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UN이 공식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이다. 세계 여성의 날은 1908년 미국의 1만 5천여 여성 섬유노동자들이 정치적 평등권 쟁취와 노동조합 결성,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날을 기념해 제정한 날로 한국에서도 1985년부터 한국여성단체연합 주최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우리나라 여성 인권의 현주소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보고자 한다.
사회적 소수자에 흔히 여성을 포함시킨다. 숫자상 소수여서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더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사회가 남녀평등성에 있어 구조적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은 사회적 지표 몇 개만으로도 드러난다. 통계청의 2016년 3월 기준 성별 근로형태 통계에서 여성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40.3%를 차지한다. 이는 남성 평균 25.3%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치이다. 전년 대비 남성은 비정규직 비율이 0.3% 감소했지만 도리어 여성은 0.3% 증가하였다.
통계청의 2016년 3월 기준 성별 근로형태 통계에서 여성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40.3%를 차지한다. 이는 남성 평균 25.3%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치이다.
1인 이상 사업체의 여성 월평균 임금은 2015년 178만1천 원으로 남성 임금의 62.8% 수준이며 남성 대비 여성의 시간당 임금수준은 68%를 기록했다. OECD국가 중 최하위권이라고 한다.
과거와 같은 남녀 차별적인 교육 수준 때문일까? 답은 아니다. 2000년 남녀학생 대학진학률은 5% 격차를 보였지만 점점 차이가 줄어 2009년부터는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이 남성을 앞질렀고 2015년 기준 여학생 74.6%가 대학을 진학하고 있으며 남학생(67.3%)에 비해 7.4%나 앞섰다.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의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높은 것을 보면 교육은 경제적인 면에서 남녀격차의 원인이 아니다.
여성 임금수준은 2015년 기준 남성의 68%를 기록했다. 수치의 %는 남성 대비 여성의 임금수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성 월평균 임금은 2015년 기준 남성의 68%를 기록했다. 이는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여성, 남성 모두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육아부담’과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 및 관행’을 꼽았다. 맞벌이여도 육아와 가사는 여성의 몫으로 돌아오기 십상이다. 주변의 20, 30대 여성들은 성토한다. 맞벌이의 경우 남편의 ‘도와준다’라는 개념은 잘못된 것이라고.
육아와 가사가 여성의 주요 책임으로 인식될수록 힘들어지는 것은 남성 역시 마찬가지이다. 기업은 점점 여성 고용과 재취업을 꺼리게 되고 맞벌이 가정은 외벌이로 바뀔 수밖에 없다. 지금처럼 높은 집값과 교육비를 남편 혼자 감당하기는 버거운 일이다.
자녀가 있는 30대 기혼 여성의 경우, 출산과 육아로 자연스레 경력단절에 이른다. 출산과 육아의 부담을 이겨내려면 그 누구보다 ‘슈퍼우먼’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오롯이 여성 개인의 능력으로 가정과 사회의 문제점을 이겨내게 하는 굴레나 다름없다. 여성의 고위직 승진이 막힌 ‘유리천장’이란 사회용어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것이 1979년인데 여전히 이 개념은 통용되고 있다.
종로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재취업을 위해 수업을 듣고 있는 수강생들의 모습.
어릴 땐 여자로 태어났다고 하여 특별히 싫을 만한 일이 없었다. 그러나 사회에 발을 디디며 조심하고 두려워해야만 한다고 강요받는 것들이 많아졌다. ‘안전성’의 측면에서도 현재 우리사회를 돌아보면 남성보다는 여성으로 살아내는데 더 많은 노력과 에너지를 요구한다.
2주간의 배낭여행을 떠나며 부모님보다 주변 어른들의 걱정이 더 컸다. 아들만 둔 교수님은 “너희 부모님은 여자 혼자 여행가는 걸 허락하셨어? 나 같으면 너 안 보낸다. 가서 꼭 연락해라.”는 말을 두어 번 반복하셨다. 걱정하고 아끼는 마음에서 나온 말임은 물론 알고 있다.
우리사회는 주로 피해자가 되는 ‘여자’가 먼저 선제적으로 조심할 것을 강조한다. ‘가해자’를 만들어내지 않고, 가해자를 줄이려는 ‘가해자 중심’의 캠페인과 교육은 왜 병행되거나 앞서지 못하는 것인지 항상 의아했다. 마치 저급한 섹슈얼 저널리즘처럼 범죄보도에서도 ‘피해자’ 여성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왜 가해자가 아니라 ‘여교사 성폭행’, ‘여조교 성희롱’이란 명명으로 여성 피해자만을 부각하는가?
2014년 성폭력 상담 건수는 2000건이 넘고, 2012년 통계에서 성폭력 범죄 건수는 2만 건을 넘었다. 성폭력이 ‘성을 매개로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지는 모든 신체적, 언어적, 심리적 폭력’임을 주지한다면 실제 통계에 잡히지 않은 범죄 건수는 훨씬 높다.
여학교를 맴도는 바바리맨 한번 마주치지 않고 졸업하면 굉장한 행운아로 일컬어졌다. 외모를 평가당하거나 언어적 심리적 폭력을 당하는 일 또한 비교적 흔하다. 이것이 비상식적이고 옳지 않은 일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
성폭력 예방 주간을 맞아 울산해바라기센터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성폭력 예방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사진=울산해바라기센터)
주요 강력범죄 피해에 있어서 10명 중 9명은 여성이었으며 이는 그 어느 국가보다도 월등히 높은 수치라고 한다. 그 어느 곳보다 튼튼한 울타리가 되어야할 가정에서도 안전을 보장받지 못한 여성이 많았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가정폭력 사건은 61만5천607건으로 하루 평균 562건에 달하는 수치이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발표한 ‘가정폭력 행위자 상담 통계’에 따르면 가정폭력 행위자의 82.4%는 남성이라고 한다.
여성과 남성의 편을 가르고 여성이 ‘일방적 피해자다’ 라고 규정하려 이 많은 통계자료를 살펴본 것이 아니다. ‘여자’ 대신 ‘인간’의 관점으로 너무나 당연한 평등성을 고민하자는 것이다.
민주주의가 시작되었던 고대 그리스에서 여성의 투표권은 당연스레 배제되었다. 여성의 선거권을 기본권으로 파악하는 지금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여성을 사유물로 여겼던 고대 그리스의 관점은 지극히 무지몽매하게 느껴지지 않는가?
현재의 우리사회에서 남녀차별을 느끼는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남자형제 뒷바라지 하느라 대학을 포기해야 했던 할머니, 어머니 세대에 흔한 이야기는 이제 과거의 유물이지 않던가? 지극히 상식적이고 인본주의적인 관점에서 남녀차별을 근원적으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는 이야기이다.
‘여자’가 아니라 ‘사람’으로, ‘차별’이 아닌 ‘차이’로. 이 당연하지만 의미 있는 한 걸음을 생각해보는 것,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나누고픈 화두이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진윤지 ardentmithra@naver.com
-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 고민 들으러, 청년위원회가 찾아갔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