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성화, 세계에서 가장 긴 옥상정원을 달리다~

세종시 성화봉송 현장 취재기

2017.12.19 정책기자 김혜인
글자크기 설정
목록

꺼지지 않은 성화의 불꽃이 드디어 이곳, 행정복합도시 세종시에 왔다. 101일간의 봉송기간 중 43일차에 세종에 도착한 불꽃은 이틀에 걸쳐 세종시 곳곳을 빛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첫번째 주자, 허승녕씨가 환화게 웃고 있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첫번째 주자, 허승녕 씨가 환화게 웃고 있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성화가 세종에 도착한 첫날(13일), 세계에서 가장 크다는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에서 성화봉송의 첫 주자가 달리기 시작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옥상정원을 담당하고 있는 허승녕 씨.

정부세종청사의 자연친화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을 알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는 그의 말대로 옥상정원은 매우 예뻤다. 이 멋진 옥상정원을 19명의 주자가 달리기 시작하는데 각 부처 공무원들이 성화봉송을 응원하기 위해 자리를 지켰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에서 이색 성화봉송 릴레이가 이뤄졌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에서 이색 성화봉송 릴레이가 이뤄졌다.
 

많이 알려졌다시피 정부세종청사의 15개동 건물은 모두 연결돼 있다. 이렇게 연결된 공간에 세계최대규모의 옥상정원을 조성했는데 그 길이가 3.6km, 면적이 79.194㎡로 축구장 11개를 합친 것 만큼 넓다. 

옥상정원을 달리는 이색 성화봉송의 아이디어는 ‘순성놀이’에서 가져왔다고 하는데 ‘순성(巡城)’이란 성곽의 둘레를 돌며 구경하는 것 혹은 경계함을 뜻한다.

세종의 첫 성화봉송 구간은 첫 주자가 성화봉을 점화한 후 국무조정실 옥상에서 출발해 마지막 19번 주자가 문화체육관광부 옥상에서 성화를 인계받아 밑으로 내려오며 마무리됐다. 이는 정부부처간의 소통과 나아가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잇는 것을 의미하는 성화봉송이었다.

20번째 주자가 세종시민들의 응원을 받으며 성화를 들고 달리고 있다.
20번째 주자가 세종시민들의 응원을 받으며 성화를 들고 달리고 있다.
 

정부세종청사의 이색 성화봉송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세종시내를 도는 제1구간이 시작됐다. 총 43명의 주자가 양지초등학교에서 시작해서 정부세종컨벤션 센터를 끝으로 8.6km의 구간을 성화를 들고 달렸다. 주자들이 뛰는 거리엔 세종시민들이 나와 응원의 박수를 쳤다.

성화를 들고 뛰고 있는 봉송 주자의 뒷 모습이다.
성화를 들고 뛰고 있는 봉송 주자의 뒷 모습이다.
 

성화의 최종 목적지인 세종호수공원에 도달하는 모습을 보기 위해 한파가 찾아온 날이었음에도 많은 세종시민들이 모여 들었다.  

세종 1일차 성화봉송의 마지막 주자 김동학씨의 점화로 세종시 성화대 불꽃이 타올랐다.
세종 1일차 성화봉송의 마지막 주자 김동학 씨의 점화로 세종시 성화대 불꽃이 타올랐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가만히만 있어도 온몸이 덜덜 떨리는 그곳에서 성화봉송을 보기 위해 세종호수공원을 찾은 세 명의 소녀들을 만났다. 세종종촌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강의정, 김송희, 조민아 학생은 UCC 제작을 위해 성화봉송 행사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성화봉송 행사에 참여한 강의정, 김송희, 조민아 학생
성화봉송 행사에 참여한 강의정, 김송희, 조민아 학생.
 

“공정하고 깨끗한 올림픽이 개최되길 바라는 마음에 이번 UCC 주제를 평창동계올림픽으로 정하고 영상에 성화봉송 모습을 넣기 위해 왔어요.”라고 말하는 그들에게 평창올림픽에 대해 한마디 해달라고 요청했다. 강의정 양은 “공정하고 올바른 올림픽으로 기억됐으면 좋겠다.”라고 답했으며 김송희 양과 조민아 양은 “선수들이 다치지 않고 경기를 잘 치뤘으면 좋겠다.”라고 당부의 말을 남겼다.

축제를 보기 위해 모인 세종시민들
축제를 보기 위해 모인 세종시민들.
 

총 15.1km의 구간과 주자 67명의 성화봉송을 끝으로 세종시 1일차 성화봉송 릴레이는 마무리를 지었다. 이후 세종시민들과 함께 세종호수공원에선 성화를 환영하는 축제공연이 이어졌다. 활활 타오르는 성화대를 보며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은 함께 축제를 즐겼다. 

추운 날씨에도 끝까지 자리를 지킨 세종시민들
추운 날씨에도 끝까지 자리를 지킨 세종시민들.
 

이번 성화봉송 지역 중 인천, 부산, 서울 등 전국 6곳에서 불꽃놀이가 진행되는데 그 중 세종시가 포함돼 있었다. 세종시 성화봉송의 하이라이트인 불꽃쇼를 보기 위해 시민들이 끝까지 자리를 지켰는데 보는 내내 화려한 볼거리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불꽃놀이를 마지막으로 세종시 1일차 성화봉송 행사는 모두 끝났으나 아직 다른 지역의 성화봉송 릴레이가 남아있다.

불꽃놀이를 마지막으로 세종 1일차 성화봉송 릴레이가 마무리됐다.
불꽃놀이를 마지막으로 세종 1일차 성화봉송 릴레이가 마무리됐다.
 

세종 성화봉송 행사에서 필자와 만난 세 명의 학생들 말대로 어느 역대 올림픽 가운데 가장 공정하고 올바르며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이 아무 탈없이 경기를 잘 치룰 수 있는 평창동계올림픽이 되길 바란다. 또한 그런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필자는 남은 성화봉송 릴레이를 끝까지 응원할 것이다.  




김혜인
정책기자단|김혜인
kimhi1003@hanmail.net
행복은 항상 내 곁에 있어.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평창의 자연이 숨쉬는 메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