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개최를 염원하는 2017 춘천마임축제가 지난 5월 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몇 년전 춘천에 갔다가 극장에서 마임 공연을 관람한 적이 있는데, 대사 없이 몸짓 만으로 소통이 가능한 그 느낌이 강렬해 직접 현장에 다녀왔다.
![]() |
춘천마임축제 포스터. |
이번 춘천마임축제의 슬로건은 ‘하늘을 깨무는 뜨거운 숨결’. 왠지 섹시한 느낌의 슬로건이 춘천으로 가는 발걸음을 재촉했다. 특히 이번 춘천마임축제는 ‘2018 평창 문화를 더하다’라는 부제로,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하는 문화 축제이기도 했다.
이번 축제 속 프로그램은 크게 ‘개막공연:물의도시;아!水라장’, ‘봄의도시’, ‘불의도시;도깨비난장’으로 나뉘었는데, 필자는 27일 불의도시 도깨비난장 프로그램에 함께 했다.
![]() |
마임 축제장 전경. |
도깨비하면 올 초 성황리에 종영한 ‘도깨비’라는 드라마 덕에 많이 친근해진 상황. 하지만 필자가 어렸을 때만해도 도깨비는 무서움의 대상이었다.
어렸을 때 필자는 산과 강으로 둘러싸인 시골 마을에 살았다. 5일마다 서는 5일장에 가려면 산길을 걸어 고개를 넘어야 했다. 어르신들이 오일장에서 약주 한 잔 걸치고 밤늦게 산길을 걸어오다 도깨비가 나타나 걸음아 나 살려라 줄행랑을 쳤는데, 다음 날 낮에 가봤더니 빗자루가 놓여 있었다라는 얘기는 부지기수로 들었다.
이번 춘천마임축제에서는 어떤 도깨비난장이 펼쳐질까, 벌써부터 궁금해졌다.
![]() |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 |
‘2018 평창 문화를 더하다’라는 부제답게, 마임 축제장 입구에서부터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 반다비가 반겨준다.
춘천마임축제는 평창동계올림픽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선정된 축제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평창동계올림픽 TF팀은 ‘문화예술축제와 함께하는 평창동계올림픽’ 프로그램 중 하나로 춘천마임축제를 선정했다. 이번 춘천마임축제는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염원을 ‘불’로 표현했다. 오늘 밤, 춘천이 불의 도시가 되는 것이다.
![]() |
---|
보물찾기 지도를 나눠주는 인디언들. |
행사장에는 마임 공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볼거리도 마련됐다. 청년들이 직접 만든 가방, 깃털, 액세서리 등 다양한 제품들을 판매하는 플리마켓이 있었고, 인디언 복장을 한 청년들이 보물찾기 지도를 나눠주며, 보물찾기 참여를 유도하기도 했다. 특히 보물찾기는 아이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 |
플리마켓 현장. |
![]() |
무대에서 펼쳐지는 마술 공연. |
무대에서는 마술공연이 펼쳐졌다. 역시 아이들의 인기를 독차지했다. 마임축제답게 한쪽에서는 마임 공연이 펼쳐지고 있었다.
2017 춘천마임축제 공식기념품부스 깨비몰에서는 도깨비 머리띠, 떡삼겹꼬치, 파인애플베이컨꼬치, 케밥꼬치 등을 판매하고 있었다. 불구경도 식후경이다. 한 꼬치 했다.
![]() |
깨비몰에서 간식거리와 기념품을 판매하고 있다. |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기원 희망의 끈 릴레이로 성공 기원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 많은 관람객들이 메시지를 적어 리본을 달고 있다. 이 리본에 마음과 마음이 더해져,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으로 이어지길 바라며, 필자도 마음 하나 더했다.
![]() |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기원 희망의 끈 릴레이에 참여하는 사람들. |
![]() |
---|
마임 공연 모습. |
춘천수변공원에 어둠이 내려앉자,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염원하는 축제장 메인 조형물 점화를 시작으로 아티스트들과 시민들이 횃불을 들고 불의 도시를 밝힌다. 각종 불 조형물과 모닥불에 불을 붙이며 참석자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성공을 염원한다.
![]() |
불의 도시로 변한 마임축제. |
도깨비난장을 살펴보며, 예전, 10리길 걸어 학교 다니던 시절, 도깨비 안 만나려고 어둠이 내리는 고갯길을 죽을 힘 다해 뛰던 추억이 새롭다.
어린 시절에는 도깨비불 이야기만으로도 무서웠는데, 춘천마임축제 불의 도시는 다양한 도깨비 공연과 먹거리로 즐거움 그 자체였다. 무엇보다 평창동계올림픽 열기가 오늘 축제처럼 활활 타올랐으면 좋겠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홍웅기 dmsrl65@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오늘 밤 정책 제안 주인공은 나야 나~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