비 수요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전방산업의 수요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출이 감소하였고, 휴대폰은 부분품 수출이 줄었으나, 완제품 수출 호조로 전체 수출 감소폭을 일부 상쇄하였다. 또한 컴퓨터·주변기기는 보조기억장치(SSD)의 전년도 수출 급증과 상반기 재고 확보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요 둔화가 나타나며 수출이 감소하였다.

* HBM : High Bandwidth Memory, DDR5 : Double Data Rate 5 ** SSD : Solid State Drive

지역별 수출 동향을 보면, 미국(11.9%), 베트남(16.4%), 유럽연합(18.0%), 일본(23.9%) 등에서는 수출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포함, 5.6%)에서는 수출이 감소하였다.

 

7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33.2억 달러)은 반도체(9.2%), 휴대폰(19.3%), 컴퓨터·주변기기(15.6%)의 증가로 전년 동월(121.3억 달러) 대비 9.8% 증가하였다. 특히, 컴퓨터·주변기기 중 AI 수요에 의한 데이터센터 GPU(0.6억 달러, 749.7%) 및 중대형컴퓨터(3.0억 달러, 39.9%)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GPU 수입 추이(억 달러, %) : (4)0.1(4.9) (5)0.3(130.0) (6)0.1(0.1) (7)0.6(749.7)

중대형컴퓨터 수입 추이(억 달러, %) : (4)2.6(35.3) (5)4.3(129.9) (6)2.8(29.0) (7)3.0(39.9)

 


정보통신산업(ICT) 7월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147.2억 달러, 31.2%) 메모리 반도체 고정가격(D, 낸드) 상승세*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DDR5, HBM )의 견조한 수요로 역대 7월 중 최대 실적 기록

* D8Gb 단가 추이($) : (4)1.7 (5)2.1 (6)2.6 (7)3.9

낸드128Gb 단가 추이($) : (4)2.8 (5)2.9 (6)3.1 (7)3.4

반도체 수출 추이(억 달러, %) : (4)116.8(17.2) (5)138.0(21.2) (6)149.8(11.5) (7)147.2(31.2)

(디스플레이 : 17.6억 달러, 8.9%) OLED 패널 적용 확대에도 전방 수요 불확실성 증대로 수출이 감소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 달러, %) : (4)15.2(7.6) (5)15.2(17.5) (6)12.9(33.7) (7)17.6(8.9)

(휴대폰 : 9.6억 달러 , 21.7%) 부분품(6.9억 달러, 32.6%) 수출은 1분기 선구매 수요가 둔화되며 감소했으나, 완제품(2.7억 달러, 32.4%)은 주력 모델과 신제품의 수출 호조로 증가하면서 전체 감소폭 축소

휴대폰 수출 추이(억 달러, %) : (4)11.9(28.6) (5)10.5(2.8) (6)7.9(6.2) (7)9.6(21.7)

(컴퓨터·주변기기 : 10.9억 달러, 17.1%) 보조기억장치(SSD)의 전년도 수출 급증에 따른 역기저 효과와 상반기 재고 확보에 따른 일시적 수요 둔화*로 수출이 감소

* SSD 수출 추이(억 달러, %) : (4)4.7(21.6) (5)9.1(6.9) (6)11.3(17.7) (7)7.5(22.4)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억 달러, %) : (4)8.0(11.8) (5)12.0(1.7) (6)14.5(12.7) (7)10.9(17.1)

(통신장비 : 2.0억 달러, 4.6%) 미국(0.4억 달러, 6.5%) 전장용 수요, 일본(0.2억 달러, 29.4%)5G 장비 수요 등의 호조로 수출이 증가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 달러, %) : (4)2.0(3.5) (5)2.0(9.9) (6)2.0(0.7) (7)2.0(4.6)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중소·중견기업 60.0억 달러, 18.8%) 반도체(33.6억 달러, 35.8%), 컴퓨터·주변기기(1.9억 달러, 2.3%), 통신장비(1.2억 달러, 5.5%) 등은 증가, 디스플레이(2.1억 달러, 4.7%), 휴대폰(2.5억 달러, 28.8%) 등은 감소

* 중소기업(16.2억 달러, 6.7%)은 반도체(2.9억 달러, 6.7%), 휴대폰(0.7억 달러, 5.9%), 통신장비(0.7억 달러, 1.8%)는 증가, 디스플레이(0.7억 달러, 4.0%), 컴퓨터·주변기기(1.5억 달러, 1.5%) 등은 감소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74.7억 달러, 5.6%) 컴퓨터·주변기기(2.2억 달러, 1.2%)증가하였으나, 반도체(56.7억 달러, 2.0%), 디스플레이(5.4억 달러, 6.9%), 휴대폰(4.6억 달러, 38.4%), 통신장비(0.2억 달러, 10.0%)의 감소로 전체 수출은 감소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억 달러, %) : (4)72.2(1.5) (5)75.8(6.8) (6)78.9(9.4) (7)74.7(5.6)

(대만 : 37.1억 달러, 89.7%) 반도체*(34.8억 달러, 93.3%), 컴퓨터·주변기기(0.6억 달러, 129.0%)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 DDR5, HBM 등 고부가 메모리(20.5억 달러, 99.4%)가 반도체 수출 견인

대만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4)24.0(98.2) (5)29.4(80.4) (6)36.1(54.6) (7)37.1(89.7)

(베트남 : 36.3억 달러, 16.4%) 반도체(20.5억 달러, 42.7%)가 수출을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회복세 전환

베트남 수출 추이(억 달러, %) : (4)30.5(13.4) (5)35.5(15.7) (6)31.7(6.9) (7)36.3(16.4)

(미국 : 27.1억 달러, 11.9%) 반도체(11.9억 달러, 61.3%), 휴대폰(0.9억 달러, 248.4%)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이 21개월 연속 증가

미국 수출 추이(억 달러, %) : (4)20.0(0.3) (5)22.9(7.2) (6)30.7(22.6) (7)27.1(11.9)

(유럽연합 : 12.0억 달러, 18.0%) 반도체(4.1억 달러, 81.0%), 휴대폰 (1.2억 달러, 14.1%)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회복세 전환

유럽연합 수출 추이(억 달러, %) : (.4)11.2(14.7) (5)11.0(1.5) (6)9.3(5.3) (7)12.0(18.0)

(인도 : 4.8억 달러, 14.1%) 반도체(2.7억 달러, 34.1%), 컴퓨터·주변기기(0.1억 달러, 58.6%)가 수출을 견인하며 회복세 전환

인도 월별 수출 추이(억 달러, %) : (4)5.1(18.0) (5)4.9(7.6) (6)4.2(6.3) (7)4.8(14.1)

(일본 : 3.3억 달러, 23.9%) 반도체(1.1억 달러, 56.3%), 휴대폰(0.1억 달러, 30.9%), 컴퓨터·주변기기(0.5억 달러, 47.2%), 통신장비(0.2억 달러, 29.4%) 주요품목 전반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증가

일본 수출 추이(억 달러, %) : (4)3.2(8.5) (5)3.4(12.5) (6)3.9(18.1) (7)3.3(23.9)

 


정보통신산업(ICT) 7월 수입 현황


 

(품목별) 반도체(66.0억 달러, 9.2%), 휴대폰(9.0억 달러, 19.3%), 컴퓨터·주변기기(13.7억 달러, 15.6%)는 증가, 디스플레이(4.4억 달러, 11.1%), 통신장비(3.2억 달러, 14.1%)는 감소

 

(지역별) 베트남(14.7억 달러, 18.7%), 대만(23.9억 달러, 12.0%) 등은 증가, 중국(홍콩포함, 39.0억 달러, 15.7%), 미국(7.3억 달러, 2.6%), 일본(11.1억 달러, 7.3%) 등은 감소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주차장, 불볕 더위 속 '친환경 발전소'로 변신한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