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1년 남았다는 얘기 들은 게 엊그제 같은데, 오늘(7월 24일)로 딱 200일 남았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G-200을 맞아 강원도 춘천역 인근 강변에서 불꽃축제가 펼쳐졌는데요. 무더운 여름날 춘천에서 느끼는 평창동계올림픽. 저는 불꽃놀이와 함께 평창동계올림픽을 느끼기 위해 22일 춘천 가는 기차에 올라탔습니다.
비가 오락가락 내려 좋지 않은 날씨였지만 경춘선 춘천역에 내리니 많은 시민들이 불꽃축제를 보러가기 위해 바삐 움직였는데요. 각종 포스터와 안내데스크를 보니 ‘2018 평창동계올림픽 G-200 불꽃축제’의 열기가 후끈 느껴졌습니다. 저는 춘천역 안내데스크에서 관련 책자를 받아들고 행사장으로 향했습니다.
올림픽 존에서 시민들을 맨 처음 맞아준 것은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반다비였습니다. 시민들과 함께 사진도 찍어주고, 춤도 보여주면서 시민들을 즐겁게 했는데요. 바로 옆에는 평창동계올림픽 홍보관을 운영하면서 평창동계올림픽 종목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시민들을 반겨준 수호랑과 반다비. |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바이애슬론’ 체험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습니다. 바이애슬론은 크로스컨트리와 사격이 결합된 종목이죠.
사람들에게 익숙한 사격을 통해 동계올림픽 바이애슬론 종목을 소개했는데요. 시민들은 약 10m 떨어진 거리에서 사격을 하며 사격실력을 뽐냈습니다.
시민들이 바이애슬론 체험을 하고 있다. |
다음으로 ‘컬링’ 종목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컬링과 같이 스톤을 던져 파란 원 안에 스톤을 놓아야 하는데요. 파란 원 안에 스톤을 넣은 시민들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증정하기도 했습니다.
컬링 체험을 하고 있는 시민들. |
올림픽 존을 뒤로하고, 특설 무대로 향했습니다. 마침 지상파 방송에서 불꽃축제 현장을 생중계로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본 공연에 앞서 문화예술 공연이 진행됐습니다. 가장 먼저 1군 사령부 태권도 시범단이 태권도 시범을 선보였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음악인 아리랑에 맞춰 다양한 태권도 동작을 선보였는데요. 특히 송판격파와 뒤돌려차기는 많은 시민들의 박수를 받았습니다.
다음으로 춘천에서 활동 중인 퍼포먼스 팀의 멋진 춤으로 본 공연 전, 이미 행사장의 열기는 후끈 달아올랐습니다.
1군 사령부 태권도 시범단의 멋진 태권도 시범 장면. |
불꽃축제가 시작되기 1시간 전, ‘The One, 하나된 열정’이라는 주제로 본 공연의 막이 올랐습니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홍보대사인 이재홍, 이지연 아나운서가 사회를 봤으며, ‘위대한 대한민국’, ‘200일, 지금까지’, ‘앞으로 200일’, ‘하나 된 우리’라는 소주제로 진행됐습니다.
먼저 춘천시립합창단과 신문희 소프라노가 ‘아름다운 나라’를 합창하며 분위기를 띄었습니다. 이후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인 김보름, 김철민 선수가 선수단을 대표해 국민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낭독했는데요.
먼저 김보름 선수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모든 준비를 마쳤다.”며 “평창동계올림픽에서 함께 만들어갈 기적의 시간을 준비한다.”고 밝혔습니다.
![]() |
스피드스케이팅 국가대표 김철민, 김보름 선수.(출처=2018 평창동계올림픽 홈페이지) |
김철민 선수는 “우리나라 국가대표팀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선수들은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자신의 한계를 뛰어 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200일 후 평창에서 기적의 시간이 시작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축제니 만큼, 응원이 빠질 수 없죠. 대한민국 응원하면 떠오르는 노래들과 함께 아크로바틱 치어리딩 팀이 치어리딩을 펼쳤는데요. 1988년 서울올림픽의 주제가였던 ‘손에 손잡고’와 대표 치어리딩 곡인 ‘그대에게’, 지난 2002년 월드컵 주제가까지. 열띤 응원으로 모든 시민들은 하나가 됐습니다.
이후 평창동계올림픽 홍보대사인 가수 인순이 씨가 이번 평창동계올림픽 성화봉송 공식 주제가인 ‘렛 에브리원 샤인(Let Everyone Shine)'을 불렀는데요. 이 무대에서 최초로 성화봉송 주제가가 공개됐답니다.
![]() |
성화봉송 주제가를 열창하고 있는 가수 인순이.(출처=2018 평창동계올림픽 홈페이지) |
이제 하이라이트인 불꽃축제 직전, 정세균 국회의장과 최문순 강원도지사,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정관계 인사들이 참석했는데요. 특히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세계가 다시 대한민국을 주목하고 있는 만큼,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불꽃축제를 바로 앞두고, 대형 애드벌룬을 띄어 보냈습니다. 정세균 국회의장은 애드벌룬에 ‘함께하는 올림픽’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작성했는데요. 정세균 국회의장의 염원대로 전 세계의 사람들이 평창동계올림픽을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
![]() |
대형 애드벌룬을 높이 띄어 보내고 있는 모습.(출처=2018 평창동계올림픽 홈페이지) |
먼저 중국팀 불꽃축제가 진행됐고, 다음으로 우리나라가 만든 불꽃이 약 25분간 춘천의 밤하늘을 수놓았습니다. 이번 불꽃축제에 쓰인 불꽃은 매우 다양했는데요. 먼저 뮤지컬 노래에 맞춰 뮤지컬 불꽃이 쏘아올려졌습니다. 이어 눈물 불꽃과 무지개를 닮은 레인보우 불꽃이 시민들의 함성소리와 함께 팡팡 터졌습니다.
끝으로 이번 불꽃축제의 피날레는 폭포수처럼 터지는 불꽃인데요. 연달아 터지는 불꽃은 장관을 이루며 많은 사람들의 기립박수를 받았습니다.
![]() |
춘천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축제.(출처=2018 평창동계올림픽 홈페이지) |
본 공연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많은 비가 내렸었는데요. 마치 하늘도 이번 2018 평창동계올림픽 G-200일을 축복하듯, 본 공연이 시작되자 거짓말같이 비가 그쳐 멋진 불꽃축제를 즐길 수 있었습니다.
이제 평창동계올림픽이 2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200일 후, 평창과 강릉, 정선에서 전 세계의 축제가 시작됩니다. 이번 평창동계올림픽, 춘천 하늘에 수놓은 불꽃축제처럼 성공적으로 개최됐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조수연 gd8525gd@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만 원으로 떠나는 ‘궁셔리 배틀트립’ ②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