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 전 종목이 열리는 강릉에서 G-100일 기념 한복퍼레이드가 2018명의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이 참가한 가운데 지난 28일에 열렸다.
이번 공연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 강릉을 찾는 관광객들과 외국 선수단들에게 한국의 전통문화와 강릉의 문화를 알리고 개최 후에도 올림픽 유산으로 남겨 강릉을 대표하는 공연으로 이끌고자 마련됐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 G-100 기념 대한민국 한복퍼레이드.
강릉문화원과 ‘아트컴퍼니 해랑’이 공동 주최, 주관해 개최된 이번 행사는 한복퍼레이드, 강릉대도호부 부사 행차, 청춘경로회가 재현됐다.
성공적인 문화올림픽을 위한 사전 테스트를 겸한 이번 행사는 얼마 남지 않은 올림픽 참여 열기 확산에도 큰 역할을 했다.
퍼레이드전 개회식과 기념공연이 열린 강릉역 광장. |
이날 대한민국 한복퍼레이드 행사는 동계올림픽때 강릉의 관문이 될 KTX 강릉역 광장에서부터 시작돼 1.7km 도심 구간을 거쳐 본 행사장인 강릉대도호부 관아까지 이어졌다.
강릉부사 전승행렬 재현 퍼레이드.
이날 개회식에 참여한 최명희 강릉시장은 기념 인사말에서 “오늘 모인 시민들의 올림픽에 대한 열기는 성공적인 문화올림픽을 충분히 성공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한다.”며 얼마 남지 않은 동계올림픽에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했다.
강릉 도심으로 이어진 한복퍼레이드. |
한편 대한민국 한복퍼레이드와 함께 펼쳐진 ‘강릉대도호부 부사 승전행차’는 조선 태종조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왕궁 수비대인 금군을 이끌고 물리친 강릉대도호부 부사 신유정을 모티브로 재현됐다.
퍼레이드는 대취타, 금군, 타고수, 호위무사, 부사, 관기, 관노, 무형문화재 관노가면놀이, 2018명의 한복을 입은 시민들과 관광객의 순서로 이뤄졌다.
강릉 시민들의 하나된 열정을 보여준 대한민국 한복퍼레이드. |
러시아에서 왔다는 유학생 안나 씨는 “유학온 지 2년됐다.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테스트이벤트에도 참여했다. 유학 기간 동안 동계올림픽을 경험할 수 있어서 무척 기쁘다.”며 러시아에 있는 친구들에게도 평창동계올림픽을 열심히 알리겠다고 말했다.
한복을 입고 마칭밴드로 참여한 강릉문성고 최혜정 학생은 “강릉을 대표하는 행사에 마칭밴드로 참여하게돼 영광스럽고 뿌듯하며, 얼마남지 않은 올림픽이 실감난다. 성공적인 문화올림픽이 되도록 힘을 보태고 싶다.”고 밝혔다.
강릉 시가지에서 퍼레이드를 펼치고 있다. |
![]() |
행사에 참여한 시민과 외국인들. |
이날 강릉대도호부 본 행사장에서는 조선시대 70세 이상 어르신을 모시고 예를 올려 웃어른 공경사상을 보여주던 ‘청춘경로회’도 재현됐다.
한국의 대표 효 문화인 도배례와 함께 우리나라 경로효친의 모습을 보여주는 청춘경로회는 예향의 도시 강릉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이번 재현을 통해 도배례와 함께 올림픽 기간 동안 동양의 경로효친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행사로 추진된다.
청춘경로회가 열린 강릉대도호부 본 행사장. |
이날 행사에는 75세 이상 22명의 어르신들이 강릉시 관내 읍, 면, 동에서 초대됐으며, 최명희 강릉시장이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술을 올렸다.
이어진 청춘경로회 헌사에서 강릉문화원장은 “오늘 베푼 이 조그마한 정성이 하늘에 닿아 이 자리에 참석하신 어르신 모두 무병장수 하시고, 100일 뒤 열리는 동계올림픽 행사에 자손들 손잡고 옛동심으로 돌아가 마음껏 즐기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했다.
참석한 단체장과 시민들은 술, 꽃, 선물 등을 올리는 예를 올렸다. |
어르신들을 위한 청춘경로회 연회도 이어졌다. |
오는 11월 1일부터 올림픽 붐업 조성에 큰 역할을 할 올림픽 성화봉송이 국내에서 시작된다. 올림픽 G-1000일 행사에 참여할 때만 해도 ‘아직 많이 남았네’ 했던 필자였다.
개최지 시민으로서 올림픽을 잘 치러낼 수 있을지 불안감도 들었다. 하지만 이번 G-100일 대한민국 한복퍼레이드를 통해 강릉 시민들이 보여준 하나된 열정은 자심감과 함께 성공 올림픽 개최를 충분히 가늠케 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이기태 simya119@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부산항, 글로벌 명품 항만 된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