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저축으로 이룬 청년 자립의 결실,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지원금 지급 개시

글자크기 설정
목록

저축으로 이룬 청년 자립의 결실,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지원금 지급 개시

- 만기해지자 3.3만 명 대상 본인 저축금 및 정부지원금(최대 1,080만원) 지급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원장 정해식)은 10월 22일(수)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첫 3년 만기자 약 3.3만 명에게 만기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10월 13일(월)부터 온라인 복지로포털(www.bokjiro.go.kr)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만기해지 신청을 받고 있으며, 가입자는 본인 저축금과 적금이자, 정부지원금을 수령하게 된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수기 확인 방식 보완 등 만기해지 절차가 일부 변경되었으나, 10월 19일(일) 자활정보시스템 복구가 완료되어 22일부터 통상 절차대로 만기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신청 방법 및 필요서류는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홈페이지(kdissw.or.kr)와 복지로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년에 도입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저소득 청년의 꾸준한 저축과 안정적인 자산기반 형성을 돕는 정부의 대표적인 청년 자산형성 지원사업이다.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이 매월 10만~5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30만 원*을 추가 지원하여, 3년 후 만기 시에 본인 저축금 및 적금 이자(최대 연 5% 금리)와 함께 최대 1,080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수령할 수 있다.


 * 차상위 이하(중위소득 50%이하)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중위소득 50%초과 ~ 100%이하) 월 10만 원 지원


   만기지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기해지자를 위한 맞춤형 금융교육도 함께 제공한다. 올해 4월부터 전국 광역자활센터를 통해 기초 자산관리 교육과 1:1 금융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년의 자산운용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편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자 패널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은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으로 경제·재무역량, 고용 안정성, 주거 여건 등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청년내일저축계좌 참여자 패널구축 연구 개요 >

조사기관 : 동국대 산학협력단

조사기간 : (1)'22.7~12, (2)'23.6~11, (3)'24.7~12

조사방법 : 패널 설문조사(코호트 분석), 집단 심층면접(FGI)

조사내용 : 사업 효과성 분석 위한 참여자 재무·고용·주거 등 지표 변화 시계열 분석, 사업 참여 경험 및 필요 지원 등 인터뷰


   경제·재무측면에서는 총소득 및 부채 상환액이 증가해 재무 건전성이 개선되었고, 금융 이해력도 향상되어 자산관리 역량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22년 가입자 패널

'23년 가입자 패널

2022

2023

2024

2023

2024

재무

건정성

총소득(만원)

186.8

181.8

212.6

201.1

214.9

부채 월 상환액(만원)

33.9

37.2

42.5

26.3

30.2

금융 이해력 (100)

64.9

64.8

66.0

67.2

68.1


    "매달 적립되는 저축금을 확인하면서, 빚을 줄이고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정부지원금이 더해질 때마다 제 자존감도 함께 차올랐습니다." (이OO)


    "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 이후부터는 생활 전반에 걸쳐 '계획'이라는 단어가 스며들었습니다. 예전에는 한 달을 어떻게 지내야 할지 막막했지만, 이제는 가계부를 작성하며 수입과 지출을 관리합니다" (여OO)


  고용 측면에서는 상용직·전일제 근로 비율과 4대보험 가입률이 높아져 고용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근로소득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22년 가입자 패널

'23년 가입자 패널

2022

2023

2024

2023

2024

고용

안정성

(%)

상용직

40.9

41.8

43.4

41.8

45.5

전일제

51.7

55.8

62.6

58.1

64.2

4대보험

51.0

52.0

56.9

54.0

58.7

근로소득 (만원)

135.7

152.0

163.4

158.1

171.0


    "3년간 저축을 유지하기 위해 꾸준히 일하다 보니 어느새 4년차 정규직 직원이 되었습니다. 현재 직장을 오랫동안 다닐 수 있게 한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고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적극성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김OO)


   주거 측면에서는 자가·전세 거주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주거 만족도도 증가 추세로 나타나 전반적인 주거 여건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22년 가입자 패널

'23년 가입자 패널

2022

2023

2024

2023

2024

거주형태

(%)

자가

10.2

11.7

12.9

8.0

9.9

전세(반전세)

62.8

70.5

73.0

79.9

80.0

주거 만족도 (5)

3.47

3.48

3.54

3.58

3.61



    "만기지원금을 활용해 다음달 더 넓은 보금자리로 이사할 계획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히 저축하는 것을 넘어 다시 저의 미래에 대해 꿈꾸고 노력할 수 있는 희망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박OO)


   보건복지부는 이번 첫 만기해지자뿐만 아니라, 향후 만기가 도래할 현재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자도 꾸준한 저축을 통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패널조사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업 성과를 분석하여 자산형성지원제도를 개선하고, 맞춤형 금융교육도 다양한 청년의 수요에 맞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강화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배경택 복지정책관은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지원금은 청년의 꾸준한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함께 만들어낸 자립의 결실이라며, "청년들이 만기지원금을 발판으로 더 나은 내일을 설계하고, 스스로의 가능성을 확장해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업 개요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산림청, 가을철 중앙산불대책본부 앞당겨 가동...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