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글자크기 설정
목록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 전체 전공의 규모 1만명 수준(10,305명, 예년의 76.2%) 회복 -

- 이번 하반기 전공의 합격자는 총 7,984명(모집인원 대비 59.1%)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위원장 유희철)는 9월 2일(화)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하반기 모집 결과 인턴 및 레지던트 총 7,984명(모집인원 대비 59.1%)이 선발되었다.


  모집인원 대비 선발인원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52.0%, 레지던트 61.2%를 기록하였다. 한편 지역별로는 수도권 수련병원이 63.0%,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53.5%로 나타났다.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단위 : , %)


구분

수도권

비수도권

모집인원*
(A)

선발인원
(B)

비율
(B/A)

모집인원*
(A)

선발인원
(B)

비율
(B/A)

모집인원*
(A)

선발인원
(B)

비율
(B/A)

총계

13,498

7,984

59.1

8,025

5,058

63.0

5,473

2,926

53.5

인턴

3,006

1,564

52.0

1,694

963

56.8

1,312

601

45.8

레지던트

10,492

6,420

61.2

6,331

4,095

64.7

4,161

2,325

55.9


* 결원(정원-현원) 범위에서 각 수련병원(기관)이 모집계획을 제출한 인원


  이에 따라 전체 전공의 규모는 이번 하반기 선발인원과 기존에 수련 중인 인원을 포함해 총 10,305명으로 집계되어, 예년('24.3월 기준 임용대상자 13,531명) 대비 76.2%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기준 전공의 규모는 2,532명으로 예년 대비 18.7% 수준이었다.


  예년 대비 전공의 규모 비율을 연차별로 보면, 인턴 61.8%, 레지던트 80.4%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수련병원이 77.2%,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74.3%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정부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 대상인 8개 과목이 예년 대비 70.1%, 그 외 과목은 예년 대비 88.4%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4.3월 대비 2025.9월 전공의 규모>

(단위 : , %)


구분

수도권

비수도권

'24.3*

(A)

'25.9

(B)

비율

(B/A)

'24.3*

(A)

'25.9

(B)

비율

(B/A)

'24.3*

(A)

'25.9

(B)

비율

(B/A)

총계

13,531

10,305

76.2

8,562

6,611

77.2

4,969

3,694

74.3

인턴

3,068

1,896

61.8

1,846

1,184

64.1

1,222

712

58.3

레지던트

10,463

8,409

80.4

6,716

5,427

80.8

3,747

2,982

79.6

 

8개 전문과목**

4,579

3,209

70.1

2,995

2,213

73.9

1,584

996

62.9

그 외 전문과목

5,884

5,200

88.4

3,721

3,214

86.4

2,163

1,986

91.8


 * '24.3월 임용대상자('24.3월 기준 수련 예정이었던 자)

** 전공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대상 8개 전문과목(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그동안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복귀 및 수련환경 개선 등을 논의하기 위해 대한의학회, 수련병원협의회, 전공의협의회 등 단체와 수련협의체를 운영해 왔다. 지난 8월 7일 개최된 제3차 회의에서는 기존 복귀 전공의에 적용된 조치 수준에서 이번 하반기 모집 절차를 진행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11일부터 8월 말까지 병원별 자율 모집 방식으로 이번 모집 절차가 진행되었다.


  이번 모집 결과와 관련하여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상당수 사직전공의가 수련 현장에 복귀함에 따라 의료체계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면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필요성도 다시 한번 확인된 만큼,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세부 결과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보도참고] 로봇청소기 구매할 때, 보안도 반드시 확인하세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