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소래어시장과 만나니 축제가 펄떡펄떡~

[코리아 세일 페스타] ‘코리아세일페스타’ 연계 소래포구축제 취재기

2016.10.10 정책기자 김혜옥
글자크기 설정
목록

신선한 해산물과 상인들의 푸짐한 덤, 그리고 고기잡이 어선을 따라서 파란 하늘에 포물선을 그리는 갈매기 소리는 소래포구어시장을 다녀온 사람이라면 진한 여운으로 남아있을 듯하다. 필자는 소래포구어시장 인근에 거주하고 있어 바다내음과 싱싱한 해산물이 필요할 땐 나들이 삼아 자주 이곳을 찾는다   

소서노의 재현, 거리 퍼레이드
소서노의 재현, 거리 퍼레이드.

소서노를 주제로 한 공연
소서노를 주제로 한 공연.

16회 소래포구축제가 열린다고 해서 반가운 마음에 달려갔다. 올해로 16년째 개최되는 소래포구축제는 수도권 유일의 재래어항으로 값싸고 품질 좋은 해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소래포구 특산물을 주제로 2001년부터 개최했다. 이후 해가 거듭함에 따라 축제는 포구 문화, 역사와 더불어 서해바다와 습지의 생태자연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소래포구축제장 운영 부스들
소래포구축제장 운영 부스들.

소래포구축제를 즐기는 사람들
소래포구축제를 즐기는 사람들.

201616회 소래포구축제930일부터 102일까지 소래포구 해오름광장과 소래습지생태공원에서 서해바다의 아름다움과 포구의 낭만과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선보였다. 첫날 소래, 소서노를 만나다.’를 주제로 거리 퍼레이드가, ‘소서노의 부활을 주제로 한 무대 공연이 있었다 

거리 퍼레이드는 소서노의 미추홀(인천의 옛지명) 도착을 재현했으며소서노를 주제로 한 무용과 창작극 등이 이어졌다. 이날 거리 퍼레이드와 무대 공연으로 소래포구어시장은 생선이 펄떡펄떡 뛰듯 생기로 넘쳐났다.
 

소래포구축제 불야성
소래포구축제 불야성.

이번 소래포구축제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 37개 지역연계 축제 중 하나로 펼쳐져 그 의미를 더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는 10월 한 달 동안 전국에서 계속된다.
 

소래포구의 먹거리, 꽃게, 대하, 전어 등
소래포구의 먹거리, 꽃게, 대하, 전어 등.

소래포구어시장에서 만나는 해산물
소래포구어시장에서 만나는 해산물.

소래포구어시장은 평소에도 주말, 평일 구분 없이 많은 사람들이 찾는데, 소래포구축제가 열리는 동안에는 정말 시장 골목이 많은 사람들로 발디딜 틈 없었다.

어시장 입구에서부터 가을 전어 굽는 냄새가 여기저기에서 진동했다. 상점마다 싱싱한 꽃게, 대하 그리고 주꾸미 등 각종 수산물이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보기만 해도 싱싱한 소래포구어시장의 해산물 등은 시장을 나서는 사람들의 양 손에 가득 들려 있었다
 

어시장은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으로
어시장은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으로.

소래포구어시장 화이팅!
소래포구어시장 화이팅!

소래포구를 떠들썩하게 했던 ‘소래포구축제’처럼 코리아 세일 페스타가 대한민국 전역에서 55개 문화축제의 향연(Contents & Culture 18개 행사, 지역연계 37개 축제)으로 열려 내외국인이 함께 즐기는 문화축제의 장이 되고 있다. 

이번 코리아 세일 페스타 행사로 10월 한 달 내내 대한민국 전역이 활기에 넘쳐 경제 활력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김혜옥
정책기자단|김혜옥
zzarasay@naver.com
미디어강사, 블로거, 시민기자로 우리가 살아 가는 세상 이야기를 좀 더 넓은 곳으로 품어 올릴 수 있는 마중물이 되고자 합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명동 나갔더니, 크리스마스 이브인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