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밤, 밤마실이 주는 운치가 달큰하다. 그 풍경이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는 공존의 공간이라면 밤의 마력은 더욱 빛을 발한다. 까만 밤이 시공의 흐름을 흐릿하게 만들어 버리고, 일상의 그림을 특별한 색채로 덧칠한다.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에서 거니는 밤마실은 그래서 특별하다.
인천 중구청 앞 보름달이 휘영청 크게 떴다.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으로 인도하는 이정표인 셈이다. 지난 21일과 22일, 인천 중구 개항장 문화지구에서 문화재와 함께하는 밤마실 축제인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이 열렸다.
지난 21일과 22일, 인천 중구 개항장 문화지구에서 문화재와 함께하는 밤마실 축제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이 열렸다.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은 2017 가을 여행주간 펼쳐지는 ‘디스커버 인천, 가을로… 애인(愛仁) Again’ 프로그램 중 하나다. 특히 이번 가을 여행주간의 주제는 ‘예술’과 ‘밤(夜)’으로 그에 딱 맞는 행사다.
인천 개항장 거리는 1883년 개항 이래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공간이다. 일본영사관인 중구청과 일본 제1은행, 일본 제18은행, 제58은행 인천지점, 옛 인천 등기소, 미두 취인소 등의 근대 건축물을 마주할 수 있는 장소이다.
중구청에서 내려오는 야트막한 경사로는 자연스런 관객석으로 탈바꿈했다. 가을밤을 배경 삼아 야외 재즈공연이 펼쳐진다. 가을 그리고 밤과 재즈의 어울림이 포근하다. 무대는 이곳만이 아니다. 신포시장 무대와 무대 없는 거리에서도 음악가들은 가을밤을 따뜻한 빛깔로 밝히는 음표를 쏟아냈다.
![]() |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 음악의 밤이 중구청 앞 칠통마당 골목에서 개최됐다. |
저잣거리 먹거리장터와 지역예술인들의 문화마켓도 관람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야외 간이 노점과 테이블은 이 가을밤을 만끽하는 관광객들로 빼곡하다.
먹거리장터와 문화마켓.
인천 개항장 밤마실에서만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여행을 빼놓을 수 없다. 개항장 내 박물관 골목에 이색적인 풍경들이 차려졌다. 향도백화점, 샤샤이발소, 담손이방앗간 등 근대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어느 관람객에겐 색다른 신기함을, 어느 관람객에겐 아련한 향수를 자아내게 하는 특별한 여행의 경험을 선사한다. 처음 보는 이 낯설음이 어색하지 않다. 도리어 묘한 온기와 겪어보지 않았던 시대의 풍경이지만 느껴지는 향수가 있다. 그래서 남녀노소라도 누구나 이 풍경을 즐기기에 어려움이 없다.
![]() |
근대문화 체험부스가 차려져 신기함과 동시에 향수를 불러 일으켰다. |
![]() |
샤샤이발소를 재현한 근대문화 체험부스. |
이번 축제에 빼놓지 말아야 할 코스가 하나 더 있다. 문화해설사와 인천개항장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며 함께 문화재 도보탐방을 떠나는 것이다. 평소에도 이곳 개항장 문화지구를 문화해설사와 함께 도보탐방을 할 수 있지만, 밤마실 축제답게 이번 도보탐방은 밤에 이루어졌다.
문화재 도보탐방은 5개의 테마(한국테마, 중국테마, 일본테마, 각국테마, 경제테마)로 이틀간 6시와 8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친구와 함께 경제테마 도보탐방을 떠났다. 경제테마는 개항기 이후 근대 시기 동안 인천의 경제상을 접할 수 있는 코스로 꾸며졌다.
![]() |
지역의 청소년들이 축제 도우미와 문화해설사로 나섰다. |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의 이색적인 풍경은 또 있었다. 도보탐방을 비롯해 탐방 지역 곳곳에 인천의 고등학생들이 문화해설사와 축제 도우미로 나서 지역 축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었다. 지역의 청소년들의 손으로 꾸미고, 그들의 눈으로 들려주는 축제는 지역의 풍경을 오롯이 담고 있어 이방인이 느끼는 축제의 진폭을 더욱 크게 만들어주었다.
옛 인천 하역장이었던 칠통마당에서 시작된 도보탐방은 구 미두취인소 터로 이어진다. 미두취인소는 일제강점기 일제가 우리나라의 미곡시장을 장악할 목적으로 설립한 현재의 증권거래소라 할 수 있다. 맞은편엔 1920년대 건립된 옛 인천우체국 건물이 있다. 현재도 우체국(인천중동우체국)으로 쓰이고 있는 건물이다.
탐방은 독일 마이어 상사가 세웠던 구 세창양행 건물과 인천 일본제58은행 지점을 거쳐 개항 이후 인천의 모습을 전시한 인천개항박물관으로 이어진다. 인천개항박물관은 과거 일본 제1국립은행 인천지점 건물을 박물관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 |
과거 일본 제18국립은행 인천지점 건물이었던 인천개항박물관 내부. |
여고생 문화해설사는 김구 선생이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서대문형무소에 복역하던 시절, 인천항만 축항공사에 노역을 했다는 일화를 들려준다. 과거 일본 제18국립은행 인천지점 건물이었던 인천개항장 근대건축 전시관을 마지막으로 도보 탐방도 끝이 났다.
고등학생 문화해설사는 탐방을 끝마치며 마지막으로 이야기를 덧붙인다. “왜 일제 침탈의 역사의 흔적을 간직하고, 그때의 이야기를 반복 하냐고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아픈 역사도 우리의 일부분으로 간직하고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 |
1892년 설립된 일본제58은행 지점 건물. 현재는 인천 중구 요식업조합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번 축제 동안 특별히 내부를 공개했다. |
![]() |
특별 공개된 구 인천 일본 제58은행 지점 내부. |
‘인천 개항장 컬쳐나잇’으로 가을 밤마실을 나오며 예쁘고 이색적인 풍경에 마음을 뺏기기도 하고, 재즈 향기 가득한 밤의 정취에 취하기도 했다. 또 아프고 시린 역사를 마주하기도 했다. 인천 개항장의 밤마실은 이 모두가 버무려져 여행객으로 하여금 다채로운 심상을 갖게 해주었다.
낮과는 다른 풍경을 보여주는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에서, 현재와 여전히 맞닿아 있는 과거를 거니는 밤마실은 특별했다. 가을밤을 환하게 밝힌 아기자기 하고도 살뜰한 축제 곳곳의 장면들은 아름다웠다.
한편, 개항장 컬쳐나잇 음악의 밤은 문화재청의 2018년 문화재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어 내년 5월 다시 만나볼 수 있다.
10월도 어느덧 저물어가고 있다. 흘려보내기에는 너무나 아까운 가을밤이다. 밤의 여행이 주는 매력은 또 다른 것이었다. 저물어가는 가을이 어느 날 휘이 흔적도 없이 자취를 감추기 전에 발걸음을 재촉해 보시길! 가을의 달큰함이 안겨온다. 그냥 탁! 떠나는 자만이 만날 수 있는 아름다움이 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진윤지 ardentmithra@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평창서 강릉까지~ 두 눈이 물들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