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13일까지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이다.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국민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주체가 되어 여러 안전 관련 사항을 점검한다. 이에 대한민국 정책기자단이 자칭 ‘정책기자단 안전점검단’을 꾸려 각종 생활 안전과 전통시장 화재 안전, 여성 관련 안전 등을 직접 점검했다. 국민들의 눈으로 직접 점검한 ‘대한민국의 안전’, 지금부터 소개한다.<편집자 주>
일상생활 속에는 예기치 못한 사건, 사고들이 도사리고 있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국민 모두가 참여하여 사회 전반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하는 예방활동인 ‘2018 국가안전대진단’이 2018년 2월 5일부터 4월 13일까지 총 69일간 진행되고 있다.
국가안전대진단은 대상이 ‘국민 누구나’ 이기 때문에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들도 직접 참여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수용된 안전신고 1건당 1시간으로 봉사시간을 인정한다.(하루 최대 4시간, 기간 중 최대 10시간 까지 인정)
![]() |
안전신문고에 안전신고를 하는 방법. |
그렇다면, 안전신고의 대상은 무엇이고, 어떻게 신고하면 좋을까?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위험이 발견되면 안전신문고(https://www.safetyreport.go.kr/#main)를 통해 위험을 신고하면 된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3명의 기자(남혁진, 진주영, 유재호)는 국가안전대진단을 계기로 집, 학교, 직장 근처에 있는 위험을 찾아보기로 했다. 위험은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 |
남혁진 기자가 안전신문고에 신고한 맨홀. |
남혁진 기자는 잠시 여행을 하던 도중 맨홀 뚜껑이 부서진 것을 발견했다.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진을 찍어 안전신문고에 신고를 했다.
![]() |
진주영 기자가 안전신문고에 신고한 전봇대의 전선. |
진주영 기자는 학교에 가던 중 전봇대 전선이 엉켜있고, 뜯어져 있는 걸 발견했다. 사진을 찍어 안전신문고에 바로 신고를 하자, 얼마 지나지 않아 깔끔하게 정리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
유재호 기자가 안전신문고에 신고한 도보의 위험성. |
필자는 4개 학교가 밀집해 있는 학교 근처 도보가 너무 좋아, 위험하게 등하교를 하는 모습을 발견, 안전신문고를 통해 신고를 했다.
안전신문고에 안전신고를 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일상생활에서 조그마한 위험성이라도 인지를 했다면 그 장소와 근처 일대를 사진으로 찍는다. 구글플레이에 들어가 안전신문고를 검색하고 앱을 설치한다.
앱에 들어가면 바로 안전신고 창으로 연결되는데, 사진이나 동영상을 올리고, 발생지역은 어디에 있는지 지도에 표시한 후 왜 위험한지 입력한 후 전화번호를 남기면 끝난다. 그러면 신고 접수 번호가 뜨게 되고, 추후 담당자에게 연락이 닿아 그 위험지역에 대한 해결을 하게 된다. 정말 쉽고 간단하다.
![]() |
안전신문고 신고 답변. |
남혁진 기자는 맨홀 뚜껑 파손을 확인해 보수를 완료했다는 답변을 받았다.
필자의 경우, 서울특별시 도로정책과에서 연락을 받았다. ‘도로 폭이 너무 좁아보이긴 하는데, 도보를 넓히려면 주위 건물들을 철거하고 넓혀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도보 폭을 정할 때 보내준 의견을 잘 반영하도록 할 것’이라는 내용의 답변이었다. 안전신문고가 정말 제대로 된 신문고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 같았다.
뉴스를 보면 정말 많은 사건, 사고가 일어난다. 하지만 정작 내가 겪은 일이 아니기에, 그저 다른 세상 이야기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유심히 주위를 살펴보니 위험요소들이 보였다. 직접 안전신문고에 신고도 해보면서 안전에 대한 중요성도 깨달았다.
길을 걷다가 위험한 곳을 발견하게 된다면 ‘못 본 체 지나지 말고’ 안전신문고를 이용해 적극적으로 신고를 해 볼 생각이다. 나의 작은 관심이 큰 위험을 막을 수 있다는 걸 잊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유재호 gaia9305@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여성안심귀가서비스, 직접 이용해 보니~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