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떡국 나눔 행사 시작 전부터 무료급식소에는 어르신들이 빼곡하게 들어섰다. 준비하는 이들의 손이 더 분주해진다. 밤새 내린 눈으로 길이 얼어붙고 기온은 뚝 떨어진 주말 오전이었지만 일찍부터 급식소를 찾아온 어르신들은 떡국상이 차려지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경기도자원봉사센터는 경기도전통음식협회, 국제로타리 3750지구 북수원로타리클럽, 수원시새마을부녀회와 함께 20일부터 25일까지 설날을 맞아 지역 주민센터와 경로당, 무료급식소를 찾아 떡국 나눔 잔치를 진행했다.
21일은 수원시 송죽동 참다솜 무료급식소에서 떡국 나눔 행사가 이어졌다. 자원봉사자들이 노릇노릇한 전을 부지런히 부쳐 내왔다. 홀로 계신 어르신들이 평소 드시기 힘든 손이 많이 가는 전, 나물 반찬 등으로 차린 명절 떡국 한 상 차림이 완성됐다.
![]() |
경기도자원봉사센터는 경기도전통음식협회, 국제로타리 3750지구 북수원로타리클럽 등과 20일부터 25일까지 떡국 나눔 잔치 자원봉사활동을 펼쳤다. |
“어르신들, 다 준비됐습니다. 식사하세요.”란 말이 끝나자 어르신들은 익숙한 듯 각자 플라스틱 의자를 하나씩 손에 들고 줄을 지어 식당에 자리를 잡았다.
주말 점심을 제공하고 있는 이곳에는 평소 70~130명의 어르신들이 찾는다고 한다. 참다솜 무료급식소를 자비로 운영하고 있는 정운자 씨는 “저도 76세 노인이 되었지만 급식소 문을 열기도 전부터 줄을 서 있는 어르신들을 외면할 수가 없다.”고 전했다.
이곳의 식사는 매우 조용했다. 각자의 사정을 말하기 꺼려하는 어르신들이 대부분이라 몇 년째 이들을 만나고 있는 정운자 씨조차도 말을 아낀다고 했다. 어설프고 값싼 연민으로 그저 “식사 맛있게 하셨냐, 명절은 어떻게 보내시냐.” 물어볼 ‘누’를 범하지 않으리라 생각을 굳혔다.
![]() |
무료 급식소를 22년째 운영하고 있는 유준숙 씨. 급식소 문을 열기 전부터 기다리는 어르신들을 생각해 사비로 운영하는 이곳 급식소 문을 닫지 못한다고 한다. |
이날 행사를 위해 여러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힘을 모았다. 이중에서도 아들과 함께 3년째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는 정선환 씨 부자가 눈에 띄었다. 그는 “명절 나눔, 김장철 김치 나눔 행사 등을 아들과 함께 다니며 어른 공경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부자사이가 돈독해지는 것 같아 봉사활동이 즐겁다.”고 밝혔다.
아들 정경훈 씨는 “아버지와 더 많이 가까워지고 대화시간도 많아졌다. 고령화 사회에 노인인구가 점차 많아지는데 어르신들을 위해 이런 자리가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들려주었다.
![]() |
이 날 행사에는 떡국 외에도 설날 명절 음식이 차려졌다. 급식을 준비하고 있는 경기도전통음식협회 자원봉사자들의 모습. |
어르신들은 가득 담아드린 떡국 한 그릇을 대부분 남김없이 드셨다. 더 드시는 분들도 계셨다.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필자는 이날 어르신들의 식사량이 놀라웠다. 그러나 자원봉사자의 얘길 듣고 나서 얼마나 무지스러운 생각이었는지 알게 됐다. 홀몸노인들은 하루를 한 두 끼로 보내는 분들이 많고 이 곳 점심 한 끼로 하루를 나는 분들도 여럿이라 한다. 그래서 고봉밥을 퍼드려도 더 달라 하는 분들도 많다고 했다.
2016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홀몸노인 144만 명, 고독사 위험군 노인은 30만 명에 이르며 결식아동(2015년 통계)은 35만 명, 방학 중 결식아동은 41만 명이나 된다. 그러나 이런 소외계층의 춥디추운 겨울나기와는 달리 우리 내 명절 풍경은 일견 극악스럽기까지하다.
환경부 ‘음식물 쓰레기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설·추석 기간 동안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2013년 7만748톤에서 2015년에는 10만3,978톤으로 증가했다. 일평균 2013년 1만7,667톤에서 2015년 2만3,449톤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32.7% 증가했다.
![]() |
밤새 눈이 오고 기온이 뚝 떨어진 21일 오전이었지만 어르신들이 여느때처럼 무료 급식소를 찾았다. |
누군가에게는 밥 한 끼가 하루의 버팀목일 테고 그마저도 명절 당일에는 무료급식소마저 문을 닫아 굶어야 할지도 모르는데 명절동안 32%나 증가한 음식물 쓰레기는 우리사회의 씁쓸한 양면이 아닐 수 없다.
수원시 새마을부녀회 유준숙 회장은 “봉사활동을 하며 마음 아픈 적이 여러 번 있다. 홀로 계신 어르신 댁을 방문하면 ‘나를 찾아와줘서 너무 고맙다. 조금만 더 있다가라.’ 하며 붙잡으신다. 혼자 계시다가 돌아가신 어르신을 뒤늦게 발견한 경우도 있었다.”고 말하며 “이웃에게 줄 수 있는 좋은 마음은 나눌수록 커지는 것 같다. 소외계층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헤아릴 수 있는 명절이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 |
---|
어르신들은 행사가 시작하기 한참 전부터 무료급식소를 찾아 식사를 기다리고 계셨다. |
오랜만에 가족들을 만나 가족 간의 정을 나누고 맛난 명절음식을 나눌 때, 더러는 그것이 짐스러울 때가 있어 투정부릴 때 조차라도 내 이웃 누군가는 배를 곯고 찾아주는 이 하나 없이 외로운 명절을 보낸다. 잊지 말아야 할 우리사회의 뒷모습이다.
즐거운 명절! 이웃을 한 번 더 돌아보는 기회로 삼아보는 것은 어떨까? 이왕이면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 손 크게 음식을 장만했다면 푸드뱅크(www.foodbank1377.org)를 통해 손쉬운 나눔도 실천하면서, 이웃을 생각하는 마음 따뜻한 명절나기 해보시길 감히 추천해본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진윤지 ardentmithra@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예비 신부가 전하는 빈병 심폐소생술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