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 ‘평창’ 호명의 환호가 엊그제 같은데 평창동계올림픽이 150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17일간 열리는 세계인들의 겨울축제가 성큼 다가왔는데요.
평창동계올림픽 준비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평창과 강릉에 미리 다녀왔습니다.
진부역 건설현장.
■ 서울-강릉 1시간대 이동 가능! ‘경강선’
경강선은 경기도의 ‘경’, 강원도의 ‘강’을 한 자씩 따서 만든 철도입니다. 오는 12월 서울~원주~강릉을 연결하는 경강선 KTX 고속열차가 개통될 예정인데요.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더운 날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경강선 진부역에서는 막바지 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습니다.
![]() |
경강선 KTX가 운행될 진부역. |
■ ‘평창동계올림픽선’ 경강선
서울에서 강릉까지 가는 기차는 청량리에서 정동진역까지 5시간이 넘는 무궁화호가 유일했습니다. 경강선 KTX가 개통하면 1시간 10분대에 서울-강릉 주파가 가능하게 되는데요.
원주시의 만종역, 횡성군과 평창군의 둔내, 평창, 진부역이 들어서고, 마지막 역인 강릉역은 옛 강릉역 자리에 건설됐습니다. 이중 평창동계올림픽 경기 장소인 알펜시아와 가장 가까운 역이 진부역입니다.
![]() |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
![]() |
알펜시아 스키전망대. |
■ 여행+평창동계올림픽을 동시에 즐기는 방법
평창, 강릉까지 운행하는 KTX 평창동계올림픽선을 타고 평창동계올림픽을 보고 인근 가 볼만한곳을 소개해 드리면은요.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대에서는 아찔한 급경사면을 빠른 속도로 할강하며 내려오다 도약대로부터 직선으로 날아 착지하는 스키경기의 꽃, 스키점프 경기가 열리게 되는데요. 모노레일을 타고, 전망대로 올라가 인근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의 본 개최지인 알펜시아 스포츠파크는 모든 경기장이 차로 30분 이내에 위치해 올림픽 역사상 가장 가깝게 경기장이 건설됐다고 알려지고 있는데요. 올림픽 전, 평창과 강릉을 여행하면서 두근두근~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게 될 경기장도 둘러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대관령 삼양목장 양떼들. |
![]() |
대관령 삼양목장 동해전망대. |
■ 대관령 삼양목장
평창 알펜시아 인근에는 대관령 삼양목장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푸른 목초지의 여유를 볼 수 있는 대관령 목장은 총 면적 600여만 평으로 서울 여의도의 7.5배 규모의 목장인데요.
고랭지 풀들이 끝없이 펼쳐져 있어 아름다운 전망을 자랑합니다. 또한, 해발 1,140m 동해전망대에서는 동해와 강릉 시내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 눈덮힌 설산이 장관이고요. 도보코스로는 바람의 언덕, 숲속의 여유, 사랑의 기억, 초원의 산책, 마음의 휴식코스가 있으니, 선택해서 걸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
강릉올림픽파크&빙상경기장. |
![]() |
강릉올림픽파크&빙상경기장. |
■ 강릉올림픽파크&빙상경기장
강릉에는 강릉종합경기장, 강릉문화예술회관, 강릉컬링센터를 비롯해 신설경기장 강릉아이스아레나, 강릉하키센터,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이 위치해 있습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빙상종목 경기가 대부분 이곳에서 열리게 되는데요. 스피드스케이트, 피겨스케이트, 쇼트트랙 등 빙상 종목 경기들을 볼 생각에 벌써부터 설레입니다.
![]() |
강릉 오죽헌. |
■ 강릉 오죽헌
강릉에서 가볼만한 곳으로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가 태어난 한국 주택 건축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인 보물 165호 ‘오죽헌’이 있습니다.
시립미술관, 율곡이이기념관 또한 인근에 있으니, 잊지 마시고 관람하시기 바랍니다. 그 외 가볼만한 곳으로 오대산 ‘전나무숲’과 ‘월정사’를 다녀오는 것도 좋습니다.
![]() |
강릉 오죽헌에서 만난 수호랑과 반다비. |
이동시간이 짧아져 가까워질 강원도! 경강선 평창동계올림픽선 KTX타고 떠나는 평창동계올림픽이 기대되는데요. 우리 모두의 관심 속에 세계인의 축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기를 바라봅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하반기 6,600명 채용, 금융권 노려볼까?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