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광화문에 아라리가 났네~

‘2017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 현장 취재기

2017.10.17 정책기자 조수연
글자크기 설정
목록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우리 민족의 ‘한(恨)’을 담은 노래 아리랑.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노래 중 하나인 ‘아리랑’은 지난 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념하기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 진행된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은 평창 문화올림픽 추천 14개 프로그램의 마지막 순서로 소개됐다. 

아리랑 노래에 맞춰 흥겹게 춤을 추는 어르신.
아리랑 노래에 맞춰 흥겹게 춤을 추는 어르신.
 

이번 서울아리랑페스티벌은 평창동계올림픽 공식 슬로건인 ‘하나된 열정’을 차용해, ‘열정의 노래 아리랑’으로 정했다. 

13일부터 3일간 진행된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필자는 먼저 13일 저녁에 진행된 개막공연을 관람했다. 개막공연은 1부와 2부, 3부 순서로 진행됐으며 1부에는 아리랑대취타와 아리랑환상곡이 오케스트라로 연주됐다.

2부는 ‘열정의 노래’라는 주제 아래 평창 동계 올림픽의 성공을 염원하는 아리랑과 국악으로 가득 채워졌다. 먼저 강원도를 대표하는 아리랑인 ‘정선아리랑’과 ‘강원도아리랑’을 최수정 씨가 불렀다.

이어 뮤지컬 배우 카이는 평창동계올림픽 선정과 지금까지의 순간을 뮤지컬 지킬앤하이드에 나오는 음악인 ‘지금 이 순간’과 ‘아라리요’를 열창했다.

뮤지컬 배우 카이가 열창했다.
뮤지컬 배우 카이가 열창했다.
 

카이의 뒤를 이어 안숙선 명창은 ‘진도아리랑’과 함께 ‘심청가 중 심청이 물에 빠지는 대목’을 판소리로 표현했으며, 많은 사람들의 기립박수 속에 무대에 등장한 장사익 선생은 특유의 목소리를 뽐내며 ‘국밥집에서’와 ‘봄날은 간다’를 열창했다.

2부에서 개개인의 목소리가 들려졌다면, 3부는 ‘평창을 위한 합창’이라는 소주제 아래 시민합창단이 ‘손에 손잡고’를 부르며 시작했다. 1988 서울올림픽 공식 주제가인 ‘손에 손잡고’가 광화문에 울려퍼지며 정확히 30년 뒤에 진행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응원했다.

사람들의 기립박수를 받았던 장사익 선생.
사람들의 기립박수를 받았던 장사익 선생.
 

이어 서울시소년소녀합창단이 ‘아름다운 나라’를 열창했으며, ‘오 포르투나’, ‘자연의 노래’, 그리운 강남‘ 등을 함께 부르면서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했다. 

3일 동안 치러진 서울아리랑페스티벌에서는 아리랑 뿐만 아니라 사물놀이 공연, 국악 등도 선보였다. 특히 이번 아리랑페스티벌의 ‘백미(白眉)’는 수많은 시민들이 모여 함께 꾸미는 ‘아리랑 난장’이었다.

아리랑 난장 모습. 난장의 시작은 진도 북놀이다.
아리랑 난장 모습. 난장의 시작은 진도 북놀이다.
 

아리랑 난장은 전라남도 무형문화제 제18호 ‘진도 북놀이’의 신나는 음악으로 시작됐다. 이어 취타대는 많은 시민들에게 궁궐음악을 선사했다. 

대취타의 웅장한 궁궐음악.
대취타의 웅장한 궁궐음악.
 

많은 사람들의 박수를 받으며 등장한 것은 ‘북청사자놀음’이다. 꼬마들이 신기해하며 북청사자 옆을 졸졸 따라다녔고, 북청사자는 신이 난듯 이리저리 몸을 흔들며 춤을 췄다.

춤추는 북청사자와 북청사자가 신기한 꼬마.
춤추는 북청사자와 북청사자가 신기한 꼬마.
 

이번 아리랑 난장에는 학생들도 많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서울에 위치한 신내초등학교 학생들의 팻말도 보였고, 태권도 학원에서 온 학생들도 퍼포먼스를 선보여 박수갈채를 받았다.

아슬아슬, 위에 올라가 퍼포먼스를 선보인 학생.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학생.


강강술래 리듬에 맞춰 춤을 추기도 했고, 아리랑 소리에 너무 행복한 어르신은 덩실 덩실 춤을 추며 아리랑 난장의 진수(眞髓)를 보여줬다. 

강강술래를 추는 많은 사람들.
강강술래를 추는 많은 사람들.

다가오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함께한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아리랑에 모두 하나되어 즐거운 시간을 보냈듯, 2018년 2월 9일부터 혹은 그 이전부터 ‘평창’과 함께 ‘하나된 열정’으로 올림픽을 즐겼으면 좋겠다.



조수연
정책기자단|조수연
gd8525gd@naver.com
대학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완전범죄는 없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