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2016 치매극복 박람회(보건복지부 주최, 중앙치매센터 주관)가 열렸습니다. 치매극복의 날(9월 21일)을맞아 ‘치매 혼자가 아닙니다, 헤아림이 있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한국의 치매 유병률이 2014년 65세 이상 노인의 9.5%에서 2015년 9.8%, 2016년에는 9.9%에 이르렀다고 밝혔습니다. 10명 중 한 명꼴입니다.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70만 명 정도로 추정되는데, 한 해 실종 신고도 1만 건에 이르고 있습니다.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치매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치매에 대한 관리와 대책 등 다양한 제도와 사회적 활동을 보고 왔습니다.
|
---|
‘치매 혼자가 아닙니다, 헤아림이 있습니다’ 슬로건. |
이날 행사장에서는 어르신들의약식 건강검진, 치매 테스트, 인지도 테스트 등이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 |
인지도 테스트기. |
특히 최근 고령자 운전 사고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데, 도로교통안전공단 부스에서는 운전 테스트 및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 |
도로교통공단의 어르신 교육 및 실습. |
![]() |
가상화면에서 운전 실기연습을 하고 있는 어르신. |
치매 이전에 후견인을 지정하고 법적인 사항을 알려주는 부스도 눈에 띄었습니다. 주관사인 중앙치매센터에서 개발한 ‘동행’이라는 앱도 선보였습니다. 치매 어르신을돌보는 가족의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들어 있어 저도 앱을 깔아 보았습니다.
‘동행’ 앱에는 치매 환자를 돕는 자세한 방법 외에도, 투약 시간·병원 진료 일정을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해 모두 8가지 기능이 담겨 있었습니다.
![]() |
치매환자 돌봄지원 ‘동행’ 앱. |
치매 어르신들은길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대단히 많습니다. 이에 치매 어르신을 지키는 스마트밴드를전화기능 추가시 월 4,200원에 대여할 수도 있습니다. 자녀 또는관리자 스마트폰에 앱을 깔면 언제든 위치 확인이 가능한다양한 기능의 제품이었습니다.
![]() |
치매 어르신 안전지키미 밴드. |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치매 어르신들을 위한호출버튼, 용변처리 등 다양한 체크 장비도 다양하게 선보였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는치매 어르신들을 위한 24시간 365일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 |
24시간 365일 치매상담콜센터 전화번호. |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왕성한 사회 활동이 최고입니다. 이날 행사장에서는 전국 실버합창단의 합창대회가 열렸습니다. 전국에서 총 10개팀이 참여했는데, 어르신 합창단의 실력이 대단했습니다.
![]() |
실버합창단 공연 모습. |
모든 어르신들, 그리고 모든 국민들에게 치매는 더 이상 남 얘기가 아닙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는 어르신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치매, 완치는 어렵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예방과 치료는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치매의 예방을 위해서는 관심이 필요합니다.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www.nid.or.kr)에 다양한 치매 관련 정보들이 있으니 이를 통해 치매에 대해 제대로 알고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행수 khs2746@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남에게 인정받는 사람이 ‘금수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