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베개 정말 시원하고 실용적으로 보인다!”
“이 오방색 문양 보자기의 디자인은 또 어떻고! 정말 아름답다!”
지난 8월. 필자가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친구 내외에게 우리 전통시장을 구경시켜주던 중, 부부가 수수 베개와 밥상 보자기를 보고 감탄했던 반응들이었다.
시민들이 ‘찾아가는 관광기념품 트럭’에서 판매 중인 우수관광기념품을 살펴보고 있다.(출처=문화체육관광부) |
전통민속박물관에 방문했을 때는 고려와 조선시대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칭찬하며 “동양에서 도자기 기술은 중국이 최고라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중국과의 무역에서 한국의 도자기가 큰 인기를 끌었던 상품이고 바다 건너 일본까지 그 기술이 전파되었다니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고 했던가? 우리에게 너무 흔하고 익숙했기에, 고리타분하게 생각하기 쉬웠던 우리나라 전통공예품들이 외국인들에게 호평을 받는 모습을 보며, 정작 자국민으로서 잠시 잊고 있었던 전통문화의 가치와 가능성에 대해 다시 재고해볼 수 있는 순간이었다.
![]() |
외국인 친구들은 백자의 아름다움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사진은 우수문화상품 중 하나인 ‘청화백자 모란문 5인용 다기 세트’.(출처=우수문화상품 안내 사이트) |
올해 10월부터는 이러한 우리의 우수한 문화상품을 우리 국민뿐만 아닌 외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릴 수 있게 됐다. 우수문화상품에 부여하는 ‘케이-리본(K-Ribbon)’ 마크 덕분이다.
정부는 지난 3월 시범 지정을 거쳐 이번에 정식으로 우수문화상품을 지정, 발표했다. 한국의 문화적 가치를 담은 문화상품을 ‘케이-리본 셀렉션(K-Ribbon Selection)’이라는 통합적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널리 알리고자 함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총 35개의 상품을 2016 신규 우수문화상품으로 지정했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35점의 상품은 우수문화상품지정서를 수여받고, ‘2016 우수문화상품’ 표시인 케이-리본(K-Ribbon) 마크를 수여받는다.
![]() |
우수문화상품지정제도에 따라, 공예와 한복, 한식, 식품의 네 개 분야에서 우수문화상품으로 지정된 문화상품엔 ‘케이-리본’ 마크가 부여된다.(출처=문화체육관광부) |
케이-리본을 수여받은 우수문화상품에 대해선 다양한 지원이 제공된다. 먼저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제공하는 국내외 유통 및 홍보와 관련된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해외 역직구 사이트 및 국내 온라인몰 등 입점, 자료 책자 제작 및 해외 전시를 통한 홍보, 국내외 각종 박람회 출품 및 구매자(바이어) 연결 등이 지원된다.
일례로, 지난 3월에 선정된 상품들에 대해서는 카카오톡의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Makers with KAKAO) 입점을 지원했다.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선주문 생산 방식의 모바일 플랫폼으로, 지난 2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기타 한국무역협회 운영 해외구매대행사이트, 조달청 나라장터 등에도 활발한 입점 지원이 이뤄졌다.
![]() |
‘메이커스 위드 카카오’에 입점해 인기를 끈 도야공방의 우수문화상품 ‘도자기 디퓨저’.(출처=우수문화상품 안내사이트). |
정부의 해외 전시 및 행사와 연계해 우수문화상품을 적극 소개할 수 있는 해외 홍보 기회도 활발히 주어졌다. 올해 6월, 문화체육관광부가 파리에서 개최한 ‘케이콘 2016 프랑스(KCON 2016 France)’에선 올해 3월 우수문화상품으로 지정된 상품 중 식품과 공예품, 한복 등 31점을 선보였다.
그런가하면 올해 7월엔,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2주에 걸쳐 한복드레스, 철릭원피스, 퓨전 비빔밥 등 한국문화의 품격을 담은 총 56종의 우수문화상품을 소개하는 ‘한국 우수문화상품전’이 열리기도 했다.
![]() |
올해 7월, 미국 LA에서 2주에 걸쳐 열린 ‘한국 우수문화상품전’.(출처=문화체육관광부) |
필자가 우수문화상품 안내 사이트(http://www.kribbon.kr)를 통해 이번 2016년 정식 지정된 우수문화상품들을 돌아본 결과, 일상에서도 편히 쓸 수 있는 전통적 디자인을 지닌 실용적 공예품들에 눈길이 갔다. 개인적으론 한국 전통의 상감기법을 재해석·응용한 도자기 에스프레소 잔, 요즘같이 쌀쌀해진 날씨에 현대 의상에도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전통한복인 철릭을 현대화한 겨울용 철릭코트 등이 눈에 띄었다.
![]() |
우수문화상품 안내 사이트에 등록된 상품 중 필자의 관심을 가장 사로잡았던, 도자기 에스프레소 잔(Cera-stone_Espresso Premium, JIWOON)과 철릭코트(한복문). |
이번 2016 우수문화상품 지정상품에 대한 지정서 수여식은 오는 10월 18일에 문화창조벤처단지(서울 중구 다동)에서 진행된다. 아울러, 10월 18일부터 25일까지 8일간 2016 우수문화상품 지정을 기념한 팝업스토어가 서울과 부산, 광주 등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우수문화상품이 ‘케이-리본(K-Ribbon)’을 달고 더욱 많은 대중들의 사랑을 받길 바라본다.
한편, 2016 우수문화상품 지정에 대한 최종 결과는 우수문화상품 안내 사이트(http://www.kribbon.kr)와 분야별 대행 기관인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복진흥센터, 한식재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맞춤형 보육 100일…종일반·맞춤반 모두 ‘만족’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