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지 않았는데, 벌써부터 잠자리가 뒤숭숭해진다. 이제 슬슬 밤에 잠 설칠 각오를 해야 한다. 밤잠 안 올 때는 차라리 밖으로 나가는 게 답이다. 게다가 바야흐로 야시장 열풍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시 공주에도 야시장이 있다. 바로 공주 밤마실 야시장이다.
![]() |
공주 밤마실 야시장 중앙에는 환한 보름달이 행사장을 빛추고 있다. |
공주 밤마실 야시장은 지난 5월 말 개장했다. 공주 전통시장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경제를 살리고자 야심차게 준비해왔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저녁 6시부터 밤 12시까지 공주산성시장 문화공원 등지에서 열린다.
필자도 공주시민으로서 공주 밤마실 야시장을 친구들과 함께 방문했다. 밤바람이 우리를 시원하게 반겨줬다.
푸드마켓과 간단한 플리마켓만 운영되는 줄 알고 방문했는데, 막상 가보니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었다. 필자가 방문한 날에는 공주의 대표 대학인 공주교육대학교와 공주대학교 음악 동아리 학생들이 버스킹 공연을 하고 있어 지나가는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다.
![]() |
메인무대에서는 버스킹, 판소리, 마술 공연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된다. |
행사장 주변은 푸드트럭 등에서 음식을 사 편하게 앉아서 먹을 수 있도록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는데,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 근처에도 테이블이 준비돼있어, 음식도 즐기고 공연도 보고 일석이조였다.
가족, 친척, 친구, 연인끼리 다양한 연령대가 함께 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는데 마치 명절이라도 된 것처럼 북적북적하는 모습이 무척이나 정겨웠다.
![]() |
공주 밤마실 야시장 행사로 공주산성시장은 밤에도 활기가 돈다. |
야시장의 매력으로 먹는 걸 빼놓을 수 없다. 푸드트럭과 먹거리 장터를 찾아갔다. 모든 판매대에서 줄을 서서 기다릴 정도로 북적였다.
먹을 건 정말 다양했다. 닭꼬치, 문어꼬치, 양꼬치, 새우튀김, 꽈배기, 꿔바로우, 떡갈비, 큐브스테이크, 공주의 자랑거리인 공주 알밤과 공주 막걸리 등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맛 좋은 음식들이 넘쳐났다.
음식 외에도 공주시는 현재 청년 창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메인 공연장 옆에는 지자체의 지원을 받은 청년 창업자들이 음식을 비롯해 캔들, 백제와 관련된 예술품들도 판매하고 있어 시장에 젊은 활력을 불어넣고 있었다.
특히 보부상 콘셉트로 꾸민 플리마켓이 눈길을 끌었다. 보부상 콘셉트처럼 짚신부터 해서 다양한 전통 제품들을 팔고 있었는데 어르신들은 옛 추억에 잠기고, 어린 아이들은 호기심 가득한 눈망울로 구경하는 모습이었다.
공주 밤마실 야시장만의 특별한 점이라고 하면, 가판대 지붕에 전통적인 옛 초가를 씌워 공주가 백제의 고도임을 알려준다는 점이었다.
행사장 한쪽에서는 백제 전통의상 무료체험과 전통놀이 체험부스도 마련돼 있는데 백제의 옛 모습을 야시장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 |
공주산성시장 근처에 흐르는 제민천에도 다양한 볼거리가 준비되어 있다. |
우리나라 야시장 문화는 이제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서울이나 전주에서만 즐길 수 있었던 야시장 행사를 이제 충남 공주에서도 즐길 수 있다!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해 다채롭게 진행되고 있는 공주 밤마실 야시장. 점차 규모를 늘릴 예정이라고 하니, 낮에는 공주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즐기고, 밤에는 공주 밤마실 야시장에서 공주의 밤 운치를 느껴보는 건 어떨까?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임용혁 dladyd1994@daum.net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018 평창 동계올림픽…한마음으로 성공 기원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