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로 5일장 보러 가볼까?’
천혜의 자연을 벗삼아 걷는 올레길, 눈이 시원해지는 드라이브 코스, 그리고 한라산까지 제주도는 최적의 여행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도 올레길은 모두 26개 코스(비정규 5코스 포함) 430km에 이르는 대한민국 걷기여행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천연의 비경과 바닷바람, 때로는 햇볕과 함께 놀멍놀멍(쉬엄쉬엄) 걷다보면 스트레스에 지친 몸과 맘을 충분히 힐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올 겨울엔 조금 특별한 제주여행을 계획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바로 제주민속오일시장입니다.
제주민속오일시장은 1905년에 세워진,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오일장으로 규모도 전국적으로 손꼽히는 대표명소입니다. 중소기업청과 시장경영진흥원이 선정한 ‘가고 싶은 전통시장 50선’ 중 하나이기도 한데요.
110여 년이 되는 ‘제주민속오일시장’은 조선말 보부상들의 거래가 융성했던 시장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제주의 물품들이며 먹거리 등 제주시민은 물론 관광객에게도 인기라고 합니다.
쇼핑카드, 휠체어, 유모차, 수유실 등 편의시설도 대형마트 못지않게 갖춰져 있으며 특히 무료주차 시설도 일평균 8400대의 주차 회전율로 이용이 편리합니다.
![]() |
무료주차장 모습. |
재래식 모습과 현대적 감각이 조화로운 이곳은 제주의 냄새를 물씬 풍기는 상인들과 수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 |
다양한 고객들과 시장 모습. |
제주의 청정 환경에서 생산된 신선한 농수축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작은 인정이나마 풍성하게 넘치는 곳입니다.
또한 만 65세 이상 할머니를 위해 마련된 할머니 장터(할망장터)도 색다른 풍경입니다. 제주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자릿세를 내지 않고 각종 나물이나 채소류 등 장사를 할 수 있게 지정된 공간인데요. 제주 어르신들의 인심을 톡톡히 누릴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요.
수산물전에는 문어, 상어, 옥돔과 갈치, 그리고 제주도에서만 잡히는 딱새우도 보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해산물이 많습니다. 4면이 바다인 제주도의 힘을 볼 수 있는 곳이지요.
![]() |
제주산 옥돔과 갈치. |
특히 딱새우는 제주도 연근해에서만 잡히는데 예전에는 잡히면 버렸던 가재 모양의 새우로 일반 새우에 비해 키토산이 더 풍부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딱새우 껍질을 별도로 조미료 형태로 사용하는 주부들도 많다고 하네요.
![]() |
제주 근해에서만 잡힌다는 딱새우. |
잡화류전, 화훼전, 뻥튀기, 대장간, 약재전, 나물전, 옹기전, 가축전, 먹거리와 장터식당 등 옛 추억을 찾아 볼 수도 있는 점포수만도 1,200여 개나 되지요.
![]() |
재래식 대장간. |
![]() |
시장의 묘미 먹거리 코너. |
특히 이곳에서 맛볼 수 있는 제주도 특산 음식이 있는데 바로 빙떡입니다. 제주산 메밀로 얇고 넓은 전을 붙여 무나물이나 팥을 속에 넣었는데요. 그야말로 별미라 할 수 있습니다.
빙떡은 얇게 부쳐야 제맛이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빙떡은 제사에 사용하던 제물이기도 했습니다.
![]() |
제주 빙떡. |
또 제주도 특산 전통 갈옷(갈중이), 오색옷, 베개 등 의류전에서도 볼거리가 많습니다. 특히 갈중이는 무명옷에 감물을 들인 것으로, 여름철에 몸에 달라 붙지 않아 편합니다. 옷감이나 색깔을 개량해 고급 옷으로 판매하고 있는데 지금은 제철이 아니라 재고가 없었습니다.
묘종상에 묘종 감귤나무에 감귤이 대롱대롱 달려있는 모습을 보며, ‘역시 제주구나’ 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감귤나무, 황칠나무 등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네요.
![]() |
묘종상의 감귤 묘목.(베란다에서도 기를 수 있어요) |
평창오일장과 함께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 대상 시장으로 선정된 제주민속오일시장은 시장 내 유휴 공간을 말테우리(말목동), 아기구덕(아기 재우고 흔드는 대나무기구), 복돼지 등 제주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조형물로 설치해 이색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해녀춤, 풍물놀이 등 제주의 전통 문화공연도 정기적으로 개최한다고 하네요.
제주민속오일시장은 매달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에 서고 있는데 좀 더 자세한 정보는 제주민속오일시장(jeju5.market.jeju.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제주하면 감귤. |
제주민속오일시장에서 구입하는 갈옷, 옥돔, 귤 등 대부분의 물품은 택배로 배달됩니다. 관광과 구매, 제주 전통먹거리, 그리고 제주 관광기념품까지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곳이지요.
제주민속오일시장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전통시장들도 좀 더 활성화돼서 신명나는 장소로 거듭나길 바라봅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김행수 khs2746@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아파트 내 간접흡연, ‘국민생각함’이 바꿨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