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지역별 한국 괘불(대형 불화)의 연구결과 담은 영문 학술총서 발간
영문 학술총서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23년 1편(경상) 이어 올해 2~4편(전라,충청,서울·경기)까지 완간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한국 불교미술의 정수인 괘불(掛佛)의 지역적 특성과 예술성을 심층적으로 다룬 영문 학술총서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총 4권 전집을 완간하였다.
*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1 : Gyeongsang-do Province (23년 발간)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2 : Jeolla-do Province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3 : Chungcheong-do Province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4 :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앞서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현재 전해지는 120여 점의 괘불 가운데 국보·보물로 지정된 63점에 대해 2022년부터 실시한 심층 조사와 미술사적 분석 결과를 지역별로 정리하여 총 4권의 국문판 『한국 괘불의 미』(4권, 2022~2024)를 발간한 바 있으며, 2023년 영문판인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1편을 발간한 데 이어, 이번에 2~4편을 선보이게 되었다.
괘불은 '걸개에 거는 불화'를 말하는데, 사찰의 야외 의식을 위해 제작된 대형 불화이다. 길이가 약 5~14m에 달하는 압도적인 규모와 독창적인 도상은 다른 나라의 불화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나라만의 독창성과 예술성을 보여준다.
2023년에 발간한 1권(경상지역)에서는 조선 후기에 괘불이 가장 활발하게 제작된 경상지역의 괘불 26점을 소개했다. 경상지역 괘불에는 꽃비가 내리듯 꽃을 뿌려서 부처를 공양하는 장면이 나타나거나, 괘불 화면 테두리에 범자(梵字, 산스크리트어 표기 문자)를 원문(圓文) 형태로 배치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번에 나온 2권(전라지역)에는 15점의 괘불과 초본 1점이 실렸다. 전라지역에는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 괘불인 <죽림사 세존 괘불탱> (1622)을 비롯하여 초창기 괘불들이 전하고 있다. 특히, 『오종범음집』에 입각한 괘불 작품들이 '천신–의겸–색민' 거장들에 의해 18세기 전라지역에서 활발히 제작된 점이 특징이다. 불보살의 몸과 눈동자 등에 범자를 적어 생명력을 부여하는 섬세한 표현은 종교 의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 오종법음집(五種梵音集): 17세기에 간행된 불교 의식서
3권(충청지역)에는 15점의 충청지역 괘불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충청 지역은 17세기의 작품이 다른 지역보다 많은데, 많은 인물들을 그린 군도(群圖) 형식의 석가모니 괘불이 많아서, 초창기 괘불이 부처님을 단독으로 묘사한 독존도(獨尊圖)보다는 군도 형식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화려한 보관과 장신구를 착용한 보살형의 장엄신(莊嚴身)도 확인할 수 있는데, 지역적인 특색이 반영된 창의적인 도상으로 주목된다.
4권(서울·경기지역)에는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서울·경기지역 괘불 6점을 수록하였다. 20세기 전반까지 제작된 120여 점의 괘불 가운데 현재 41점이 서울·경기지역에 남아 있다. 억불정책으로 조선 전기에 서울·경기지역의 괘불 조성은 활발하지 못했으나, 19세기 이후에는 왕실 발원 불화의 전통을 계승한 수준 높은 괘불이 활발히 조성되었다. 괘불을 조성할 수 있는 종교적, 재정적 기반이 마련되고 화원(畵員)들이 왕실 발원 괘불의 제작에 참여하면서, 이후 근대기 괘불 양식을 주도해 나가게 된다.
영문 학술총서 『The Beauty of Korean Gwaebul』은 국외의 한국학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배포되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가유산 지식이음 누리집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누리집 내 '괘불 갤러리'에서 국가지정 괘불의 고화질 사진과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2026년에는 영문 서비스도 실시할 예정으로 괘불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높이고, 관련 연구 기반을 조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가유산 지식이음: https://portal.nrich.go.kr/
* 괘불 갤러리: https://portal.nrich.go.kr/kor/buddhaNdGallery.do?menuIdx=1092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실시하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공유하여 국민의 문화유산 향유 기회를 확대해나갈 것이다.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rector General: Lim, Jong-Deock; hereafter, the NRICH), an affiliate of Korea Heritage Service, has completed the publication of the English edition of the four-volume series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The series explor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rtistry found in gwaebul paintings—a quintessential form of Korean Buddhist art.
*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I : Gyeongdang-do Province (published in 2023)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II : Jeolla-do Province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III : Chungcheong-do Province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IV :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is English-language academic series is designed to help international readers to better understand the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gwaebul paintings. It is based on the Korean edition, which was published in four volumes from 2022 to 2024, building upon the in-depth surveys and art historical analyses of Korean gwaebul conducted since 2022.
A gwaebul, in Korean literally meaning a Buddhist painting hung from a rack, is a large-scale artwork intended for outdoor rituals at temples. Their overwhelming size of approximately five to fourteen meters in length and their inventive iconography—two features uncommon in Buddhist paintings elsewhere—demonstrate distinctive regional artistry.
Among the 120 surviving gwaebul, sixty-three piece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or treasures are featured across four volumes organized by region.
Volume I introduces twenty-six gwaebul paintings from the Gyeongsang-do Province area, the region where gwaebul production was most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One notable motif in the local gwaebul is the depiction of making offerings to the Buddha by scattering flowers to resemble a flower rain. Another characteristic of gwaebul from this region is the placement of Sanskrit characters inside circles along the edges of the paintings.
Volume II contains fifteen gwaebul paintings and a gwaebul draft from Jeolla-do Province. Some very early gwaebul paintings have survived in this region, including the earliest known example, The Shakyamuni Buddha Gwaebul at Jungnimsa Temple (1622). Notably, a number of gwaebul were created there in the eighteenth century by the master monk-painters Cheonsin, Uigyeom, and Saekmin based on Ojongbeomeumjip (五種梵音集, Collection of the Five Kinds of Sanskrit Sounds), a Buddhist ritual manual published in the prior century. The meticulous act of enlivening Buddhas and Bodhisattvas by inscribing Sanskrit characters on their eyes and bodies was practiced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rituals.
Volume III features fifteen gwaebul paintings from Chungcheong-do Province, where more seventeenth-century examples are found than in any other region. Many of them depict a seated Shakyamuni Buddha surrounded by multiple figures arranged in groups, suggesting a possibility that early gwaebul may have been produced in a group-image format rather than as solitary images. In the seventeenth-century gwaebul from this region, Bodhisattva-type Buddhas appear with ornately adorned bodies wearing embellished crowns and accessories. This creative iconography is noteworthy as a reflection of the region's local characteristics.
Volume IV presents six gwaebul paintings from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mong the 120 known gwaebul created by the end of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forty-one are found in this region. Due to a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gwaebul production in this region was largely dormant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However, in and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high-quality gwaebul influenced by the tradition of Buddhist paintings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were actively produced there. With their religious and financial foundation for supporting gwaebul produc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court painters in works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gwaebul paintings from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came to define the style of modern-era gwaebul .
The English-language academic series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will be distributed primarily to overseas research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studies. It is also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the NRICH's website. Moreover, high-resolution photos of state-designated gwaebul and related information are provided in the Gwaebul Gallery on this website, and will be made available with accompanying English text in 2026.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enhance international interest in gwaebul and build a solid foundation for related research.
* NRICH's website: https://portal.nrich.go.kr/
* Gwaebul Gallery: https://portal.nrich.go.kr/kor/buddhaNdGallery.do?menuIdx=1092
The NRICH will continue with its diverse range of research initiatives designed to promote the valu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to a broader international audience.
< 『The Beauty of Korean Gwaebul』 >
“이 자료는 국가유산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이 대통령 "경기북부 상황 안타까워…합리적인 일들 최대한 빨리 처리"
-
직장인에 '든든한 한끼'…"내년 예산, 국민 위해 이렇게 씁니다"
-
이 대통령, 한미 '팩트시트' 발표…"통상·안보협의 최종타결"
-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3조 3000억 원 '성장촉진' 보증부대출 출시
-
청년도약계좌 → 청년미래적금 갈아탈 준비 완료!
-
상생페이백 소비 진작 효과 11배…9~10월 소비 7조 220억↑
-
이 대통령, 17∼26일 G20 정상회의 참석 및 중동 3개국 순방
-
이 대통령 "UAE, 아랍 진출 '베이스캠프'…공동번영의 길 열어갈 것"
-
국방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발표
-
한미, 3500억 달러 규모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 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